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Tux.svg|thumb|right|200px|리눅스의 마스코트 턱스(Tux)]]
[[분류:리눅스| ]]
'''리눅스'''(Linux)는 [[유닉스 계열]]이고 [[POSIX]] 호환인 [[오픈 소스]] [[커널]] 중 하나이자 그 커널을 사용하는 [[운영 체제]]를 말하기도 한다.
[[File:Tux.svg|thumb|right|200px|리눅스의 마스코트 턱스(Tux)]]
 
{{ㅊ|이쪽이 [[윈도우]]보다 긴건 기분탓}}
 
== 개요 ==
'''Linux'''는 [[유닉스]] 계열(Unix-like)이고 [[POSIX]] 호환인 [[오픈 소스]] [[커널]] 중 하나이다.
 
[[BSD]] 계열이나 [[윈도우즈]]와는 달리 [[커널]]만 개발하고, [[배포판]] 개발자들이 여기에 다른 소프트웨어를 추가하여 배포판을 만든다.


[[BSD]] 계열이나 [[윈도우]]와는 달리 [[커널]]만 개발하고, [[리눅스 배포판]] 개발자들이 여기에 다른 소프트웨어를 추가하여 배포판을 만든다. 커널 개발은 [[GNU]](GNU Is Not [[유닉스|UNIX]]) 프로젝트와는 관계없는 별개의 프로젝트로 리눅스 창시자 [[리누스 토르발스]]와 GNU쪽 [[리처드 스톨만]]은 [[오픈 소스]]에 대한 견해 차이로 사이도 좋지 않다. 토르발스는 유료 판매 및 비오픈소스 소프트웨어에도 긍정적인 반면 스톨만은 모든 유료 및 비오픈소스 소프트웨어를 싫어하기 때문이다.
리눅스는 [[GNU]](GNU Is Not [[유닉스|UNIX]]) 프로젝트와는 관계없는 별개의 프로젝트로 리눅스 개발자 [[리누스 토르발스]]와 GNU쪽 [[리처드 스톨만]]은 [[오픈 소스]]에 대한 견해 차이로 사이도 좋지 않다. 토르발스는 유료 판매 및 비오픈소스 소프트웨어에도 긍정적인 반면 스톨만은 모든 유료 및 비오픈소스 소프트웨어를 싫어하기 때문이다.  


GNU쪽에서는 자신들의 소프트웨어가 리눅스 배포판에 포함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GNU/Linux라고 부르지만 리누스 토르발스를 포함하여 리눅스 커널 개발자들은 리눅스라고만 부른다.
GNU쪽에서는 자신들의 소프트웨어가 리눅스 배포판에 포함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GNU/Linux라고 부르지만 리누스 토르발스를 포함하여 리눅스 커널 개발자들은 리눅스라고만 부른다. 애초에 GNU와는 아무 관계없는 별개 프로젝트이기 때문이다.


최신 커널 버전은 [http://kernel.org 여기서] 확인할 수 있다.
최신 커널 버전은 [http://kernel.org 여기서] 확인할 수 있다.
23번째 줄: 30번째 줄:


===현재===
===현재===
상당수의 [[웹 서버]]와 [[모바일]]([[안드로이드 (OS)|안드로이드]]등…)구동하는 [[운영체제]]이다. 특히 서버 쪽에서 리눅스의 지위는 엄청나다. 무료인 데다가, 리눅스에 익숙한 인력도 많고, 안정성도 높은 편이니 서버 운영체제로서는 최적인 셈. 서버용 프로그램들 대부분이 리눅스를 지원하거나, 리눅스 상에서 개발되고 있다. 모바일 시장에서 안드로이드의 위상이야 더 말할 필요가 없을 정도이고...
상당수의 [[웹 서버]]와 [[모바일 장치]]([[안드로이드 (OS)|안드로이드]], [[미고]] 등…)구동하는 [[운영체제]]이다. 특히 서버 쪽에서 리눅스의 지위는 엄청나다. 무료인 데다가, 리눅스에 익숙한 인력도 많고, 안정성도 높은 편이니 서버 운영체제로서는 최적인 셈. 서버용 프로그램들 대부분이 리눅스를 지원하거나, 리눅스 상에서 개발되고 있다. 모바일 시장에서 안드로이드의 위상이야 더 말할 필요가 없을 정도이고...


