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라위 콰차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번째 줄: 2번째 줄:
|화폐이름 = 말라위 콰차
|화폐이름 = 말라위 콰차
|원어이름 = Kwacha ya Malaŵi 콰차 야 말라뷔<ref>ŵ의 발음이 /ㅇ/과 /ㅂ/사이에 있다.</ref><sup>[[체와어|ny]]・[[툼부카어|tum]]</sup>
|원어이름 = Kwacha ya Malaŵi 콰차 야 말라뷔<ref>ŵ의 발음이 /ㅇ/과 /ㅂ/사이에 있다.</ref><sup>[[체와어|ny]]・[[툼부카어|tum]]</sup>
|그림    = ReserveBankofMalawiLogo.png
|그림    =  
|그림설명 =  
|그림설명 =  
|그림2    =  
|그림2    =  
18번째 줄: 18번째 줄:
|동전    = K1, K5, K10
|동전    = K1, K5, K10
|중앙은행 = 말라위 준비은행 (Reserve Bank of Malawi)
|중앙은행 = 말라위 준비은행 (Reserve Bank of Malawi)
|인쇄처  = [[파일:GiUDeLogo.png|25px]] 게운데 <small>(Giesecke+Devrient GmbH)</small>
|인쇄처  = [[File:GiUDeLogo.png|25px]] 게운데 <small>(Giesecke+Devrient GmbH)</small>
|조폐국  =  
|조폐국  =  
|환율    = 1.6원/K<small> (2020.. 기준)</small><br />11원/K <small>(2004년 기준)</small>
|환율    = 1.6원/K<small> (2020.. 기준)</small><br />11원/K <small>(2004년 기준)</small>
56번째 줄: 56번째 줄:
| style="text-align: center;" | 뒷면
| style="text-align: center;" | 뒷면
|-
|-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MWK801.jpg]]
| style="text-align: center;" | [[File:MWK801.jpg]]
| style="text-align: center;" | K20
| style="text-align: center;" | K20
| style="text-align: center;" | 라잘로 음쿠조 제레<br />(Lazalo Mkhuzo Jere ~ Inkosi ya Makhosi M'mbelwa II<ref>Inkosi ya Makhosi ~라는 것은 족장을 나타내는 말이다.</ref>)
| style="text-align: center;" | 라잘로 음쿠조 제레<br />(Lazalo Mkhuzo Jere ~ Inkosi ya Makhosi M'mbelwa II<ref>Inkosi ya Makhosi ~라는 것은 족장을 나타내는 말이다.</ref>)
| style="text-align: center;" | 도마시(Domasi) 교육대학교
| style="text-align: center;" | 도마시(Domasi) 교육대학교
|-
|-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MWK803.jpg]]
| style="text-align: center;" | [[File:MWK803.jpg]]
| style="text-align: center;" | K50
| style="text-align: center;" | K50
| style="text-align: center;" | 필립 지통가 마세코<br />(Philip Zitonga Maseko ~ Inkosi ya Makhosi Gomani II)
| style="text-align: center;" | 필립 지통가 마세코<br />(Philip Zitonga Maseko ~ Inkosi ya Makhosi Gomani II)
| style="text-align: center;" | 카숭구(Kasungu) 국립공원의 코끼리와 바오밥 나무와 차량
| style="text-align: center;" | 카숭구(Kasungu) 국립공원의 코끼리와 바오밥 나무와 차량
|-
|-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MWK805.jpg]]
| style="text-align: center;" | [[File:MWK805.jpg]]
| style="text-align: center;" | K100
| style="text-align: center;" | K100
| style="text-align: center;" | 제임스 프레데릭 상갈라<br />(James Frederick Sangala)
| style="text-align: center;" | 제임스 프레데릭 상갈라<br />(James Frederick Sangala)
| style="text-align: center;" | 블란티레(Blantyre) 약학대학과 청진기
| style="text-align: center;" | 블란티레(Blantyre) 약학대학과 청진기
|-
|-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MWK807.jpg]]
| style="text-align: center;" | [[File:MWK807.jpg]]
| style="text-align: center;" | K200
| style="text-align: center;" | K200
| style="text-align: center;" | 로즈 로마신다 치밤보<br />(Rose Lomathinda Chibambo)
| style="text-align: center;" | 로즈 로마신다 치밤보<br />(Rose Lomathinda Chibambo)
| style="text-align: center;" | 릴롱궤(수도)의 국회 신청사와 구청사 모음
| style="text-align: center;" | 릴롱궤(수도)의 국회 신청사와 구청사 모음
|-
|-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MWK809.jpg]]
| style="text-align: center;" | [[File:MWK809.jpg]]
| style="text-align: center;" | K500
| style="text-align: center;" | K500
| style="text-align: center;" | 존 은콜로고 체렘베<br />(John Nkologo Chilembwe)
| style="text-align: center;" | 존 은콜로고 체렘베<br />(John Nkologo Chilembwe)
| style="text-align: center;" | 좀바(Zomba)의 물룽구지(Mulunguzi) 댐과 수도꼭지
| style="text-align: center;" | 좀바(Zomba)의 물룽구지(Mulunguzi) 댐과 수도꼭지
|-
|-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MWK811.jpg]]
| style="text-align: center;" | [[File:MWK811.jpg]]
| style="text-align: center;" | K1,000
| style="text-align: center;" | K1,000
| style="text-align: center;" | [[헤이스팅스 카무주 반다]]<br />(Dr. Hastings Kamuzu Banda)
| style="text-align: center;" | [[헤이스팅스 카무주 반다]]<br />(Dr. Hastings Kamuzu Banda)
| style="text-align: center;" | 음주주(Mzuzu) 옥수수 공장
| style="text-align: center;" | 음주주(Mzuzu) 옥수수 공장
|-
|-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MWK813.jpg]]
| style="text-align: center;" | [[File:MWK813.jpg]]
| style="text-align: center;" | K2,000
| style="text-align: center;" | K2,000
| style="text-align: center;" | 레버렌드 존 칠렘베<br />(= 존 은콜로고 칠렘베)
| style="text-align: center;" | 레버렌드 존 칠렘베<br />(= 존 은콜로고 칠렘베)
114번째 줄: 114번째 줄: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width:32%;" | [[파일:MWK513.jpg]]<br />5차 (1990~1995)<br />[[헤이스팅스 반다]]
! style="text-align: center; width:32%;" | [[File:MWK513.jpg]]<br />5차 (1990~1995)<br />[[헤이스팅스 반다]]
! style="text-align: center; width:32%;" | [[파일:MWK613.jpg]]<br />6차 (1995~1997)<br />[[바킬리 물루지]]
! style="text-align: center; width:32%;" | [[File:MWK613.jpg]]<br />6차 (1995~1997)<br />[[바킬리 물루지]]
! style="text-align: center; width:32%;" | [[파일:MWK709.jpg]]<br />7차 (1997~2012)<br />[[존 칠렘베]]
! style="text-align: center; width:32%;" | [[File:MWK709.jpg]]<br />7차 (1997~2012)<br />[[존 칠렘베]]
|-
|-
| style="text-align: center;" | K5
| style="text-align: center;" | K5
155번째 줄: 155번째 줄:
* 7차 K50 기념권은 독립 40주년인 2004년 7월 6일에 등장하였다.
* 7차 K50 기념권은 독립 40주년인 2004년 7월 6일에 등장하였다.


