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위키/문제점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분류:디시위키|문제점]]
[[분류:비판]]
{{인용문2|1=[[파일:디시위키폴란드공.png|thumb|100px|left|링크=폴란드공]]<div style="margin-left: 8em;"><span style="font-size:large;"><span style="color:red;">주의!</span> 이 글은 헬시위키의 현실을 다룹니다.</span>
{{인용문2|1=[[파일:디시위키폴란드공.png|thumb|100px|left|링크=폴란드공]]<div style="margin-left: 8em;"><span style="font-size:large;"><span style="color:red;">주의!</span> 이 글은 헬시위키의 현실을 다룹니다.</span>


9번째 줄: 11번째 줄:
{{인용문2|1='''최근 음란, 혐오, 차별적 언어 등 반사회적 게시물에 대한 당국의 강도 높은 단속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이용자 여러분도 아시다시피 디시위키도 예외는 아닙니다. 이와 관련된 단어 및 이미지가 발견될 시 관리자 직권으로 해당 문구 삭제 혹은 문서 전체를 삭제할 수 있음을 알려드리며, 문서 작성 시 욕설과 비속어, 비하어 등 사회 정서에 맞지 않는 단어 사용을 지양해 주시기를 간곡히 당부드립니다. 감사합니다.'''|2=디시위키의 [https://wiki.dcinside.com/index.php?title=%EB%8C%80%EB%AC%B8&oldid=2156042 대문] 문서|3=디시위키의 현 상황을 알 수 있는 대목}}
{{인용문2|1='''최근 음란, 혐오, 차별적 언어 등 반사회적 게시물에 대한 당국의 강도 높은 단속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이용자 여러분도 아시다시피 디시위키도 예외는 아닙니다. 이와 관련된 단어 및 이미지가 발견될 시 관리자 직권으로 해당 문구 삭제 혹은 문서 전체를 삭제할 수 있음을 알려드리며, 문서 작성 시 욕설과 비속어, 비하어 등 사회 정서에 맞지 않는 단어 사용을 지양해 주시기를 간곡히 당부드립니다. 감사합니다.'''|2=디시위키의 [https://wiki.dcinside.com/index.php?title=%EB%8C%80%EB%AC%B8&oldid=2156042 대문] 문서|3=디시위키의 현 상황을 알 수 있는 대목}}


디시위키는 기본적으로 거친 말투를 쓰는 이용자들이 많다는 특징이 있다. [[키보드 배틀]]을 뜨는 과정에서 합리적인 방향을 모색하기보다는 상대방에 대한 원색적인 비난과 선동, 그리고 날조가 오가는 곳이 디시인사이드이다. 모두까기를 통한 중립성이나 표현의 자유를 주장하기도 하지만 일반적인 사회적 관념에서는 고운 시선을 받기 어렵다. 이런 특성 때문에 디시위키는 정보를 얻기보다는 재미를 느끼기 위한 정도에 그치고 있다. 앞서 이야기했지만 본진인 디시인사이드와는 성향도 차이가 크게나는 정도를 넘어 사실상 디시인사이드와는 전혀 상관없는 사이트였다고 봐도 무방하다. 결론은 이 사이트를 보통의 위키와 같다고 간주한다면 비판점이 많게되며 위키의 형태를 띤 별개의 커뮤니티 사이트였다고 보는게 맞다. 그러니 사용자들의 편집 매너도 존재하지 않았던 것이니 당연히 위키가 제대로 관리될 리가 없었다.
디시위키는 기본적으로 거친 말투를 쓰는 이용자들이 많다는 특징이 있다. [[키보드 배틀]]을 뜨는 과정에서 합리적인 방향을 모색하기보다는 상대방에 대한 원색적인 비난과 선동, 그리고 날조가 오가는 곳이 디시인사이드이다. 그래도 디시위키는 모두까기를 통해 어느 정도 중립성을 확보한다지만, 욕설을 싫어하는 대신, 친절하게 사람을 대하는 것을 좋아하는 사람들에게는 디시위키에 들어가기만 해도 '너무 버릇없어 보인다'는 인상을 받을 수 있다. 이런 특성 때문에 디시위키는 정보를 얻기보다는 소소한 재미를 유발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다.
 
결국 [[2023년]] [[10월 6일]]을 기해 편집 기능은 종료되었다. 2024년 1월 기준으로도 접속은 가능하지만, 이미 기능 자체가 종료된 이상 이후로도 사이트의 유지를 보장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 사용자의 문제 ==
== 사용자의 문제 ==
'''디시위키러들은 [[양비론]]([[모두까기]])을 시전하고 있었다.'''
'''디시위키러들은 [[양비론]]([[모두까기]])를 하고있다.'''
{{인용문2|여긴 디시인사이드에 있는 디시위키다. 이용자는 디시를 한다. <br />ㄴ X발놈아 그게 왜 문젠데 <br />ㄴ그게 가장 근본적인 문제지 X신아.<br />ㄴ딱 보이지 않는가. 뭐가 제일 문제인지 모른다 얘네들은. | [[:디시위키:디시위키/문제점|디시위키, 사용자의 문제점]] 항목}}
{{인용문2|여긴 디시인사이드에 있는 디시위키다. 이용자는 디시를 한다. <br />ㄴ X발놈아 그게 왜 문젠데 <br />ㄴ그게 가장 근본적인 문제지 X신아.<br />ㄴ딱 보이지 않는가. 뭐가 제일 문제인지 모른다 얘네들은. | [[:디시위키:디시위키/문제점|디시위키, 사용자의 문제점]] 항목}}
=== 디시위키의 성향에 반하는 서술 배척 ===
=== 디시의 성향에 반하는 서술 배척 ===
디시인사이드는 기본적으로 짧고 [[간결체|간결한]] 글을 좋아하며, 길고 [[만연체|복잡한]] 글을 싫어한다. 만에 하나 디시인사이드 갤러리에서 이런 글이 올라왔다가는 '물론 읽지 않았습니다'라는 답글이 달리는 데다가, [[진지병]], [[설명충]]이라는 답글이나 [[네 다음]] XX(네다X)라는 답글이 달리며 금새 [[배척]]당해 버린다.
디시인사이드는 기본적으로 짧고 [[간결체|간결한]] 글을 좋아하며, 길고 [[만연체|복잡한]] 글을 싫어한다. 만에 하나 디시인사이드 갤러리에서 이런 글이 올라왔다가는 '물론 읽지 않았습니다'라는 답글이 달리는 데다가, [[진지병]], [[설명충]]이라는 답글이나 [[네 다음]] XX(네다X)라는 답글이 달리며 금새 [[배척]]당해 버린다.
특히 이 부분은 문제점까지는 아니고 디시위키 내부의 불호인데 '/논란', '/비판', '/사건사고' 등의 나무위키화가 욕설 없는 디시위키와 다를 것이 무엇인지 모르겠고 너무 길다고 싫어한다.