물론 데스크탑에서 사용하는 사람들도 많다! 다만 서버와 모바일(안드로이드) 운영체제로서의 입지가 엄청나게 탄탄한 데 비해서 데스크탑에서의 존재감은 미미한 편이다.{{ㅊ|active X 쓰는 웹사이트에서 맥 사용자만 우는 거 아니다. 리눅스 사용자들도 운다. ㅠㅠ}} 실제로 [[리누스 토르발즈]]는 [[2014년]] "전 아직도 리눅스 데스크탑을 원합니다"라며 리눅스의 데스크탑 운영체제로서의 점유율에 아쉬움을 드러낸 바 있다. 리눅스가 애초에 데스크탑 운영체제로 시작했음을 생각하면 데스크탑에서 리눅스의 미약한 입지는 아이러니하다 할 수 있다. 그렇지만 [[KDE]], [[GNOME]] 등의 데스크탑 환경들이 지속적으로 발전하여 사용성과 안정성이 꽤 높아진 데다가 리눅스 데스크탑용 소프트웨어의 수가 지속적으로 늘고 있으며, SteamOS의 등장으로 리눅스에 게임도 많이 포팅되고 있다. 리눅스를 데스크탑에서 사용하기에는 지금만큼 좋은 때가 없는 셈.
물론 데스크탑에서 사용하는 사람들도 많다! 다만 서버와 모바일(안드로이드) 운영체제로서의 입지가 엄청나게 탄탄한 데 비해서 데스크탑에서의 존재감은 미미한 편이다.<strike>active X 쓰는 웹사이트에서 맥 사용자만 우는 거 아니다. 리눅스 사용자들도 운다. ㅠㅠ</strike> 실제로 [[리누스 토르발즈]]는 [[2014년]] "전 아직도 리눅스 데스크탑을 원합니다"라며 리눅스의 데스크탑 운영체제로서의 점유율에 아쉬움을 드러낸 바 있다. 리눅스가 애초에 데스크탑 운영체제로 시작했음을 생각하면 데스크탑에서 리눅스의 미약한 입지는 아이러니하다 할 수 있다. 그렇지만 [[KDE]], [[GNOME]] 등의 데스크탑 환경들이 지속적으로 발전하여 사용성과 안정성이 꽤 높아진 데다가 리눅스 데스크탑용 소프트웨어의 수가 지속적으로 늘고 있으며, SteamOS의 등장으로 리눅스에 게임도 많이 포팅되고 있다. 리눅스를 데스크탑에서 사용하기에는 지금만큼 좋은 때가 없는 셈.


==특징==
==특징==
34번째 줄: 41번째 줄:
[[파일:배포판.png|섬네일|가운데|리눅스의 배포판]]
[[파일:배포판.png|섬네일|가운데|리눅스의 배포판]]


