볼차노-바이어슈트라스 정리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볼차노-바이어슈트라스 정리'''(Bolzano-Weierstrass Theorem)는 [[해석학]]을 배울 때 반드시 배우게 되는 매우 중요한 정리로, 실해석학에서 [[수열]]에 관련된 문제라면 매우 높은 확률로 사용하게 된다. 증명을 위해서는 먼저 폐구간 수렴 정리(Nested Interval Theorem)을 알아야 한다.
{{학술}}
 
Bolzano-Weierstrass Theorem
== 개요 ==
[[해석학]]을 배울 때 반드시 배우게 되는 매우 중요한 정리. 실해석학에서 [[수열]]에 관련된 문제라면 매우 높은 확률로 사용하게 되는 정리이다. 증명을 위해서는 먼저 폐구간 수렴 정리(Nested Interval Theorem)을 알아야 한다.


== 폐구간 수렴 정리 ==
== 폐구간 수렴 정리 ==
13번째 줄: 17번째 줄:
모든 [[수열]]이 수렴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유계]]인 무한 수열은 반드시 수렴하는 [[부분수열]]을 가짐이 알려져 있다. 이를 볼차노-바이어슈트라스 정리라 한다. 증명은 다음과 같다.
모든 [[수열]]이 수렴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유계]]인 무한 수열은 반드시 수렴하는 [[부분수열]]을 가짐이 알려져 있다. 이를 볼차노-바이어슈트라스 정리라 한다. 증명은 다음과 같다.
:<math>\left\{a_n\right\}</math>이 유계이므로, 양수 <math>M</math>이 존재해 <math>\left|a_n\right|\leq M,\,\forall n\in\mathbb{N}</math>이다. 따라서 모든 자연수 <math>n</math>에 대해 <math>a_n\in\left[-M,M\right]</math>이다. 두 폐구간 <math>\left[-M,0\right],\,\left[0,M\right]</math>에 대해, 적어도 한 구간은 무수히 많은 <math>a_n</math>을 포함해야 한다.<ref>만약 그렇지 않으면 <math>\left\{a_n\right\}</math>는 유한 수열이다.</ref>. 그 구간을 <math>I_0</math>이라 하자. 마찬가지로 <math>I_0</math>을 동일한 길이의 두 폐구간으로 나눈다. 그럼 적어도 한 구간은 무한한 <math>a_n</math>을 포함한다. 이를 <math>I_1</math>이라 하자. 이를 계속 반복하여 <math>I_0,I_1,I_2,\cdots</math>를 얻는다. 그럼 <math>I_0\supset I_1\supset I_2\supset\cdots</math>이고, <math>I_n</math>의 길이는 <math>\frac{M}{2^n}</math>이다. <math>\lim_{n\to\infty}\frac{M}{2^n}=0</math>이므로, 폐구간 수렴정리에 의해 모든 구간에 속하는 유일한 한 점 <math>A</math>가 존재한다. 이제 <math>a_{n_1}\in I_1</math>을 고르고, <math>a_{n_2}\in I_2,\,n_2> n_1</math>을 고르고, <math>a_{n_3}\in I_3,\,n_3> n_2</math>을 고르고, 이를 계속 반복한다.<ref>이게 가능한 이유는 <math>\left\{a_n\right\}</math>이 무한 수열이기 때문이다.</ref> 그럼 <math>\left\{a_{n_k}\right\}</math>는 <math>\left\{a_n\right\}</math>의 부분수열이고, <math>a_{n_k}</math>와 <math>A</math>는 <math>I_k</math>에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math>\left|a_{n_k}-A\right|<\frac{M}{2^k}</math>이고, 이는 곧 <math>\lim_{k\to\infty}a_{n_k}=A</math>임을 의미한다.
:<math>\left\{a_n\right\}</math>이 유계이므로, 양수 <math>M</math>이 존재해 <math>\left|a_n\right|\leq M,\,\forall n\in\mathbb{N}</math>이다. 따라서 모든 자연수 <math>n</math>에 대해 <math>a_n\in\left[-M,M\right]</math>이다. 두 폐구간 <math>\left[-M,0\right],\,\left[0,M\right]</math>에 대해, 적어도 한 구간은 무수히 많은 <math>a_n</math>을 포함해야 한다.<ref>만약 그렇지 않으면 <math>\left\{a_n\right\}</math>는 유한 수열이다.</ref>. 그 구간을 <math>I_0</math>이라 하자. 마찬가지로 <math>I_0</math>을 동일한 길이의 두 폐구간으로 나눈다. 그럼 적어도 한 구간은 무한한 <math>a_n</math>을 포함한다. 이를 <math>I_1</math>이라 하자. 이를 계속 반복하여 <math>I_0,I_1,I_2,\cdots</math>를 얻는다. 그럼 <math>I_0\supset I_1\supset I_2\supset\cdots</math>이고, <math>I_n</math>의 길이는 <math>\frac{M}{2^n}</math>이다. <math>\lim_{n\to\infty}\frac{M}{2^n}=0</math>이므로, 폐구간 수렴정리에 의해 모든 구간에 속하는 유일한 한 점 <math>A</math>가 존재한다. 이제 <math>a_{n_1}\in I_1</math>을 고르고, <math>a_{n_2}\in I_2,\,n_2> n_1</math>을 고르고, <math>a_{n_3}\in I_3,\,n_3> n_2</math>을 고르고, 이를 계속 반복한다.<ref>이게 가능한 이유는 <math>\left\{a_n\right\}</math>이 무한 수열이기 때문이다.</ref> 그럼 <math>\left\{a_{n_k}\right\}</math>는 <math>\left\{a_n\right\}</math>의 부분수열이고, <math>a_{n_k}</math>와 <math>A</math>는 <math>I_k</math>에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math>\left|a_{n_k}-A\right|<\frac{M}{2^k}</math>이고, 이는 곧 <math>\lim_{k\to\infty}a_{n_k}=A</math>임을 의미한다.
=== 예시 ===
* <math>(\cos n)</math>은 수렴하지 않지만 유계인 무한수열이므로, 수렴하는 부분수열을 가진다. 실제로 <math>(\cos n!)</math>은 1로 수렴하는 <math>(\cos n)</math>의 부분수열이다. 여기 인용은 이 문제가 어떤 특수한 가정을 할 시 1로 수렴한다고만 나와있다 실제로 성립하는지에 관한 문서가 있으면 추가 요망<ref>{{웹 인용|url=http://math.stackexchange.com/a/8692/310026|제목=Is there a limit of cos (n!)?|저자=[http://math.stackexchange.com/users/448/david-speyer David Speyer]|날짜=2010-11-02|출판사=Math Stack Exchange|확인날짜=2016-05-02}}</ref>


