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 (성씨)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6번째 줄: 6번째 줄:
《마씨대동보》(馬氏大同譜)에 따르면, 시조 '''마완'''(馬浣)은 [[은나라|은(殷)나라]] 양성인(陽城人)으로 학식과 덕행이 높은 군자이다. 은나라 양성군자(陽城君子) 마완⋅마장(馬莊) 부자(父子)는 [[주왕]]의 폭정에 인한 어지러운 세상을 피하여 경서를 가지고 은거하다가 은나라가 멸망한 뒤에 마장이 [[기자]](箕子)와 더불어 [[고조선]]에 동래(東來)하였다고 한다.
《마씨대동보》(馬氏大同譜)에 따르면, 시조 '''마완'''(馬浣)은 [[은나라|은(殷)나라]] 양성인(陽城人)으로 학식과 덕행이 높은 군자이다. 은나라 양성군자(陽城君子) 마완⋅마장(馬莊) 부자(父子)는 [[주왕]]의 폭정에 인한 어지러운 세상을 피하여 경서를 가지고 은거하다가 은나라가 멸망한 뒤에 마장이 [[기자]](箕子)와 더불어 [[고조선]]에 동래(東來)하였다고 한다.


'''[[장흥 마씨]]'''(長興馬氏)의 득관 시조(得貫 始祖) '''[[마려]]'''(馬黎)는 [[백제]] 개국공신이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42770 《[[삼국사기]]》 제23권 백제본기 제1(卷第二十三 百濟本紀 第一)]</ref> 《[[삼국사기]]》 제23권 백제본기에 따르면 기원전 18년  마려(馬藜), 오간(烏干) 등 10인이 [[고구려]] [[동명왕]](東明王)의 셋째 아들 [[온조]](溫祚)를 인도하여 졸본부여(卒本扶餘)를 피해 남하해서 [[위례성]]을 도읍으로 백제를 건국하고 온조를 왕으로 받들었다.<ref>백제 십제공신(十濟功臣)은 마려, 오간(烏干), 전섭(全攝), 을음(乙音), 해루(解婁), 흘간(屹干), 한세기(韓世奇), 곽충(郭忠), 범창(笵昌), 조성(趙成)이다. 백제 개국공신 중 마려는 마(馬)씨의 시조, 전섭은 전(全)씨의 시조, 조성은 [[직산 조씨]]의 시조이다.</ref> 온조왕이 개국원훈(開國元勳) 마려에게 좌보(左輔)의 벼슬을 내리고 [[회진면|마사량현(馬斯良縣)]]을 식읍(食邑)으로 내려 후손이 세거(世居)하여 대대로 이어 받았다.
'''[[장흥 마씨]]'''(長興馬氏)의 득관 시조(得貫 始祖) '''[[마려]]'''(馬黎)는 [[백제]] 개국공신이다.<ref>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42770 《[[삼국사기]]》 제23권 백제본기 제1(卷第二十三 百濟本紀 第一)] </ref> 《[[삼국사기]]》 제23권 백제본기에 따르면 기원전 18년  마려(馬藜), 오간(烏干) 등 10인이 [[고구려]] [[동명왕]](東明王)의 셋째 아들 [[온조]](溫祚)를 인도하여 졸본부여(卒本扶餘)를 피해 남하해서 [[위례성]]을 도읍으로 백제를 건국하고 온조를 왕으로 받들었다.<ref> 백제 십제공신(十濟功臣)은 마려, 오간(烏干), 전섭(全攝), 을음(乙音), 해루(解婁), 흘간(屹干), 한세기(韓世奇), 곽충(郭忠), 범창(笵昌), 조성(趙成)이다. 백제 개국공신 중 마려는 마(馬)씨의 시조, 전섭은 전(全)씨의 시조, 조성은 [[직산 조씨]]의 시조이다. </ref> 온조왕이 개국원훈(開國元勳) 마려에게 좌보(左輔)의 벼슬을 내리고 [[회진면|마사량현(馬斯良縣)]]을 식읍(食邑)으로 내려 후손이 세거(世居)하여 대대로 이어 받았다.  


