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화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만화'''(漫畵)는 시각 예술의 하나로, [[그림]]을 통해 이야기를 전달하는 작품을 말한다. 삽화와 달리 그림이 내용의 가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며, 프레임(네모칸)과 [[말풍선]], 효과음을 표현한 의성어 등을 사용해 화면을 연출하는 것이 특징이다. [[영어]]로는 '''코믹스'''(Comics), '''카툰'''(Cartoon), '''코믹 스트립'''(Comic strip)이라고 하며, [[일본어]]로는 '''망가'''({{일본어=|{{루비|漫画|まんが}}}})라고 한다.<ref>흔히 '망가'를 (일본산) [[에로 만화]]』라는 뜻으로 쓰곤 하는데, 망가는 만화라는 한자를 일본식을 읽은 것에 불과하다. 덧붙여 일본에서는 망가만큼 '''코믹'''(コミック)이라는 표현도 자주 쓴다.</ref>
{| class="wikitable"
|한국어||만화
|-
|영어||Cartoon, Comic Strip
|-
|일본어||漫画(まんが)<ref>흔히 '망가'를 '(일본)성인만화'라는 뜻으로 쓰곤 하는데, 일본어로 그냥 '만화'라는 뜻이다.</ref>
|}


== 어원 ==
== 개요 ==
[[파일:Hokusai-MangaBathingPeople.jpg|섬네일|[[가쓰시카 호쿠사이]]의 《[[호쿠사이 만화]]]]
수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하거나 미학적 반응을 일으키기 위하여, 의도된 순서로 병렬된 [[그림]] 및 기타 형상들<ref>『만화의 이해』, 스콧 맥클라우드, 시공사(초판 1쇄)</ref>, 또는 한 장의 그러한 그림 및 기타 형상들.
만화의 만(漫)은 '마음대로'를 의미한다. 요컨대 만화라 하면 특정 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롭게 그린 그림을 뜻하며, 만필(漫筆)과 비슷한 뜻이었다. 그러나 시대가 지나면서 만화는 특정한 형식을 가진 미술 작품을 지칭하게 되었다.
 
두 정의 모두 [[한국]]에서는 '만화'라는 단어로 퉁 쳐서 표현되지만 영어에서는 전자를 'Comic Strip'이라 하고 후자를 'Cartoon'으로 구분한다. 전자는 [[극화]], [[소년만화]], [[순정만화]], [[그래픽 노블 등]] 우리가 알고 있는 대다수의 만화를 칭하며, 후자는 주로 [[신문]]에서 볼 수 있는 한 컷짜리 시사풍자만화를 떠올리면 된다.
 
만화가 한국에 처음 소개됐을 때는 '다음엇지'라고 소개됐는데, "''다음''은 ''어떻게''(되는가)"란 뜻으로 Comic Strip의 뜻이 담겨 있다고 볼 수 있다.
 
최근 한국에서는 출판만화보다는 [[웹툰]]이 주가되는 모양새다.  
=항목이 작성된 만화목록=
항목을 작성할 때는 가나다라 순으로 배열하도록 하자.
 
*ㄱ
 
*ㄴ
 
*ㄷ


'만화'라는 단어 자체의 용례는 일본 [[에도 시대]]의 [[우키요에]] 화가 [[가쓰시카 호쿠사이]]의 《[[호쿠사이 만화]]》에서 찾아볼 수 있다. 다만 현대에 쓰이는 만화라는 단어는 [[메이지 시대]]에 [[키타자와 라쿠텐]]과 [[이마이즈미 잇표]]가 영어의 카툰(Cartoon) 또는 코믹(Comic)/코믹스(Comics)의 역어로 쓰면서 정착한 것이다.
[[도라에몽]]


현대 한국에서는 일본의 영향을 받아 만화의 단행본을 코믹스라 지칭하는 사례도 가끔 눈에 띄지만, 이는 일반적인 용례는 아니다.
*ㄹ


== 정의 ==
*ㅁ
수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하거나 미학적 반응을 일으키기 위하여, 의도된 순서로 병렬된 [[그림]] 및 기타 형상들<ref>『만화의 이해』, 스콧 맥클라우드, 시공사(초판 1쇄)</ref>, 또는 한 장의 그러한 그림 및 기타 형상들.


두 정의 모두 [[한국]]에서는 '만화'라는 단어로 퉁쳐서 표현되지만 영어에서는 전자를 코믹 스트립(Comic Strip)이라 하고 후자를 카툰(Cartoon)으로 구분한다. 전자는 [[극화]], [[소년만화]], [[순정만화]], [[그래픽 노블]] 등, 우리가 알고 있는 대다수의 만화를 칭하며, 후자는 주로 [[신문]]에서 볼 수 있는 한 컷짜리 시사 풍자 만화를 떠올리면 된다.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


만화가 한국에 처음 소개됐을 때는 '다음엇지'라고 소개됐는데, "''다음''은 ''어떻게''(되는가)"란 뜻으로 코믹 스트립의 뜻이 담겨 있다고 볼 수 있다.
*ㅂ


== 역사 ==
[[벤10]]