[[취소선]]과 같은 특정 유머 코드에 대한 배척이 눈에 띈다. 기본적으로 [[언어유희]] 같은 {{현재년}}년 현재 3~40대가 좋아할 만한 유머는 [[아재개그]]라고 불리며 배척당하며, 마찬가지로 문서에 [[취소선]]을 긋고 문서 내용에 대한 풍자를 담는 등의 서술 역시 나무식 유우머라고 불리며 배척당한다. 직설적인 풍자와 거친 말빨로 대표되는 디시식 유머에 적응하지 못 하는 사람은 오히려 재미보다는 [[노잼]]을 유발할 수 있다.
[[취소선]]과 같은 특정 유머 코드에 대한 배척이 눈에 띈다. 기본적으로 [[언어유희]] 같은 {{현재년}}년 현재 3~40대가 좋아할 만한 유머는 [[아재개그]]라고 불리며 배척당하며, 마찬가지로 문서에 [[취소선]]을 긋고 문서 내용에 대한 풍자를 담는 등의 서술 역시 나무식 유우머라고 불리며 배척당한다. 직설적인 풍자와 거친 말빨로 대표되는 디시식 유머에 적응하지 못 하는 사람은 오히려 재미보다는 [[노잼]]을 유발할 수 있다.


물론 유머는 사람에 따라 취향이 다르기에 모든 사람들의 재미를 충족시키는 유머를 찾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며, 시간에 따라 재미를 유발할 수 있는 것들이 변해간다는 변수가 있긴 하지만, [[합필갤]]의 쇠락으로 디시인사이드에서 소비할 말한 [[밈]]이 많이 사라지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특정 유머 코드를 배척한다는 점에서 한계가 명확하다. 거기에 야구 갤러리 등 일부 갤러리가 디시위키의 주류 세력을 이루고 있어서 디시 갤러리 전체의 시각을 반영하지 못 한다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다. 정확히는 디시인사이드에 대한 비판은 넘어가더라도 디시위키에 대한 비판은 용서못한다는 부심에 가까웠다.
물론 유머는 사람에 따라 취향이 다르기에 모든 사람들의 재미를 충족시키는 유머를 찾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며, 시간에 따라 재미를 유발할 수 있는 것들이 변해간다는 변수가 있긴 하지만, [[합필갤]]의 쇠락으로 디시인사이드에서 소비할 말한 [[밈]]이 많이 사라지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특정 유머 코드를 배척한다는 점에서 한계가 명확하다. 거기에 야구 갤러리 등 일부 갤러리가 디시위키의 주류 세력을 이루고 있어서 디시 갤러리 전체의 시각을 반영하지 못 한다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다.


또 디시위키는 [[트롤]]러들이 갤러리에서 분탕을 치는 일이 많아서인지 이러한 사람들을 [[네 다음|특정 집단으로 일반화하여]] 대응하는 등 과민반응을 보일 때가 있다. 이런 트롤러들은 갤러들의 대응에 대해 오히려 재미있어한 나머지 일을 더 크게 일으키는 경우가 많아서 갤러들 사이에서 [[병먹금]]([[병신]]에게 먹이 금지)이라는 말이 나돌 정도로 심각한 편이다. 다만, 이런 문제는 운영진이 알아서 쳐 내거나 [[작성금지]]로 지정하는 등 운영진 차원에서 정화하려는 노력을 보이기는 하다.
또 디시위키는 [[트롤]]러들이 갤러리에서 분탕을 치는 일이 많아서인지 이러한 사람들을 [[네 다음|특정 집단으로 일반화하여]] 대응하는 등 과민반응을 보일 때가 있다. 이런 트롤러들은 갤러들의 대응에 대해 오히려 재미있어한 나머지 일을 더 크게 일으키는 경우가 많아서 갤러들 사이에서 [[병먹금]]([[병신]]에게 먹이 금지)이라는 말이 나돌 정도로 심각한 편이다. 다만, 이런 문제는 운영진이 알아서 쳐 내거나 [[작성금지]]로 지정하는 등 운영진 차원에서 정화하려는 노력을 보이기는 하다.
한편 디시위키 유저들이 어찌나 판을 쳤는지 다른 위키들에서는 공공의 적으로 낙인찍혀서 나무위키의 디시위키/문제점 항목은 IP 사용자는 편집 금지되었다.


=== 낮은 저작권 의식 ===
=== 낮은 저작권 의식 ===
35번째 줄: 31번째 줄:
위키 문법은 일반적인 커뮤니티 게시판의 글쓰기 방식과는 엄청난 차이가 있다. 단순히 글을 끄적일 뿐만 아니라, [[링크]]나 [[각주]] 등 위키에서 주로 쓰이는 문법들도 숙지해야 하는데, 위키 편집 경험이 없는 사람들이 막상 디시위키 편집을 하려다 보니 링크를 어떻게 걸고, 각주를 어떻게 달아야할지 모르는 사람이 많다. 그래서인지 문법 따위 무시하고 게시판 글 쓰듯 위키를 편집하는 사람이 많다. 이건 특별히 디시위키만의 문제는 아니지만. [[RTFM|도움말을 읽어보지 않는 사용자의 문제]]도 있는 편이다.
위키 문법은 일반적인 커뮤니티 게시판의 글쓰기 방식과는 엄청난 차이가 있다. 단순히 글을 끄적일 뿐만 아니라, [[링크]]나 [[각주]] 등 위키에서 주로 쓰이는 문법들도 숙지해야 하는데, 위키 편집 경험이 없는 사람들이 막상 디시위키 편집을 하려다 보니 링크를 어떻게 걸고, 각주를 어떻게 달아야할지 모르는 사람이 많다. 그래서인지 문법 따위 무시하고 게시판 글 쓰듯 위키를 편집하는 사람이 많다. 이건 특별히 디시위키만의 문제는 아니지만. [[RTFM|도움말을 읽어보지 않는 사용자의 문제]]도 있는 편이다.