[[회진면|마사량현]](馬斯良縣)은 고려 초에 [[회진면|회령]](會寧)으로 고쳐 불렀는 바 이로 인하여 [[본관]](本貫)을 회령으로 하다가 [[고려 인종]](仁宗) 때에는 회령이 장흥에 속하게 되니 다시 본관을 장흥으로 하였다.
[[회진면|마사량현]](馬斯良縣)은 고려 초에 [[회진면|회령]](會寧)으로 고쳐 불렀는 바 이로 인하여 [[본관]](本貫)을 회령으로 하다가 [[인종 (고려)|고려
인종]](仁宗) 때에는 회령이 장흥에 속하게 되니 다시 본관을 장흥으로 하였다.  


[[고려 문종|고려 문종]] 때 마점중(馬占中)의 장남 마현(馬鉉)이 [[목천 마씨]](木川 馬氏)로 갈라지고, 둘째 마혁인(馬赫仁)은 선조의 관향인 [[장흥 마씨]]를 이어갔다.
[[문종 (고려)|고려 문종]] 때 마점중(馬占中)의 장남 마현(馬鉉)이 [[목천 마씨]](木川 馬氏)로 갈라지고, 둘째 마혁인(馬赫仁)은 선조의 관향인 [[장흥 마씨]]를 이어갔다.


장흥 마씨(長興馬氏) 기세조 '''마혁인'''(馬赫仁)은 가문을 크게 일으킨 인물이다. [[1085년]]([[고려 선종]]) 문과에 급제하여 벼슬이 특진(特進)에 이르고 판개성윤(判開城尹)을 지냄으로써 가문에 중흥의 전기를 마련하여 벼슬이 대대로 이어지게 하였으며 이때부터 가첩이 기록되어 전해오고 있다.
장흥 마씨(長興馬氏) 기세조 '''마혁인'''(馬赫仁)은 가문을 크게 일으킨 인물이다. [[1085년]]([[선종 (고려)|고려 선종]]) 문과에 급제하여 벼슬이 특진(特進)에 이르고 판개성윤(判開城尹)을 지냄으로써 가문에 중흥의 전기를 마련하여 벼슬이 대대로 이어지게 하였으며 이때부터 가첩이 기록되어 전해오고 있다.  


마혁인의 아들 마엽(馬曄)은 고려조에 병부시랑(兵部侍郞)을 역임했고, 마혁인의 손자 마의유(馬義裕)는 [[고려 의종]] 때 홍주목사(洪州牧使)로 나가 선정을 베풀었다.
마혁인의 아들 마엽(馬曄)은 고려조에 병부시랑(兵部侍郞)을 역임했고, 마혁인의 손자 마의유(馬義裕)는 [[의종 (고려)|고려 의종]] 때 홍주목사(洪州牧使)로 나가 선정을 베풀었다.  


4세손 [[마희원]](馬希援)은 [[1190년]]([[고려 명종]] 20년)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개부의동삼사(開府議同三司 : 종1품) 문하시중평장사(門下侍中平章事)에 이르렀으며, [[1224년]]([[고려 고종]] 11년) 직문하성(直門下省)으로서 몽골 사신 탑고야(嗒古也)를 서경(西京)까지 호송하였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24185 《고려사》 권22, 고종 11년(1224) 갑신년]</ref>  
4세손 [[마희원]](馬希援)은 [[1190년]]([[명종 (고려)|고려 명종]] 20년)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개부의동삼사(開府議同三司 : 종1품) 문하시중평장사(門下侍中平章事)에 이르렀으며, [[1224년]]([[고종 (고려)|고려 고종]] 11년) 직문하성(直門下省)으로서 몽골 사신 탑고야(嗒古也)를 서경(西京)까지 호송하였다.<ref>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24185 《고려사》 권22, 고종 11년(1224) 갑신년] </ref>  


마희원의 아들 [[마중기]](馬仲奇)는 [[1205년]]([[고려 희종]] 1년) 문과에 장원 급제하여<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24159 《고려사》 권21, 희종 원년(1205) 을축년]</ref> 한림학사 승지(承旨)를 지내고 전리 상서(典理尙書)에 제수(除授)되었으나 최충헌의 도방(都房) 정치에 반대하여 벼슬에 응하지 않다가 최충헌(崔忠獻)이 죽은 후에 사관(仕官)하며 정당문학(政堂文學)을 역임하였다.
마희원의 아들 [[마중기]](馬仲奇)는 [[1205년]]([[희종 (고려)|고려 희종]] 1년) 문과에 장원 급제하여<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24159 《고려사》 권21, 희종 원년(1205) 을축년]</ref> 한림학사 승지(承旨)를 지내고 전리 상서(典理尙書)에 제수(除授)되었으나 최충헌의 도방(都房) 정치에 반대하여 벼슬에 응하지 않다가 최충헌(崔忠獻)이 죽은 후에 사관(仕官)하며 정당문학(政堂文學)을 역임하였다.