=== 헤이스팅스 반다 집권기 (1964 ~ 1989) ===
=== 초창기 (1 ~ 4차) ===
{{안내문|[[말라위 파운드]]는 서술의 용이함을 위해 이 단락으로 연결합니다.}}
'''(※이하 내용 수정중)'''
1964년 말라위가 영국령으로부터 독립한 직후 당시에는 기존에 쓰이던 [[로디지아-니아살란드 파운드]]에서 [[잠비아]](북[[로디지아]])와 [[짐바브웨]](남로디지아)의 지분을 분리한 말라위 파운드의 형태로서, 영국식 비십진법 체계(1파운드=20실링, 1실링=12펜스)까지 그대로 유지한 상태로 도입하였다. 반다의 국책사업 홍보를 노렸는지, 당시 주요 수출 작물의 농경 모습을 주요 테마로 선정하였다.


1971년 2월 15일에 그 영국에서 십진법을 채택(Decimal day)한 것과 발맞춰 말라위도 십진법 체계로 [[화폐개혁]]을 하였는데, 그게 말라위 콰차이다. 이 첫 시리즈는 기존 말라위 파운드의 도안을 100% 똑같이 복붙하였기 때문에, 실제 발행년도는 1971년이지만, 표기상 연도는 독립한 해인 1964년으로 기재되어 있다. 1파운드 = 2콰차 (1콰차 = 10실링 = 100탐발라 = 120펜스)의 비율로 교환하였으며, 구권과 액면이 1:1로 매치되도록 5콰차(2.5파운드)는 생략하고 2콰차(1파운드)를 찍어냈다.
(1)


그로부터 불과 2년 뒤인 1973년에 2콰차를 대신할 5콰차를 찍는 것과 동시에, 나머지 권종들의 신권(2차 발행권)도 같이 찍어 1~2년 텀을 두어 연달아 발행하였다. 전체적으로 초상이나 배경 등의 좌우를 뒤바꿔놓는 등의 소소한 변화만 주었다.
파운드에서 콰차로 바뀌면서 개정되었기 때문에, 도안의 변화 없이 단위만 바뀌었다. 표기는 1964년으로 되어있으나, 실질적으론 1971년부터 통용되기 시작한 권종. 기존에 통용되던 말라위 파운드 시리즈의 구성을 그대로 이어받았다.