이는 [[막다른 문서]]가 장기간 방치되는 문제로 이어진다. [[2015년]] [[11월 15일]] 한때는 [[막다른 문서]]가 무려 16,000여개로 집계되었으며<ref>[http://wiki.dcinside.com/index.php?title=%ED%8A%B9%EC%88%98:%EB%A7%89%EB%8B%A4%EB%A5%B8%EB%AC%B8%EC%84%9C&limit=500&offset=16000 막다른 문서 목록], 디시위키, 2015.11.29. 확인. (16,314개)</ref>, 이는 이용자들이 링크를 거는 것조차 모를 정도로 기초적인 위키 문법에 대해 무지하다는 근거라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다. 또한 해당 날짜 기준으로 디시위키의 총 문서 개수가 약 36,610개, 본문 20,543개인 것을 감안하면 매우 높은 비율이다(43.6%).<ref>[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dcwiki&no=208043 여기보단 낫지], 디시인사이드 위키 갤러리, 2015.11.29.</ref> 위키 초보자가 절대 다수인 상황에서 이들은 위키 문법을 배우려고 노력하기는 커녕 그냥 편한 대로 쓰는 일이 많다 보니 [[디시인사이드]] 측 마저 손을 놓고 있었다는 것이 드러났다.<ref>[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dcwiki&no=208044 디시위키의 답변], 디시인사이드 위키 갤러리, 2015.11.29.</ref>
이는 [[막다른 문서]]가 장기간 방치되는 문제로 이어진다. [[2015년]] [[11월 15일]] 한때는 [[막다른 문서]]가 무려 16,000여개로 집계되었으며<ref>[http://wiki.dcinside.com/index.php?title=%ED%8A%B9%EC%88%98:%EB%A7%89%EB%8B%A4%EB%A5%B8%EB%AC%B8%EC%84%9C&limit=500&offset=16000 막다른 문서 목록], 디시위키, 2015.11.29. 확인. (16,314개)</ref>, 이는 이용자들이 링크를 거는 것조차 모를 정도로 기초적인 위키 문법에 대해 무지하다는 근거라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다. 또한 해당 날짜 기준으로 디시위키의 총 문서 개수가 약 36,610개, 본문 20,543개인 것을 감안하면 매우 높은 비율이다(43.6%).<ref>[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dcwiki&no=208043 여기보단 낫지], 디시인사이드 위키 갤러리, 2015.11.29.</ref> 위키 초보자가 절대 다수인 상황에서 이들은 위키 문법을 배우려고 노력하기는 커녕 그냥 편한 대로 쓰는 일이 많다 보니 [[디시인사이드]] 측에서 사실상 손을 놓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ref>[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dcwiki&no=208044 디시위키의 답변], 디시인사이드 위키 갤러리, 2015.11.29.</ref>


2019년 4월 기준으로 막다른 문서가 많았던 문제는 파워위키러를 비롯한 헤비 위키러들의 헌신적인 기여로 생각보다는 많이 개선되었다. 2019년 4월 17일 기준 막다른 문서는 7,616개로 2015년 한때 16.000개가 넘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많이 나아진 셈. 그 시절 대비 문서 숫자가 3배 이상 성장한 것까지 감안하면. 물론 여전히 막다른 문서는 많기에 운영진들이 노력해서 없애려고 하고 있다.<ref>[http://archive.is/OnGMN 디시위키 막다른 문서 목록 Archive is 저장]</ref>
2019년 4월 기준으로 막다른 문서가 많았던 문제는 파워위키러를 비롯한 헤비 위키러들의 헌신적인 기여로 생각보다는 많이 개선되었다. 2019년 4월 17일 기준 막다른 문서는 7,616개로 2015년 한때 16.000개가 넘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많이 나아진 셈. 그 시절 대비 문서 숫자가 3배 이상 성장한 것까지 감안하면. 물론 여전히 막다른 문서는 많기에 운영진들이 노력해서 없애려고 하고 있다.<ref>[http://archive.is/OnGMN 디시위키 막다른 문서 목록 Archive is 저장]</ref>


=== 대안 우파적 성향과 반사회적 성향, 제노포비아와 반종교주의 ===
=== 극우적 성향, 혐오와 이중성 ===
디시인사이드는 [[일간베스트 저장소]]의 아버지뻘 사이트로서, 두 사이트의 태생적 긴밀함과 거기서 비롯된 유사한 정치사회적 성향을 빗대어 "일베의 아버지"라 불리곤 하는데, 그러한 특유의 성향은, 공식적인 계보를 잇는 디시위키에서도 반영이 되어있다. 욕설이나 감정적인 서술, 차별에 대한 옹호, 정치와 사회에 대한 극우적인 반응 등, 디시가 일베의 아버지라면, 다시 디시위키는 디시의 자식, 일베의 형제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그러한 극단성에 있어선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디시인사이드는 [[일간베스트 저장소]]의 아버지뻘 사이트로서, 두 사이트의 태생적 긴밀함과 거기서 비롯된 유사한 정치사회적 성향을 빗대어 "일베의 아버지"라 불리곤 하는데, 그러한 특유의 성향은, 공식적인 계보를 잇는 디시위키에서도 반영이 되어있다. 욕설이나 감정적인 서술, 차별에 대한 옹호, 정치와 사회에 대한 극우적인 반응 등, 디시가 일베의 아버지라면, 다시 디시위키는 디시의 자식, 일베의 형제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그러한 극단성에 있어선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46번째 줄: 42번째 줄:
똥○충·급식충·틀딱충·홍어·편돌이·똥남아·엠창·xx조무사·xx장애인·앰흑니거·샌드니거<ref>아랍인, 무슬림을 가리킨다.</ref> 등의 막장 혐오표현이 판을 친다. 이를 지우려고 하면 씹선비 혹은 반달러로 몰리고 되돌려지기 일쑤다.
똥○충·급식충·틀딱충·홍어·편돌이·똥남아·엠창·xx조무사·xx장애인·앰흑니거·샌드니거<ref>아랍인, 무슬림을 가리킨다.</ref> 등의 막장 혐오표현이 판을 친다. 이를 지우려고 하면 씹선비 혹은 반달러로 몰리고 되돌려지기 일쑤다.