마중기의 손자 마지백(馬智伯)은 호부상서, 국자감 제학을 역임했다. 마지백의 증손 마수손(馬壽孫)은 문하시중평장사에 올랐으나 조정 간신들의 질투와 간계를 개탄해 벼슬을 던졌다. 그 뒤 장흥 예양강에 내려와 후학으로 여생을 보냈다.<ref>{{뉴스 인용|제목 = 장흥마씨(長興馬氏) 조선 왕조 기틀 마련한 '마천목' 아들 4형제 모두 현달해 4파 이뤄|URL = http://www.sjb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455439|출판사 = 새전북일보|저자=정복규|날짜 = 2014-03-04}}</ref>
마중기의 손자 마지백(馬智伯)은 호부상서, 국자감 제학을 역임했다. 마지백의 증손 마수손(馬壽孫)은 문하시중평장사에 올랐으나 조정 간신들의 질투와 간계를 개탄해 벼슬을 던졌다. 그 뒤 장흥 예양강에 내려와 후학으로 여생을 보냈다.<ref>{{뉴스 인용|제목 = 장흥마씨(長興馬氏) 조선 왕조 기틀 마련한 '마천목' 아들 4형제 모두 현달해 4파 이뤄|URL = http://www.sjb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455439|출판사 = 새전북일보|저자=정복규|날짜 = 2014-03-04}}</ref>
27번째 줄: 28번째 줄:
마천목(馬天牧)의 아들 4형제가 모두 현달하여 '''[[마승 (1393년)|마승]]'''(馬勝)의 문간공파(文簡公派), 마전(馬腆)의 조은공파(釣隱公派), 마반(馬胖)의 현감공파(縣監公派), 마춘(馬椿)의 참판공파(參判公派)의 4파를 이루었다. 마천목의 장남 '''[[마승 (1393년)|마승]]'''(馬勝)은 세종 때 경상도수사와 판안주목사, [[이조]][[참판]], 경주부윤(慶州府尹) 등을 지내며 [[청백리]]로 유명했고, 1457년 종1품 숭정대부(崇政大夫)로 장흥군(長興君)에 봉해졌다.<ref>[http://uiseong.grandculture.net/Contents?local=uiseong&dataType=01&contents_id=GC05200823 마승 - 의성향토문화백과]</ref> 시호(諡號)는 충간(忠簡)이다.<ref>[http://sillok.history.go.kr/url.jsp?id=kga_10909016_001 《세조실록》 31권, 9년(1463 계미 / 명 천순(天順) 7년) 9월 16일(임신) 1번째기사]</ref>
마천목(馬天牧)의 아들 4형제가 모두 현달하여 '''[[마승 (1393년)|마승]]'''(馬勝)의 문간공파(文簡公派), 마전(馬腆)의 조은공파(釣隱公派), 마반(馬胖)의 현감공파(縣監公派), 마춘(馬椿)의 참판공파(參判公派)의 4파를 이루었다. 마천목의 장남 '''[[마승 (1393년)|마승]]'''(馬勝)은 세종 때 경상도수사와 판안주목사, [[이조]][[참판]], 경주부윤(慶州府尹) 등을 지내며 [[청백리]]로 유명했고, 1457년 종1품 숭정대부(崇政大夫)로 장흥군(長興君)에 봉해졌다.<ref>[http://uiseong.grandculture.net/Contents?local=uiseong&dataType=01&contents_id=GC05200823 마승 - 의성향토문화백과]</ref> 시호(諡號)는 충간(忠簡)이다.<ref>[http://sillok.history.go.kr/url.jsp?id=kga_10909016_001 《세조실록》 31권, 9년(1463 계미 / 명 천순(天順) 7년) 9월 16일(임신) 1번째기사]</ref>