리눅스 커널과 시스템 애플리케이션(init, systemd, udev, syslogd, etc..), 그 외 일반 유저 애플리케이션들을 묶어서 배포하는 형태. 리눅스는 커널일 뿐이다. 배포판들은 커널 위에 이것저것을 얹어서 실사용이 가능한 상태로 만들어서 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리눅스 시스템이 동작하기 위해서 설치해야 하는 것들은 기본적인 시스템 애플리케이션에서 미들웨어, 사용자가 직접 다루는 UI 등 수백 개에 달한다. 이를 사용자가 하나하나 선택/컴파일한다고 생각해보라. 그럴 수는 없기에 배포판이 등장했던 것이다.
리눅스 커널과 시스템 애플리케이션(init, systemd, udev, syslogd, etc..), 그 외 일반 유저 애플리케이션들을 묶어서 배포하는 형태. 리눅스는 커널일 뿐이다. 배포판들은 커널 위에 이것저것을 얹어서 실사용이 가능한 상태로 만들어서 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리눅스 시스템이 동작하기 위해서 설치해야 하는 것들은 기본적인 시스템 애플리케이션에서 미들웨어, 사용자가 직접 다루는 UI 등 수백 개에 달한다. 이를 사용자가 하나하나 선택/컴파일한다고 생각해보라. 그럴 수는 없기에 배포판이 등장했던 것이다.  


배포판 시스템은 리눅스를 처음 접하는 유저들에게 적지 않은 혼란을 줄 때가 있다. "아니, 나는 리눅스라는 운영체제를 써보고 싶었을 뿐인데, 우분투는 또 뭐고, 페도라는 또 뭐고, …에라 모르겠다!" 와 같은 생각을 하는 것이다. "왜 리눅스라는 운영체제가 수백 개가 있느냐"라고 질문하는 경우도 있었다. 리눅스 자체는 커널일 뿐이다. 리눅스 커널 기반의 운영체제들이 많다고 생각하면 되겠다.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 근본적 이유는 리눅스가 '''오픈 소스이기 때문이다'''.기존에 사용하고 있던 배포판에 마음에 들지 않는 부분이 있으며, 자신이 새로운 배포판을 개발할 역량이 있다면 '''누구나''' 마음대로 새로운 배포판을 만들어낼 수 있는 것이다. 그러다보니 우분투 기반의 배포판만 수십~수백 개에 달한다.(...)
배포판 시스템은 리눅스를 처음 접하는 유저들에게 적지 않은 혼란을 줄 때가 있다. "아니, 나는 리눅스라는 운영체제를 써보고 싶었을 뿐인데, 우분투는 또 뭐고, 페도라는 또 뭐고, …에라 모르겠다!" 와 같은 생각을 하는 것이다. "왜 리눅스라는 운영체제가 수백 개가 있느냐"라고 질문하는 경우도 있었다. 리눅스 자체는 커널일 뿐이다. 리눅스 커널 기반의 운영체제들이 많다고 생각하면 되겠다.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 근본적 이유는 리눅스가 '''오픈 소스이기 때문이다'''.기존에 사용하고 있던 배포판에 마음에 들지 않는 부분이 있으며, 자신이 새로운 배포판을 개발할 역량이 있다면 '''누구나''' 마음대로 새로운 배포판을 만들어낼 수 있는 것이다. 그러다보니 우분투 기반의 배포판만 수십~수백 개에 달한다.(...)


배포판 선택에 혼란을 겪는 사용자라면, [[우분투]]나 [[리눅스 민트]] 등을 선택하여 감을 먼저 익히는 것이 좋다. 우분투와 민트가 국내/국외 커뮤니티 지원이 빠방하기 때문이다. 우분투나 민트를 사용하면서 리눅스에 익숙해지면, 그 후에 자신의 입맛에 따라 다른 배포판으로 갈아타면 된다.
배포판 선택에 혼란을 겪는 사용자라면, 우분투나 민트 등을 선택하여 감을 먼저 익히는 것이 좋다. 우분투와 민트가 국내/국외 커뮤니티 지원이 빠방하기 때문이다. 우분투나 민트를 사용하면서 리눅스에 익숙해지면, 그 후에 자신의 입맛에 따라 다른 배포판으로 갈아타면 된다.