2017년 무렵에는 인종차별 문제도 심각했다. [https://wiki.dcinside.com/wiki/%EB%B0%B1%EC%9D%B8 백인]에 대해선 매우 긍정적이고 찬사에 가까운 호의적인 서술로 채워놨으나 [https://wiki.dcinside.com/wiki/%ED%9D%91%EC%9D%B8 유][https://wiki.dcinside.com/wiki/%EC%95%84%EB%9E%8D%EC%9D%B8 색] [https://wiki.dcinside.com/wiki/%EB%9D%BC%ED%8B%B0%EB%85%B8 인][https://wiki.dcinside.com/wiki/%EC%A4%91%EA%B5%AD%EC%9D%B8 종]들에 관한 문서들의 경우는, 앞서 말했듯 비하와 혐오로 점철된 표현들을 매우 흔하게 볼 수 있다.
근래에는 인종차별 문제도 심각해졌다. [https://wiki.dcinside.com/wiki/%EB%B0%B1%EC%9D%B8 백인]에 대해선 매우 긍정적이고 찬사에 가까운 호의적인 서술로 채워놨으나 [https://wiki.dcinside.com/wiki/%ED%9D%91%EC%9D%B8 유][https://wiki.dcinside.com/wiki/%EC%95%84%EB%9E%8D%EC%9D%B8 색] [https://wiki.dcinside.com/wiki/%EB%9D%BC%ED%8B%B0%EB%85%B8 인][https://wiki.dcinside.com/wiki/%EC%A4%91%EA%B5%AD%EC%9D%B8 종]들에 관한 문서들의 경우는, 앞서 말했듯 비하와 혐오로 점철된 표현들을 매우 흔하게 볼 수 있다.


특히 젠더 관련 문서는 선을 넘어도 크게 넘었는데, 이용자가 문서에서 [[한남충]]과 같은 남성비하적 단어를 사용하는 경우 차단될 수 있지만 여성을 비하하는 여러 표현은 큰 제재없이 사용되는 것이 그렇다. 그 여러 극단적인 혐오표현에 대해 대표적인 한 사례를 말하자면, 한 때, 디시위키에선 [http://wiki.dcinside.com/wiki/%EA%B9%80%EC%B9%98%EB%85%84 김*년] 문서가 삭제되었었던 적이 있다. 시간이 지나 해당 문서가 부활하긴 했지만, 이것이 이 문단이 말하는 것들에 대한 가장 대표적인 사례라 할 수 있는 이유는, 이 요청이 방송통신심의위원회에 의한 것이기 때문이다. 이렇듯 성 문제와 관련해서는 혐오발언의 수위도 매우 높고 이중적인 태도까지 보이는 것이 큰 문제라 할 수 있다.
또한, 젠더 관련 문서에서는 정도가 궤를 달리하는데, 이용자가 문서에서 [[한남충]]과 같은 남성비하적 단어를 사용하는 경우 차단될 수 있지만 여성을 비하하는 여러 표현은 큰 제재없이 사용되는 것이 그렇다. 그 여러 극단적인 혐오표현에 대해 대표적인 한 사례를 말하자면, 한 때, 디시위키에선 [[http://wiki.dcinside.com/wiki/%EA%B9%80%EC%B9%98%EB%85%84 김*년]] 문서가 삭제되었었던 적이 있다. 시간이 지나 해당 문서가 부활하긴 했지만, 이것이 이 문단이 말하는 것들에 대한 가장 대표적인 사례라 할 수 있는 이유는, 이 요청이 방송통신심의위원회에 의한 것이기 때문이다. 이렇듯 성 문제와 관련해서는 혐오발언의 수위도 매우 높고 이중적인 태도까지 보이는 것이 큰 문제라 할 수 있다.


종교도 예외가 아니다, [https://wiki.dcinside.com/index.php?title=이슬람교&type=revision&diff=2168654&oldid=2167921|관리자들부터 반이슬람 성향을 노골적으로 드러내며], 반차별적 서술을 지우고 있다. 하지만 그와는 다른 한 종교의 예시를 보자면, [[개독]] 문서는 [[한국기독교총연합회]]의 위임을 받은 [[한국인터넷선교네트워크]]의 요청으로 작성금지시켰고, '기독교' 문서는 중립적인 서술을 유도하며, 차별적인 사용자와 내용은 배제하고 편집하는 등 비교적 온화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종교도 예외가 아니다, [https://wiki.dcinside.com/index.php?title=이슬람교&type=revision&diff=2168654&oldid=2167921|관리자들부터 반이슬람 성향을 노골적으로 드러내며], 반차별적 서술을 지우고 있다. 하지만 그와는 다른 한 종교의 예시를 보자면, [[개독]] 문서는 [[한국기독교총연합회]]의 위임을 받은 [[한국인터넷선교네트워크]]의 요청으로 작성금지시켰고, '기독교' 문서는 중립적인 서술을 유도하며, 차별적인 사용자와 내용은 배제하고 편집하는 등 비교적 온화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54번째 줄: 50번째 줄:
반대 성향인 루리웹이 유입될 만한 진보적 성향의 기사나 출처를 삭제하는 경향이 크다. 이는 사건을 가장 잘 요약하여 설명할 수 있는 출처도 루리웹발 유입이 들어와 편집 충돌이 거세질까봐 삭제하는 결과를 불러일으켰다.
반대 성향인 루리웹이 유입될 만한 진보적 성향의 기사나 출처를 삭제하는 경향이 크다. 이는 사건을 가장 잘 요약하여 설명할 수 있는 출처도 루리웹발 유입이 들어와 편집 충돌이 거세질까봐 삭제하는 결과를 불러일으켰다.