조은공파 6세손으로 선공감주부(繕工監主簿)를 역임한 [[마하수]](馬河秀)는 [[임진왜란]] 때 [[명량해전]]에서 전사하여 병조참판에 추증되고, 현감공파 6세손 [[마응방]](馬應房)은 진안[[현감]]을 지내고 [[정유재란]] 때 남원 전투에서 전사하여 이조참판에 추증되었다. [[연산군]]의 패륜에 항거했던 마숭조(馬崇祖)의 5세손 마윤, 마응훈, 마운종, 마창종  5형제는 의병장으로 진주의 남강 전투에서 혁혁한 공훈을 세웠다.
조은공파 6세손으로 선공감주부(繕工監主簿)를 역임한 [[마하수]](馬河秀)는 [[임진왜란]] 때 [[명량해전]]에서 전사하여 병조참판에 추증되고, 현감공파 6세손 [[마응방]](馬應房)은 진안[[현감]]을 지내고 [[정유재란]] 때 남원 전투에서 전사하여 이조참판에 추증되었다. [[연산군]]의 패륜에 항거했던 마숭조(馬崇祖)의 5세손 마윤, 마응훈, 마운종, 마창종  5형제는 의병장으로 진주의 남강 전투에서 혁혁한 공훈을 세웠다.  


'''[[목천 마씨]]'''(木川馬氏)의 중시조 '''[[마경수]]'''(馬坰秀)는 [[고려]] 때 평장사(平章事)에 오르고 신정군(新定君)에 봉해졌다. 마경수의 8세손 성리학자 [[마희경]](馬羲慶), 그의 손자로서 《오륜통의》(五倫通義), 《사례비요》(四禮備要)의 저자인 [[마사종]](馬嗣宗)은 학자로 유명하다.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로는 마격(馬格), [[마계변]](馬繼卞), [[마맹하]](馬孟河), 마사인(馬思仁), 마지휘(馬之徽), 마한량(馬翰良), [[마현겸]](馬玄謙), [[마유 (조선)|마유]](馬游) 등이 있다.<ref>{{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LST_060_187_0127|목천 마씨}}</ref>
'''[[목천 마씨]]'''(木川馬氏)의 중시조 '''[[마경수]]'''(馬坰秀)는 [[고려]] 때 평장사(平章事)에 오르고 신정군(新定君)에 봉해졌다. 마경수의 8세손 성리학자 [[마희경]](馬羲慶), 그의 손자로서 《오륜통의》(五倫通義), 《사례비요》(四禮備要)의 저자인 [[마사종]](馬嗣宗)은 학자로 유명하다.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로는 마격(馬格), [[마계변]](馬繼卞), [[마맹하]](馬孟河), 마사인(馬思仁), 마지휘(馬之徽), 마한량(馬翰良), [[마현겸]](馬玄謙), [[마유 (조선)|마유]](馬游) 등이 있다.<ref>{{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LST_060_187_0127|목천 마씨}}</ref>
55번째 줄: 56번째 줄:


===중국 ===
===중국 ===
'''마'''(馬, Ma) 성은 중국 인구 1,000만 ~ 2,000만 명으로 성씨 인구 순위 14위이다.
'''마'''(馬, Ma) 성은 중국 인구 1,000만 ~ 2,000만 명으로 성씨 인구 순위 14위이다.  


역사 인물로는 후한의 정치가 [[마원 (후한)|마원]](馬援), [[마등]], 촉한의 장군 [[마초 (촉한)|마초]], [[마대]], [[마량]], [[마속]] 등이 있고, 명나라 제독 [[마삼보]]([[정화 (명나라)|정화]])는 항해가로 유명하다. 현재 [[중화민국]](타이완) 총통이 [[마잉주]](馬英九)다.
역사 인물로는 후한의 정치가 [[마원 (후한)|마원]](馬援), [[마등]], 촉한의 장군 [[마초 (촉한)|마초]], [[마대]], [[마량]], [[마속]] 등이 있고, 명나라 제독 [[마삼보]]([[정화 (명나라)|정화]])는 항해가로 유명하다. 현재 [[중화민국]](타이완) 총통이 [[마잉주]](馬英九)다.