=== 한국 만화의 역사 ===
*ㅅ
[[1909년]], [[대한민보]]에 실린 [[이도영]] 화백이 그린 만화를 한국 최초의 만화로 보고 있다. 당시에는 [[일본]]이 [[조선]]을 식민 지배하려고 시도했던 시기였기 때문에, 이를 기반으로 한 풍자 만화를 주로 그렸었다.<ref>[http://www.pressian.com/news/article.html?no=137404 한국만화, 1909년 종로에서 탄생했다], 프레시안, 2016.06.02</ref>


1960년대까지만 해도 [[대한민국]]에서는 만화에 대한 인식이 나쁘지 않았었으나, [[정병섭 군 자살 사건]]을 계기로 만화가 어린이의 생각을 좀먹는다는 인식이 강해져 정부에서는 아이들에게 만화를 보지 못 하도록 하는 등 만화 시장을 대대적으로 탄압하기 시작하였다. 그나마 [[학습만화]]는 학습이라는 점이 정부 측에서 유익하다고 판단했는지 쭉 살아남았다. 그렇게 침체기를 겪은 후, 1980년대에 [[보물섬]]과 1990년대에 유행을 타기 시작한 [[아이큐 점프]]와 [[소년 챔프]]를 시작으로 대본소에서 빌려보는 시대에서 단행본을 통해 직접 사서 보는 시대로 바뀌게 된다.
*ㅇ


2000년대에는 초고속 [[인터넷]]의 보급으로 더 이상 출판만화로는 수익을 내기가 힘들어지면서 이에 대한 대안으로 [[웹툰]] 시장으로 진출하는 예가 늘어났다.
[[어떤 마술의 금서목록]]


== 일본 만화 ==
*ㅈ
[[파일:MangaStoreJapan.jpg|섬네일|오른쪽|일본 서점의 코믹스 진열장]]
일본의 만화는 대체로 흑백이고, 독특하게 데포르메된 캐릭터 디자인<ref>가장 간단한 예로는 눈동자가 큰 캐릭터를 들 수 있다. 물론 모든 일본 만화 캐릭터가 이 방식을 따르지는 않는다.</ref> 등의 특징으로 구분지어진다. 또, 책 페이지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읽게''' 되어 있는데(오른쪽 프레임 → 왼쪽 프레임, 오른쪽 페이지 → 왼쪽 페이지), 이것은 오른손잡이가 왼손으로 책을 잡고 오른손으로 책장을 넘기기 쉽게 배려한 것이다. 하지만 외국으로 수출된 만화는 대부분 현지화 과정을 거치면서 페이지를 '좌우 반전'해서 왼쪽 → 오른쪽 방향으로 읽게끔 변경되고 있다.<ref>하지만 만화를 그린 사람 역시 오른손잡이, 왼손잡이의 특징이 반영된 그림을 그리기 때문에, 단순히 좌우 반전된 그림은 자세히 보면 원판과는 다른 어색함이 느껴질 수 있다.</ref>


== 분류 ==
*ㅊ
만화는 그 소비자층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아동 만화''', '''소년 만화''', '''청년 만화''', '''성인 만화''': 연령에 따라 아동, 청소년 만화, 성인 만화로 구분할 수 있다. 단, 아동용 만화 중에는 성인 소비자를 의식한 작품도 다수 존재한다.
*
* '''남성향 만화''', '''여성향 만화''': 성별에 따라 남성과 여성이 소비하는 만화로 구분할 수 있다.
* '''소년 만화''', '''소녀 만화''': 성별과 연령에 따라 소년 만화, 소녀 만화로 구분할 수 있다. 단, 소년 만화 중에는 이야기는 소년물의 테두리 안에서 진행되나, 여성향 소비자를 의식한 작품도 다수 존재한다.


한편, 소재와 내용에 따라서 학원물, 판타지물, 개그물, 연애물, 스포츠물, 액션물, 추리물, 모험물 등으로 분류되기도 하며, [[4컷 만화]]럼 네 컷이 한 세트의 이야기를 만드는 기법을 사용한 만화를 가리키는 분류, [[웹코믹]]처럼 인터넷에서 공개되는 작품을 가리키는 분류도 존재한다.
*ㅌ


== 판형 ==
*ㅍ
만화책은 판형과 형식을 달리 해 여러 가지 형태로 나오고 있다.


* '''단행본''': 기본적인 형식. 대체로 잡지 연재 시의 컬러 페이지는 흑백 페이지로 나온다. 코단샤 코믹스 등, 소년·소녀 만화 레이블의 단행본은 '''신서판'''(新書判) 사이즈<ref>B40 판형. 대략 세로 176mm×가로 112mm 정도다. 만화 레이블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다.</ref>다. 청년 만화 레이블은 신서판보다 큰 B6판 사이즈<ref>대략 세로 182mm×가로 128mm 정도.</ref>로 간행되는 예가 많다.
*
* '''문고판''': 단행본을 축소한 문고본 사이즈<ref>대략 세로 152mm×가로 105mm 정도.</ref>의 단행본. 종이 질이 일반 단행본보다 좋은 편이고 휴대성이 높다. 작은 크기지만 일반 단행본과 비교해 한 권에 수록되는 화수의 양이 늘어서 총 권수가 줄어드는 경향이 있다.


{{주석}}
차후에 제대로 누군가 각잡고 추가바람
----
<references />
[[분류:만화| ]]
[[분류:만화| ]]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