정리하자면, 디시위키는 여러 문서가 혐오발언들과 감정적인 서술들이 빚어낸 내용들로 들어차있고, 이를 지적하고 비판하는 사람들을 편협한 [[SJW|PC충]]이나 선비라고 비난하는 경우가 많다. 게다가 디시위키 주 이용자들 자신의 위치나 이익, 생각, 사상, 문화와 같은 여러 가치를 대변하거나 그와 연관되는 여러 대상에 있어선 이해와 편견없는 서술이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이중잣대를 보이고는 한다. 이런 차별과 그에 따른 이중성은 디시위키 내에선 흔한 것으로, 해당 사이트가 가진 수많은 문제점 중에서도 가장 주된 것들 중 하나라 말할 수 있다. 어떻게 보면 디시인사이드의 반사회적 성향이 극심해졌다고 볼수 있다.
정리하자면, 디시위키는 여러 문서가 혐오발언들과 감정적인 서술들이 빚어낸 내용들로 들어차있고, 이를 지적하고 비판하는 사람들을 편협한 [[SJW|PC충]]이나 선비라고 비난하는 경우가 많다. 게다가 디시위키 주 이용자들 자신의 위치나 이익, 생각, 사상, 문화와 같은 여러 가치를 대변하거나 그와 연관되는 여러 대상에 있어선 이해와 편견없는 서술이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이중잣대를 보이고는 한다. 이런 차별과 그에 따른 이중성은 디시위키 내에선 흔한 것으로, 해당 사이트가 가진 수많은 문제점 중에서도 가장 주된 것들 중 하나라 말할 수 있다.
 
그 외에도 모든 [[이슬람]]교도는 테러리스트라느니 개독교는 폭력만 오간다느니하는 근거없는 뇌피셜이 판쳤다. 정작 자신들이 신봉하는 대안 우파는 이슬람으로 개종한 경우가 많고 대안 우파의 수장격인 [[도널드 트럼프]]도 이슬람 국가들과 친했다는 것을 생각하면 대안 우파에 대해 1도 몰랐다는 스스로 자백하는 꼴이다. 그럼에도 트럼프는 이슬람 국가들과 안 친했다며 폐쇄하는 순간까지 자신들은 대안 우파라고 울부짖었다. 오죽했으면 디시인사이드에서도 디시위키를 한다고 하면 반사회적 유저라는 인식이 박혔을 지경이다.


=== 친목질 ===
=== 친목질 ===
64번째 줄: 58번째 줄:


이러한 특정 위키러 집단들의 친목질에 디시위키의 여러 가지 많은 문제점들이 함께 겹쳐지다보니 온건 성향의 디시위키러들이 더이상 참지 못하고 탈디키를 하는 일이 늘어나고 있다. 아이러니한 건 디시위키의 모두까기 성향만큼은 계속 그대로인지 친목질 항목의 친목질 사이트 목록에 디시위키도 같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특정 위키러 집단들의 친목질에 디시위키의 여러 가지 많은 문제점들이 함께 겹쳐지다보니 온건 성향의 디시위키러들이 더이상 참지 못하고 탈디키를 하는 일이 늘어나고 있다. 아이러니한 건 디시위키의 모두까기 성향만큼은 계속 그대로인지 친목질 항목의 친목질 사이트 목록에 디시위키도 같이 포함되어 있다.
=== 사용자 문서와 요약글을 통한 인신공격 ===
사용자 문서를 편집해서 그 사용자를 조롱하는 것도 심심찮게 발견된다. 그 외에도 상대 사용자가 잘못 서술한 것에 대해서는 필요 이상으로 인신공격을 가하는 행동도 수없이 보고되고 있다.


== 문서 형식의 문제 ==
== 문서 형식의 문제 ==
=== MPOV ===
=== MPOV ===
{{참고|MPOV}}
{{참조|MPOV}}
디시인사이드는 기본적으로 상대의 반발에도 절대로 굽히지 않고 온갖 수단 방법을 동원하여 어떻게든 [[논쟁]]에서 이기려 하는 사람이 많다. 그런데 디시위키는 디시인사이드보다도 그런 경향을 가진 사람이 훨씬 많다. 위키 편집을 할 때 특정 서술의 비논리성 및 비합리성을 저격하는 식으로 서술이 이랬다 저랬다 하는 MPOV의 단점을 그대로 드러내고 있다. 그래서 이러한 MPOV 서술이 디시위키의 존재가치를 떨어뜨리는 것을 넘어 폐쇄되는 것에 큰 공을 세웠다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다.
디시인사이드는 기본적으로 상대의 반발에도 절대로 굽히지 않고 온갖 수단 방법을 동원하여 어떻게든 [[논쟁]]에서 이기려 하는 사람이 많다. 이 때문에 위키 편집을 할 때 특정 서술의 비논리성 및 비합리성을 저격하는 식으로 서술이 이랬다 저랬다 하는 MPOV의 단점을 그대로 드러내고 있다. 그래서 이러한 MPOV 서술이 디시위키의 존재가치를 떨어뜨린다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다.