== 삼 마씨 ==
== 삼 마씨 ==
'''마'''(麻)씨는 [[중국]] 상곡(上谷)에서 계출(系出)된 성씨이다.
'''마'''(麻)씨는 [[중국]] 상곡(上谷)에서 계출(系出)된 성씨이다.  


마(麻)씨는 2000년 [[대한민국 통계청]]의 인구조사에서 998명으로 조사되었다. 본관은 [[영평 마씨|영평]](永平), 열산, [[상곡 마씨|상곡]](上谷) 3본이다.
마(麻)씨는 2000년 [[대한민국 통계청]]의 인구조사에서 998명으로 조사되었다. 본관은 [[영평 마씨|영평]](永平), 열산, [[상곡 마씨|상곡]](上谷) 3본이다.
* '''[[영평 마씨]]'''(永平 麻氏) 시조 '''[[마난]]'''(麻煖)은 [[고려 태조]] 원년([[918년]]) [[고려의 공신|고려 개국공신]] 이등공신으로 녹훈되었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573902&cid=42953&categoryId=42953 《고려사》 권1 태조 원년]</ref> 2000년 인구는 127가구, 425명이다.
* '''[[영평 마씨]]'''(永平 麻氏) 시조 '''[[마난]]'''(麻煖)은 [[고려 태조]] 원년([[918년]]) [[고려의 공신|고려 개국공신]] 이등공신으로 녹훈되었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573902&cid=42953&categoryId=42953 《고려사》 권1 태조 원년]</ref> 2000년 인구는 127가구, 425명이다.
* '''[[상곡 마씨]]'''(上谷 麻氏)의 중시조는 1597년 [[정유재란]] 때 [[명나라]] 제독으로 원병을 이끌고 [[조선]]에서 공훈을 세운 '''[[마귀 (명나라)|마귀]]'''(痲貴) 장군이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90106&cid=40942&categoryId=33397 마귀 - 두산백과]</ref> [[마귀 (명나라)|마귀]]는 회회국왕 '''마립'''(麻立)의 원손으로 포정사(布政使) 마록(麻祿)의 아들이다. 그는 [[명나라]]에서 대장군, 병부상서 등을 지내고, 1597년(선조 30년) 정유재란 때 제독으로 용장 36명, 철기 1천명, 기병 1만6천 명을 거느리고 손자 마암(麻巖)과 함께 조선에 원군으로 와서 왜군을 무찌르고 1599년(선조 32년) 3월에 귀국했다. 그 뒤 명나라가 청나라에 망하자 증손인 [[마순상]](麻舜裳)이 조선에 귀화했다. 2000년 인구는 21가구, 63명이다.
* '''[[상곡 마씨]]'''(上谷 麻氏)의 중시조는 1597년 [[정유재란]] 때 [[명나라]] 제독으로 원병을 이끌고 [[조선]]에서 공훈을 세운 '''[[마귀 (명나라)|마귀]]'''(痲貴) 장군이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90106&cid=40942&categoryId=33397 마귀 - 두산백과]</ref> [[마귀 (명나라)|마귀]]는 회회국왕 '''마립'''(麻立)의 원손으로 포정사(布政使) 마록(麻祿)의 아들이다. 그는 [[명나라]]에서 대장군, 병부상서 등을 지내고, 1597년(선조 30년) 정유재란 때 제독으로 용장 36명, 철기 1천명, 기병 1만6천 명을 거느리고 손자 마암(麻巖)과 함께 조선에 원군으로 와서 왜군을 무찌르고 1599년(선조 32년) 3월에 귀국했다. 그 뒤 명나라가 청나라에 망하자 증손인 [[마순상]](麻舜裳)이 조선에 귀화했다. 2000년 인구는 21가구, 63명이다.


74번째 줄: 77번째 줄:


{{각주}}
{{각주}}
{{한국인의 성씨}}
{{한국의 성씨}}
{{퍼온문서|마 (성씨)|15735952}}
{{퍼온문서|마 (성씨)|15735952}}
[[분류:중국의 성씨]]
[[분류:성씨]]
[[분류:한국인의 성씨]]
[[분류:한국의 성씨]]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