====대표적인 배포판들====
====대표적인 배포판들====
{{참조|리눅스 배포판}}
{{안내문|알파벳 순 영문 이름 → 가나다순 한글 이름으로 기재했습니다.}}
{{안내문|알파벳 순 영문 이름 → 가나다순 한글 이름으로 기재했습니다.}}


* 데비안 계열
* 데비안 계열
** [[데비안]] - '''우분투의 모체'''이지만, 보급률이 낮다.
** [[데비안]]
*** [[구름 OS]]
** [[우분투]]
** [[우분투]] - 가장 보급률이 높다.
***[[리눅스 민트]]
***[[리눅스 민트]]
****[[하모니카 (운영체제)|하모니카]]
****[[하모니카 (운영체제)|하모니카]]
* 레드햇 계열
* 레드햇 계열
** [[CentOS]] - 레드햇의 일반 사용자용 버전. 지금은 레드햇과 많이 달라졌다.
** [[CentOS]]
** [[RHEL]]
** [[RHEL]]
** [[페도라 (운영체제)|페도라]]
** [[페도라 (운영체제)|페도라]]
* 안드로이드 계열
**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안드로이드]] 리눅스 커널 기반이지만, 일반적인 GNU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지 않아 다른 GNU/Linux와는 ABI가 호환되지 않는다. 에뮬레이터를 사용해야 터미널에 접근 가능하다.
** Phoenix OS 피닉스 OS
* 슬랙웨어
** 슬랙웨어 리눅스
** [[오픈수세]]
* 기타
* 기타
** [[LFS(OS)|Linux From Scratch]] (배포판보다는 매뉴얼에 가까운 물건. 완전한 바닥에서 출발해서 시스템을 쌓아올리는 방법을 담고 있다.)
** [[LFS(OS)|Linux From Scratch]] (배포판보다는 매뉴얼에 가까운 물건. 완전한 바닥에서 출발해서 시스템을 쌓아올리는 방법을 담고 있다.)
**[[아치 리눅스]] - LFS와 비슷한 철학을 가지고 있지만, LFS만큼 하드코어하지는 않고, 패키지 관리자를 포함한 기본적인 시스템을 구성해서 준다. 롤링 릴리스 배포판.
**[[아치 리눅스]] LFS와 비슷한 철학을 가지고 있지만, LFS만큼 하드코어하지는 않고, 패키지 관리자를 포함한 기본적인 시스템을 구성해서 준다. 롤링 릴리스 배포판.
** [[안드로이드 (OS)|안드로이드]] (Android/Linux - 리눅스 커널을 쓰지만, 일반적 GNU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지 않아 GNU/Linux 와는 ABI 가 호환되지 않는다.)
** [[오픈수세]]
** [[젠투 리눅스]] (소스 컴파일 식 배포판. GNU/Linux 혹은 µClibc/Linux 두 설정 중 하나로 시스템 구성이 가능하다.)
** [[젠투 리눅스]] (소스 컴파일 식 배포판. GNU/Linux 혹은 µClibc/Linux 두 설정 중 하나로 시스템 구성이 가능하다.)