==== 부실한 교차검증과 서술 품질 ====
==== 부실한 교차검증 또는 주장의 충돌로 인한 서술간의 모순 ====


디시위키는 기본적으로 유머를 비롯한 자신의 주관적인 감정만을 서술하는 위키인데다 진보위키마냥 특정 관점으로 제약을 거는 위키가 아닌 만큼 당연히 이용자들의 관점이 통일되어 있지 않다. 거기에 이용자들은 자신의 주장만 올리고는 다른 사람에 대한 인신공격이 이어졌고, 교정이 필요한 서술들이 있더라도 이를 수정하지는 않은 채 반박글을 다는 식으로만 처리하는 경향이 강했다. 따라서 문서 내부, 혹은 문서 간에 서로 상충되는 서술을 올리는 경우가 많았다. 한때 "한국어 위키백과의 관리자의 70% 이상이 중학생 이하의 미성년자"라는 전혀 근거 없는 서술이 올라온 적도 있었다. 입증 근거는 전혀 없고 오히려 사용자 문서에서 서술한 정보, 문서 서술 수준이나 관리자 당선 시에 이미 5년 이상 위키백과에 기여한 이용자임을 고려하면 중학생 이하일 가능성은 낮다.
디시위키는 기본적으로 애드립 같은 주관적인 감정을 서술하는 위키인데다 진보위키마냥 특정 관점으로 제약을 거는 위키가 아닌 만큼 당연히 이용자들의 관점이 통일되어 있지 않다. 거기에 이용자들은 자신의 주장만 올리기만 하고 교정해야 하는 서술들이 있을 지라도 꼼꼼히 문서를 확인해서 고치는 대신 대충 넘어가거나 상대 글을 보존한 채 반박글을 다는 식으로만 처리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문서 내부, 혹은 문서 간에 서로 상충되는 서술을 올리는 경우가 종종 있다. 한때 "한국어 위키백과의 관리자의 70% 이상이 중학생 이하의 미성년자"라는 전혀 근거 없는 서술이 올라온 적도 있었다. 입증 근거는 전혀 없고 오히려 사용자 문서에서 서술한 정보, 문서 서술 수준이나 관리자 당선 시에 이미 5년 이상 위키백과에 기여한 이용자임을 고려하면 중학생 이하일 가능성은 낮다.


또한 디시위키에서는 공격적인 태도를 쉽게 찾을 수 있는데, 다른 사이트에서는 용인되기 어려운 수준의 비하적 표현까지 허용되다 보니 정상적인 의견 교환을 기대하기는 힘든 처지에 놓였다. [[디시위키:나무위키/비판]] 문서를 보면 제 멋대로 예시 등의 문서 서술을 삭제하는 것에 대한 불만을 드러내는 입장과 예시 문서 같이 쓸데없는 서술이 많다는 공격적인 서술이 공존하고 있다. 문제는 위키 편집자들이 현실적으로 앞의 두 입장을 동시에 만족시킬 방법은 사실상 없다는 점은 고려하지 않고 있다. 다른 예시로 2017년 이후에 논쟁 부분은 토론 문서로 옮겨졌지만 디시위키의 [https://wiki.dcinside.com/index.php?title=무신론&oldid=1173628 무신론 문서 2016년 11월 25일판]에서는 무신론을 과학적이라고 옹호하는 입장과 도그마틱한 무신론은 종교 근본주의와 마찬가지로 당연히 비판받아야 한다는 관점이 충돌하는 모습을 문서에 적었다. 한 가지 원인은 단순히 "이러한 입장이 있다"는 사실 전달의 서술에 그치지 않고 "자신의 주장이 정당하다"는 입장으로 문서를 서술하는 이용자들이 서로 맞서고 있기에 서술 간의 모순이 발생하게 된다.
또 디시위키는 이용자들이 자신의 의견을 서술할 때 사실을 전달하듯이 강변하는 태도로 서술하곤 하는데, 당연히 의견 충돌이 일어날 수밖에 없는 환경이다. [[디시위키:나무위키/비판]] 문서를 보면 제 멋대로 문서 서술을 삭제하는 불만점과 나무위키에서 예시 문서 같이 쓸데없는 서술이 많다는 내용이 같이 서술되어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디시위키에 서술된 두 입장을 동시에 만족시킬 방법은 없다는 점은 고려하지 않고 있다. 다른 예시로 2017년 이후에 논쟁 부분은 토론 문서로 옮겨졌지만 디시위키의 [https://wiki.dcinside.com/index.php?title=무신론&oldid=1173628 무신론 문서 2016년 11월 25일판]에서는 무신론을 과학적이라고 옹호하는 입장과 도그마틱한 무신론은 종교 근본주의와 마찬가지로 당연히 비판받아야 한다는 관점이 충돌하는 모습을 문서에 적었다. 문제는 "이러한 입장이 있다"는 사실 전달의 서술이 아닌 "자신의 주장에 당위성"을 부여해서 입장 충돌이 생긴 것.


=== [[틀]] 남발 ===
=== [[틀]] 남발 ===
{{ㅊ|디시위키 제1법칙:틀의 개수는 얼마나 [[병신|비읍시옷]]같은지를 측정하는 척도이다.}}
{{ㅊ|디시위키 제1법칙:틀의 개수는 얼마나 [[병신|비읍시옷]]같은지를 측정하는 척도이다.}}
[[파일:너충충.png]]<br />[[나무위키]]에서 [[가독성]] 문제나 효용성 문제로 머릿글 틀을 대부분 정리했고, 표 틀조차도 접기 기능을 이용해서 처리한 것에 비해서 디시위키는 수많은 머릿글 틀을 만들고, 그 틀을 문서 상단에 가득 붙여서 "틀로 대화하는 위키" 라는 소리를 듣고 있다. 틀이 너무 많아서 보다못해 심플 틀(한두 줄 정도의 간소한 설명과 작은 이미지로 대체한 틀)을 만들었더니, 틀의 부피가 줄어든 만큼 다른 심플 틀을 계속 추가하면서 가독성 문제를 별로 개선시키지 못했다. 그 실태에 대해 디시위키러들의 자조적인 분위기를 [[디시위키:틀충|틀충 문서]] 혹은 [[디시위키:틀만드는 위키|틀만드는 위키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나마 2021년에 디시위키에 봇이 활성화되기 시작하면서 헬,갓,뽕,수저 등 잘 쓰이지 않는 틀을 대거 정리하였고 틀 남발이 많이 줄었지만 2022년 기준으로도 다른 위키에 비해서는 심각하게 머릿글 틀이 많다.  
[[파일:너충충.png]]<br />[[나무위키]]에서 [[가독성]] 문제나 효용성 문제로 하나 둘 씩 정리해 나가는데 반해, 디시위키는 수많은 틀을 만들고, 그 틀을 문서 상단에 가득 붙여서 "틀로 대화하는 위키" 라는 소리를 듣고 있다. 틀이 너무 많아서 보다못해 심플 틀(간략화된 한줄 틀)을 만들었더니, 그 줄인 공간만큼의 또 다른 심플 틀을 붙이고 있다. 그 실태에 자조적인 모습을 보이기라도 한 건지 [[디시위키:틀충|이런]] [[디시위키:틀만드는 위키|문서]]를 만들기에 이른다. 지금은 헬,갓,뽕,수저 등 잘 쓰이지 않는 틀을 대거 정리하였고 전보단 나아졌지만 여전히 답도 없이 많이 첨부 되어있는 문서들도 곳곳에 산재해있다.