1975년 말라위는 수도를 남쪽 모잠비크 근방의 좀바(Zomba)에서 중부 서쪽의 릴롱궤(Lilongwe)로 [[천도]]하였고, 이듬해 1976년에 새 고액권인 20콰차와 함께 10콰차에도 신 수도의 건물을 담아내었다. 동시에 모든 권종을 물갈이 하였다. (3차 발행권)
(2)


1986년 신권(4차 발행권)에는 기존의 농업국가 이미지를 벗고 싶었는지, 말라위 대학, 릴롱궤 국제공항 등의 건축물 도안 비중이 더 올라갔다.
1973~75년경에 도입한 시리즈. 본격적으로 콰차를 위한 첫 시리즈이기도 하다.
쓰기 불편한 2콰차를 잘라내 중간단위인 5콰차를 도입하고, 초상과 배경 좌우를 뒤바꿔놓는 등의 소소한 변화만을 주었다. 뒷면은 완전히 달라졌지만. 반다의 정책때문에 그런지, 말라위를 대표하는 1차 농업들이 주요 테마로 자리잡았다.
 
(3)
 
1980년대 초반에 퍼진 시리즈. 사실상 큰 변화점은 없고, 20콰차가 새로 추가된 점과 뒷면에 비농업 테마가 조금 늘어난 것이 전부이다. 설명이 위의 것과 같더라도 [[복붙]]이 하나도 없는 디자이너의 정성이 참 용해보일 수준.
 
(4)
 
1986년부터 도입한 시리즈. 여전히 눈에 띌 만한 큰 변화점도 없고, 이번엔 [[복붙]]된 그림도 존재한다. 약빨이 다했나보다 다만 눈에 띄는 점은, [[옥수수|다이아몬드에 버금가는 비싼 작물]]이 새로 추가된 것.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colspan="5" | 말라위 콰차 1차 ~ 4차 시리즈
! colspan="5" style="text-align: center;" | Malawi Kwacha 1st ~ 4th Series
|-
|-
! style="text-align: center; width:24%;" | 1차 발행[[파일:MWK103.jpg]]
! style="text-align: center; width:24%;" | 2차 발행[[파일:MWK203.jpg]]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width:24%;" | 3차 발행[[파일:MWK303.jpg]]
! style="text-align: center; width:24%;" | 1차 발행
! style="text-align: center; width:24%;" | 4차 발행[[파일:MWK403.jpg]]
! style="text-align: center; width:24%;" | 2차 발행
! style="text-align: center; width:24%;" | 3차 발행
! style="text-align: center; width:24%;" | 4차 발행
|-
|-
| style="text-align: center;" | T50
| style="text-align: center;" | 독립기념탑
| style="text-align: center;" | 독립기념탑
| style="text-align: center;" | 사탕수수 수확
| style="text-align: center;" | 사탕수수 수확
| style="text-align: center;" | T50
| style="text-align: center;" | 목화 수확
| style="text-align: center;" | 목화 수확
| style="text-align: center;" | 옥수수 수확
| style="text-align: center;" | 옥수수 수확
|-
|-
| style="text-align: center;" | K1
| style="text-align: center;" | 담배 수확
| style="text-align: center;" | 담배 수확
| style="text-align: center;" | 담배 수확
| style="text-align: center;" | 담배 수확
| style="text-align: center;" | K1
| style="text-align: center;" | 차 수확
| style="text-align: center;" | 차 수확
| style="text-align: center;" | 담배 수확<br />(3차 K5와 동일)
| style="text-align: center;" | 담배 수확<br />(3차 K5와 동일)
|-
|-
| style="text-align: center;" | K2<br />(1차)<br /><br />K5
| style="text-align: center;" | 목화 수확
| style="text-align: center;" | 목화 수확
| style="text-align: center;" | 목화 수확
| style="text-align: center;" | 목화 수확
| style="text-align: center;" | K2<br /><small>(1차)</small><br />===<br />K5
| style="text-align: center;" | 담배 수확<br />(4차 K1와 동일)
| style="text-align: center;" | 담배 수확<br />(4차 K1와 동일)
| style="text-align: center;" | 말라위 대학
| style="text-align: center;" | 말라위 대학
|-
|-
| style="text-align: center;" | K10
| style="text-align: center;" | 차 수확
| style="text-align: center;" | 차 수확
| style="text-align: center;" | 차 수확
| style="text-align: center;" | 차 수확
| style="text-align: center;" | K10
| style="text-align: center;" | 새 수도 릴롱궤<ref>1975년, 남부지방의 좀바(Zomba)에서 릴롱궤로 천도하였다. 다만 도안의 건물이 정확히 무엇인지는 [[추가바람]].</ref>
| style="text-align: center;" | 새 수도 릴롱궤<ref>해당 도안의 건물이 정확히 무엇인지는 [[추가바람]].</ref>
| style="text-align: center;" | 릴롱궤의 건물
| style="text-align: center;" | 릴롱궤의 건물
|-
|-
| style="text-align: center;" | K20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미발행)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미발행)
| style="text-align: center;" | K20
| style="text-align: center;" | 말라위 준비은행 건물
| style="text-align: center;" | 말라위 준비은행 건물
| style="text-align: center;" | 카무주 국제공항
| style="text-align: center;" | 카무주 국제공항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