== 일반화 ==
== 일반화 ==
유한한 차원의 유클리드 공간인 <math>\mathbb{R}^n</math>에 대해 확장이 가능하다. 명제도 거의 다른 것이 없다.
유한한 차원의 유클리드 공간인 <math>\mathbb{R}^n</math>에 대해 확장이 가능하다. 명제도 거의 다른 것이 없다.
:<math>\mathbb{R}^n</math> 내의 유계인 수열은 수렴하는 부분수열을 갖는다.
:<math>\mathbb{R}^n</math> 내의 유계인 수열은 수렴하는 부분수열을 갖는다.
증명은 [[수학적 귀납법]]을 이용한다.
{{숨기기|증명|
<math>n=1</math>인 경우는 이미 증명이 되었다. 이제, 명제가 적당한 <math>n\geq1</math>에 대해 성립한다고 가정하고, 임의의 수열<math>\left\{u_k\right\}\subseteq\mathbb{R}^{n+1}</math>이 [[유계]]라고 하자. 먼저, 각 [[정수]] <math>k</math>에 대해, <math>x_k</math>를 <math>u_k</math>의 마지막 원소로 정의하자. 또한, <math>v_k\in\mathbb{R}^n</math>을 <math>u_k</math>의 마지막 원소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해당하는 벡터로 정의하자. 그럼, <math>u_k=\left(v_k,x_k\right)</math>로 적을 수 있다. 이제, <math>\left\{v_k\right\}</math>는 [[유계]]이며, <math>\mathbb{R}^n</math>의 수열이므로, 귀납 가정에 의해 수렴하는 부분수열을 갖는다. 그 수렴값을 <math>v</math>로 정의하자. 비슷하게, <math>\left\{x_k\right\}</math>도 유계이며, <math>\mathbb{R}</math>의 수열이므로 수렴하는 부분수열을 갖는다. 그 수렴값을 <math>x</math>로 정의하자. 그럼, component-wise convergence에 의해 <math>u_k</math>의 어떤 부분수열은 <math>\left(v,k\right):=u\in\mathbb{R}^{n+1}</math>로 수렴한다. 귀납법에 의해 명제가 증명되었다.
}}


== 활용 ==
== 활용 ==
31번째 줄: 28번째 줄:
{{각주}}
{{각주}}
[[분류:해석학]]
[[분류:해석학]]
[[분류:수학 정리]]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