그런데 정작 {{틀|둘러보기 상자}}{{틀|정보 상자}}처럼 가독성을 높이는 틀들은 사용하기 어렵다는 이유로 거의 사용되고 있지 않다. 거의 대부분의 인물 정보 문서에서는 정보 상자 틀이 아닌 표를 사용해서 정보 상자를 대체하고 있다.
=== 과도한 ㄴ 사용 ===
미디어위키를 비롯한 위키는 댓글 기능을 첨부하고 있지 않다.<ref>[[제타위키]], 모에걸백과, [[위키아]]처럼 댓글을 달 수 있는 기능이 있는 위키가 소수 있으나, 미디어 위키에 자체적인 기능을 넣은 것에 가깝다.</ref> 미디어위키의 경우 문서에서 의견 충돌이 발생할 때 별도의 [[토론]] 문서에서 토론을 하곤 하는데, 디시위키는 위에서 설명한 위키 문법에 대한 이해 부족 문제까지 겹쳐서 댓글을 ㄴ으로 쓰는 문화가 정착되어 있다. 댓글로 반박하는 것은 디시 특성이라는 점은 감안한다 치더라도 토론 글에서조차 상대방에 대한 답변을 달 때 ㄴ으로 쓰거나, 수정하면 되는 것(맞춤법 등)조차 ㄴ으로 지적하는 사람이 있다. 게다가 디시위키의 운영자들은 가독성을 해치는 ㄴ을 명분없이 지우는 것을 금지하고 있기 때문에 ㄴ들을 마구잡이로 지우는 것은 규칙위반이다. ㄴ에 대해 적대적인 관리자가 새로 뽑힐 때 까지는 이 ㄴ 문제를 해결할 방법은 없다는 것. 정리 중에 있지만 근본이 [[디시인사이드]]인 이상 완전히 사라지진 않을것이다.


=== 과도한 댓글 형태의 문서 사용 ===
이걸 댓글 서식을 따로 만들어주거나 각주로 치워버리면 좋겠지만 디시의 특성상 씹선비로 몰려 죽창을 맞을 같아서 해결이 어려운 상황이다.
미디어위키를 비롯한 대부분의 [[위키]]는 기본적으로 댓글 기능을 첨부하고 있지 않다.<ref>[[제타위키]]나, 모에걸백과, [[위키아]]처럼 댓글을 달 수 있는 기능이 있는 위키가 소수 있으나, 미디어 위키에 자체적인 기능을 넣은 것에 가깝다.</ref> 미디어위키의 경우 문서에서 의견 충돌이 발생할 때 별도의 [[토론]] 문서에서 토론을 하곤 하는데, 디시위키는 위에서 설명한 위키 문법에 대한 이해 부족 문제까지 겹치는 등에 따라 줄 앞에 '[[ㄴ]]'을 붙혀 댓글을 달듯 쓰는 문화가 정착되어 있다.
 
그러나 댓글로 반박하는 것은 디시인사이드의 특성이라는 점을 감안한다 치더라도 토론에서조차 상대방에 대한 답변을 달 때 ㄴ으로 쓰거나, 수정하면 되는 (맞춤법 등)조차 ㄴ으로 지적하는 기여자가 상당하다. 게다가 디시위키의 운영자들은 가독성을 해치는 ㄴ을 명분없이 지우는 것을 금지하고 있기 때문에 ㄴ들을 마구잡이로 지우는 것은 규칙위반이다. ㄴ에 대해 적대적인 관리자가 새로 뽑힐 때까지는 이 ㄴ 문제를 해결할 방법은 없다는 것.
 
정리에 들어가는 움직임도 있었지만 근본이 [[디시인사이드]]인 이상 쉽게 이루어진다고 보기는 어려운 현실이다. 댓글 기능을 분리하거나 [[각주]]로 대체하는 등의 절충안도 있겠지만, 디시위키는 기술적 지원조차 부실한 문제는 물론 이용자 성향상 쉽게 이루어진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시각도 있었다.


=== 넘쳐나는 토막글 ===
=== 넘쳐나는 토막글 ===
129번째 줄: 116번째 줄:
|<ref>2018년 3월 29일 기준으로 각각 4479개/413,443개, 1,240개/32,808개, 9,982개/69,340개</ref>
|<ref>2018년 3월 29일 기준으로 각각 4479개/413,443개, 1,240개/32,808개, 9,982개/69,340개</ref>
|}
|}
=== [[미디어위키]] 기반 ===
미디어위키와 이를 기반으로 둔 위키들은 30일 이내 최신글 중 500개만 보여준다. 필연적으로 관리자가 누락하는 글이 있다. 그래서 디시위키는 누락과 [[문서 사유화]]를 방지하기 위해 비공식적으로 기여 제한을 두었다.


문제는 비공식적인 기여 제한의 기준이 잡혀 있지 않은데다 기여가 많은 유저를 비정상적이라 간주하여 느리게 기여하라고 강요하는 분위기가 된 것이다. 이는 디시위키의 소식통이 다른 위키보다 느린 것과 자유도 저해의 원인이 되었다.


== 운영상의 문제 ==
== 운영상의 문제 ==
145번째 줄: 129번째 줄:
그래도 2016년 이후에는 위키 대문에 '''오늘의 심폐소생'''이라는 항목을 만들어 놓고 막다른 문서와 외톨이 문서를 노출시키면서 이 문제를 해결할 의지를 보이고는 있다. 거기에 헤비 기여자들이 적극적으로 이 문제를 상기시키면서 막다른 문서를 상당히 없앴다. 다만 본문 2만 여개 안팎에 막다른 문서만 15,000개가 넘었던 시절에 비해서 상당히 개선되긴 했지만 여전히 갈 길은 멀다. 애초에 축약형 문서 중 "성역"으로 지정되어서 건드리기 어려운 문서나 디시게임의 하위 문서들 중에선 어쩔 수 없이 막다른 문서로 만들 수밖에 없는 문서들도 있는지라 백여개 이하로 줄이긴 어렵긴 하지만.
그래도 2016년 이후에는 위키 대문에 '''오늘의 심폐소생'''이라는 항목을 만들어 놓고 막다른 문서와 외톨이 문서를 노출시키면서 이 문제를 해결할 의지를 보이고는 있다. 거기에 헤비 기여자들이 적극적으로 이 문제를 상기시키면서 막다른 문서를 상당히 없앴다. 다만 본문 2만 여개 안팎에 막다른 문서만 15,000개가 넘었던 시절에 비해서 상당히 개선되긴 했지만 여전히 갈 길은 멀다. 애초에 축약형 문서 중 "성역"으로 지정되어서 건드리기 어려운 문서나 디시게임의 하위 문서들 중에선 어쩔 수 없이 막다른 문서로 만들 수밖에 없는 문서들도 있는지라 백여개 이하로 줄이긴 어렵긴 하지만.


