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 태조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이공온'''(李公蘊, [[974년]] [[3월 8일]] ~ [[1028년]] [[3월 31일]])은 옛 [[베트남]] [[대구월]] 이가의 초대 황제로, 묘호는 태조이다.
'''이공온'''(李公蘊, [[974년]] [[3월 8일]] ~ [[1028년]] [[3월 31일]])은 옛 [[베트남]] [[대구월]] 이가의 초대 황제로,묘호는 태조이다.


== 생애 ==
== 생애 ==
태조 이공온은 와조제의 폭정에 지친 민심을 얻어 차기 황제로 추대되어 대구월의 새로운 왕조인 이가를 열었다. 그리고 베트남 역사상 최초로 중앙집권체제를 확립하고 강화시켰다. 또한 베트남 역사상 최초로 승룡(현재의 [[하노이]])을 [[수도]]로 천도한 황제다.
태조 이공온은 와조제의 폭정에 지친 민심을 얻어 차기 황제로 추대되어 대구월의 새로운 왕조인 이가를 열었다. 그리고 베트남 역사상 최초로 중앙집권체제를 확립하고 강화시켰다. 또한 베트남 역사상 최초로 승룡(현재의 [[하노이]])을 [[수도]]로 천도한 황제다.


[[974년]] [[3월 8일]], 대구월 북강 고법주 정방촌(현재의 박닌성 뜨선현)의 복건인 [[화교]] 호족 가문에서 태어났다. 그의 어머니이자 가문의 유력자였던 범씨 부인의 영향으로 3세부터 당시 황실의 국사이자 비니다류지파<ref>당시 대구월의 [[불교]]는 [[송나라]]의 영향을 받은 무언통파가 주류였지만, 비니다류지파는 정통 인도식 불교를 따르는 선중파 계열이었다.</ref> 제12대 조사인 만행법사의 제자로 들어가서 엘리트 수준의 불교 교육을 받았다. 만행은 그를 제자로 받으면서부터 그가 범상치 않다는 것을 느꼈다.
[[974년]] [[3월 8일]], 대구월 북강 고법주 정방촌 (현재의 박닌성 뜨선현)의 복건인 [[화교]] 호족 가문에서 태어났다. 그의 어머니이자 가문의 유력자였던 범씨 부인의 영향으로 3세부터 당시 황실의 국사이자 비니다류지파<ref>당시 대구월의 [[불교]]는 [[송나라]]의 영향을 받은 무언통파가 주류였지만, 비니다류지파는 정통 인도식 불교를 따르는 선중파 계열이었다.</ref> 제12대 조사인 만행법사의 제자로 들어가서 엘리트 수준의 불교 교육을 받았다. 만행은 그를 제자로 받으면서부터 그가 범상치 않다는 것을 느꼈다.


만행법사의 밑에서 교육을 마친 후에는 조정으로 가서 실력을 인정받고 고속승진을 거듭했다. 끋내 당시 황제였던 와조제의 신임을 얻어 좌친위전전지휘사의 직위까지 오르게 됐다. 와조제는 입에 침이 마르도록 이공온에 대한 칭찬을 아끼지 않으며 자신의 딸을 그에게 줬지만 그는 [[주지육림]]에 찌든 폭군이었으며<ref>나랏일을 할 때면 무조건 드러누웠고, 죄인을 나무에 매단 뒤 그 나무를 베어서 낙사시키고, 송나라식 법통을 따르지 않은 승려들을 노리개로 삼았다.</ref> 민심은 이미 그를 떠난지 오래였다. 이공온 본인도 이를 잘 알고 있었고 이를 대비하기 위해 자신만의 세력을 구축했다.
만행법사의 밑에서 교육을 마친 후에는 조정으로 가서 실력을 인정받고 고속승진을 거듭했다. 끋내 당시 황제였던 와조제의 신임을 얻어 좌친위전전지휘사의 직위까지 오르게 됐다. 와조제는 입에 침이 마르도록 이공온에 대한 칭찬을 아끼지 않으며 자신의 딸을 그에게 줬지만 그는 주지육림에 찌든 폭군이었으며<ref>나랏일을 할 때면 무조건 드러누웠고, 죄인을 나무에 매단 뒤 그 나무를 베어서 낙사시키고, 송나라식 법통을 따르지 않은 승려들을 노리개로 삼았다.</ref> 민심은 이미 그를 떠난지 오래였다. 이공온 본인도 이를 잘 알고 있었고 이를 대비하기 위해 자신만의 세력을 구축했다.


[[1009년]], 와조제가 치질로 사망하면서 황실은 그의 동생들로 인한 내란으로 휩싸였다. 우전전지휘사인 완저와 기후인 도감목은 당시 황실에서 제일 명망높은 이공온을 차기 황제로 추대하기로 결정하고 500의 병력을 이끌고 내란을 종식시켰다. 이후 그동한 와조제 치세에서 탄압받던 선종파 승려 계층들은 만행법사를 중심으로 새로운 왕조를 건설하기 위한 정통성을 알리기 위해 적극적인 홍보에 나섰다.
[[1009년]], 와조제가 치질로 사망하면서 황실은 그의 동생들로 인한 내란으로 휩싸였다. 우전전지휘사인 완저와 기후인 도감목은 당시 황실에서 제일 명망높은 이공온을 차기 황제로 추대하기로 결정하고 500의 병력을 이끌고 내란을 종식시켰다. 이후 그동한 와조제 치세에서 탄압받던 선종파 승려 계층들은 만행법사를 중심으로 새로운 왕조를 건설하기 위한 정통성을 알리기 위해 적극적인 홍보에 나섰다.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