79번째 줄: 82번째 줄:
==대중화 방해 요인==
==대중화 방해 요인==
=== 하드웨어 드라이버 문제 ===
=== 하드웨어 드라이버 문제 ===
리눅스는 커널에 기본적으로 모든 드라이버가 탑재되어 있다. 이에 특히 최신 하드웨어를 사용하는 경우, 구형 커널을 사용하는 배포판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럴 경우, 커널을 직접 빌드하거나, 아치(만자로) 리눅스 같은 배포판을 사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윈도우에 비해 하드웨어 드라이버의 지원이 부족한 느낌이 들고, 특히 노트북의 무선랜 드라이버는 정말 지원이 부족하다는 느낌이 든다.  
윈도우에 비해 하드웨어 드라이버의 지원이 부족한데, 특히 터치바 이후의 맥북, 서피스 랩톱 같은 경우 드라이버가 탑재되어 있지 않아 사용하려면 커널 패치를 해야하는 등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한다. 리눅스 사용자라면 특이한 하드웨어는 피하는게 좋다.
드라이버 관련 문제를 최소화 하기 위한 한 가지 팁을 주자면, 레드햇에서는 레드햇 리눅스가 잘 돌아가는지 테스트한 Red Hat Certified Product를 공개한다. <ref>https://hardware.redhat.com/laptop</ref> 여기 올라와 있는 노트북은 일단 호환성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매우 낮으니, 리눅스가 지원하는 하드웨어에 대해 잘 모른다면 이 리스트를 확인해 보고 구매를 결정하는 것이 현명하다.
이에 캐노니컬과 레드햇에서는 자신들의 배포판이 잘 돌아가는지 테스트한 리스트를 제공하는데, <ref>https://catalog.redhat.com/hardware</ref>, <ref>https://certification.ubuntu.com/</ref>. 여기 올라와 있는 하드웨어들은 호환성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낮으니, 리눅스가 지원하는 하드웨어에 대해 잘 모른다면 이 리스트를 확인해 보고 구매를 결정하는 것도 좋다.
추가적으로 데스크탑의 Cpu는 [[Intel]], Gpu는 [[Nvidia]] (또는 Intel)이라면 드라이버 문제가 거의 발생하지 않으니 안심하고 사용해도 된다. <del>고통받는 amd 사용자...</del>
 
CPU는 AMD, 인텔 양사 잘 돌아가나, GPU 의 경우 가리는 것이 있다. AMD와 인텔의 경우 오픈소스로 드라이버를 제공해 문제가 낮으나, Nvidia 는 상용 드라이버로 제공해 종종 문제가 생긴다. 예를 들어 리눅스의 최신 디스플레이 프로토콜인 Wayland 를 지원을 독자 규격으로 해 그놈, KDE를 제외하고는 사용을 못한다. 혹여 X 서버를 사용한다 해도 몇몇 관련 커맨드는 듣질 않는 문제가 있다. 허나 AMD 의 경우 AMF (하드웨어 가속 인코딩 기능) 같은, 윈도우는 지원하나 리눅스를 지원 안하는 기능이 몇몇 있으나, Nvidia의 경우 윈도우 처럼 대부분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 쉽지 않은 문제 해결 ===
Windows의 경우 문제가 생기면 인터넷에서 GUI로 가능한 쉬운 방식의 해결법을 찾을 수 있다. 하지만 GNU/Linux 배포판을 사용하다 발생하는 문제는 해결이 어려운 경우가 많고 기본적인 터미널 사용법은 알아야 한다. 일반인들에겐 마우스로 클릭하면 (거의)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Windows나 macOS (구 OS X, Mac OS) 보다 더 편해보이지 않을것이다. 비록 Ubuntu GNU/Linux 등의 배포판에서는 쉽게 마우스 클릭으로도 여러 기능들을 제공하지만, 이 또한 기초적인 기능에만 그치며 사용이 어려운 배포판이 많다.
 
== 커널 업데이트 목록 ==
6.1
* 커널 작성 언어에 [[RUST]] 추가
 
6.0
 
5.19
 
5.18
 
5.17
 
5.16
 
5.15
:우분투 22.04의 커널
 
5.14
* 라즈베리파이 Pi 400 지원
* Dell 하드웨어 프라이버시 지원 (카메라와 마이크를 끄는 하드웨어 버튼을 위한)
* ThinkPad의 BIOS를 리눅스에서 세팅할 수 있게 하는 Think-LMI 드라이버
* 퀄컴 Adreno 660 GPU 지원.
* 인텔 알더레이크 P 그래픽 지원
* 새로운 AMD 지원: Yello Carp GPU, Beige Goby GPU, AMDGPU HMM SVM, 노트북 Smart Shift, 라이젠 모바일 기기를 위한 Fusion Hub 지원.
* 플래시 메모리 친화적인 파일 시스템 읽기 전용 모드.
* Hyper-V 게스트를 위한 더 빠른 XMM hypercalls.
* RISC-V 계열 프로세서를 위한 Transparent Hugepages.
* 엘더레이크 하이브리드 프로세서를 위한 인텔 P-State.
* ACPI 플랫폼 런타임 메커니즘 (일부 시스템 관리 인터럽트 핸들러를 시스템 관리 모드에서 OS/VMM 실행 컨텍스트로 이동 가능)
* 코어-스케쥴링 인터페이스: 사용자 공간 대 사용자 공간 및 사용자 대 커널 공격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됨.
* memfd_secret은 소유 프로세스의 문맥에서만 보이는 메모리 공간을 만들수 있는 시스템 콜이다. 다른 프로세스나 커널 페이지 테이블에도 매핑되지 않는다.
 
5.13
: 우분투 21.10
* Apple M1 초기 지원.
* 새로운 "Landlock" Linux 보안 모듈.
* 엘더레이크 S 초기 그래픽 지원.
* AMD FreeSync HDMI 지원.
* 새로운 Intel 서멀 드라이버
* Realtek RTL8156 및 RTL8153D 지원
* Amazon Luna 게임 컨트롤러 새 드라이버 지원.
* 최신 Microsoft 서피스 터치패드 및 키보드 지원.
 
5.12
* Intel VRR/Intel Xe용 적응형 동기화.
* [[라데온]] RX 6800/6900 시리즈 OverDrive 오버 클러킹 지원.
* Nintendo 64 메인 라인 지원
* [[소니]] [[플레이스테이션 5]] DualSense 컨트롤러 드라이버.
* CXL 2.0 Type-3 메모리 장치 지원
* [[레노버]] 노트북 플랫폼 프로필 지원.
* 더 나은 Microsoft 서피스 장치 지원.


==대체 가능한 프로그램들==
==대체 가능한 프로그램들==
* MS Office --> [[Libre Office]], OpenOffice.org
* MS Office - [[LibreOffice]], OpenOffice.org. 아웃룩 기능은 Mozilla Thunderbird 혹은 Evolution 등의 메일 클라이언트가 있다.
* Outlook 또는 Windows Mail --> [[Thunderbird]]
* 웹브라우저 - [[Firefox]], [[Google chrome]]
* [[InternetExplorer]] --> [[Firefox]], [[Chromium]]
* Adobe photoshop - Gimp
* Adobe photoshop --> Gimp
* Visual Studio - [[Vim]], Emacs, gnome builder, kdevelop, [[Eclipse]]
* Visual Studio --> [[Vim]], Emacs, gnome builder, kdevelop, [[Eclipse]]
* <del>[[와인]] - [[윈도우]]의 프로그램을 리눅스에서 돌아가게 하는 요술단지 </del>
 
아래는 대체 불가능한 프로그램을 사용하기 위한 호환 레이어들이다.
* [[와인]] - [[윈도우]]의 프로그램을 리눅스에서 돌아가게 해주는 프로그램이다.
* [[프로톤]] - [[스팀]]의 호환 레이어 프로그램으로 리눅스로 빌드되어있지 않은 게임을 실행하기 위해 벨브.사에서 개발하게 되었다.
 
== 유용한 프로그램 ==
* radeontop: 라데온 그래픽카드의 사용량을 표시하는 CLI 프로그램이다. VRAM 사용량, 메모리클럭, 테셀레이터 등의 정보를 볼 수 있다.


==같이 보기==
==같이 보기==
* [[시리즈:내 리눅스가 이렇게 쉬울 리 없어!]]: 리눅스에 첫 발을 내딛은 초보자들이라면, 이 문서를 읽으세요!
* [[내 리눅스가 이렇게 쉬울 리 없어!]]: 리눅스에 첫 발을 내딛은 초보자들이라면, 이 문서를 읽으세요!
 
{{리눅스 배포판}}


{{각주}}
{{각주}}
[[분류:리눅스| ]]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