==== 일방적 운영 논란 ====
==== [[인터넷 독재]] ====
디시위키는 [[디시인사이드]] 운영진이 직접적인 운영에 개입하지 않고 별도로 '파워위키러'에게 운영을 위임한 형태로 관리된다. 그러나 Admin으로 시작하는 디시인사이드 관선 운영진을 제외하더라도 파워위키러 '근육'이 자기의 의견에 반대하는 이용자를 영구차단하거나 다른 이용자가 근육의 보호 아래 문서를 특정 성향으로 사유화하고, 전직 파워위키러였던 Scarlet가 적극적으로 운영에 개입하는 등 성향이 다른 이용자의 의견을 무시하고 독단적으로 운영을 한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다. 운영진인 관리자:Admin02와 관리자:근육의 일방적인 운영과 [[문서 사유화]]에 질린 이용자들은 결국 디시위키 편집을 끊고 스스로 [[자폭|무기한 차단을 요청]]하기까지 하는 식으로 떠나는 상황이 벌어졌다. 이 때문에 디시위키 편집에 처음 참여한 이용자가 디시인사이드의 자유로운 분위기에 멋모르고 편집을 하다가 알 수 없는 이유로 [[차단]]을 당하는 불상사가 자주 일어나고 있다. 이 때문에 디시위키 망해간다는 푸념도 있는 모양. 디시위키 유저들은 근육과 어드민 02의 사퇴를 엄청나게 바라는 중이다.
디시인사이드 운영진이 운영에 개입하지 않고 별도로 파워위키러에게 운영을 위임하고 있는데, Admin으로 시작하는 디시인사이드 관선 운영진을 제외하더라도, 파워위키러인 근육이 자기의 의견에 반대하는 이용자를 영구차단시킨다든지 아니면 어떤 이용자가 근육의 보호 아래 문서를 보수 성향으로 사유화하거나, 전직 파워위키러였던 Scarlet가 적극적으로 운영에 개입하는 등 성향이 다른 이용자의 의견을 무시하고 독단적으로 운영을 하고 있어서 문제가 되고 있다. 운영진인 관리자:Admin02와 관리자:근육의 인터넷 독재와 [[문서 사유화]]에 질린 이용자들은 결국 디시위키 편집을 끊고 스스로 [[자폭|무기한 차단을 요청]]한다던가 하는 식으로 대다수가 떠나고 있는 상황이다. 이 때문에 디시위키 편집에 처음 참여한 이용자가 디시인사이드의 자유로운 분위기에 멋모르고 편집을 하다가 알 수 없는 이유로 [[차단]]을 당하는 불상사가 자주 일어나고 있다. 이 때문에 디시위키 망해간다는 푸념도 있는 모양. 디시위키 유저들은 근육과 어드민 02의 사퇴를 엄청나게 바라는 중이다.


이후로는 Scarlet이 디시위키를 그만두고 많은 유저들의 노력 끝에 2021년 8월부로 근육이 탄핵되었다.  
지금은 Scarlet이 탈디키를 하고 많은 유저들의 노력 끝에 2021년 8월부로 근육이 탄핵당해서 디시위키의 위상이 회복될 기회가 생겼다! 과연 독재의 잔재를 청산하고 뉴비 유입이 생길지는 지켜봐야겠지만 2010년 후반부터 발생한 암울한 상황보다는 확실히 나은 상황에 놓이게 되었다.


==== 영구차단자 기여분 무단 삭제 ====
==== 영구차단자 기여분 무단 삭제 ====
158번째 줄: 142번째 줄:
디시위키도 예외는 아닌 데다가, 유저들의 특성상 리그베다 위키에 비해 이런 선동과 날조에 기반한 거짓 서술을 버젓이 적을 우려가 커서 그런지 디시인사이드 관리자인 Admin02와 근육이 이러한 문제를 막기 위해 명예훼손이 우려되는 몇몇 인물 문서를 중심으로 [[작성금지]]로 설정하면서 법적 문제를 미연에 방지하고 있다. 위키갤 사이에서는 이러다가 [[리그베다 위키]]보다 작성금지 항목이 더 많겠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을 정도이다.
디시위키도 예외는 아닌 데다가, 유저들의 특성상 리그베다 위키에 비해 이런 선동과 날조에 기반한 거짓 서술을 버젓이 적을 우려가 커서 그런지 디시인사이드 관리자인 Admin02와 근육이 이러한 문제를 막기 위해 명예훼손이 우려되는 몇몇 인물 문서를 중심으로 [[작성금지]]로 설정하면서 법적 문제를 미연에 방지하고 있다. 위키갤 사이에서는 이러다가 [[리그베다 위키]]보다 작성금지 항목이 더 많겠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을 정도이다.


주의해야 할 것은, 일부 반달러들이 작성금지가 되지 않은 문서에 [[작성금지]]로 넘겨주기를 멋대로 씌우고 있었다는 점이다. 혹시 그런 글을 발견하면 편집 대신 원문 보기가 보이는 경우처럼 실제로 보호 설정이 되어 있는지 확인해보고, 편집 기록도 확인해보자. 그나마 지금은 상황이 나은 것으로 16년과 17년엔 수십번씩 서버가 터져나가고 접속이 지연되던 때가 존재했었다.
주의해야 할 것은, 어떤 IP 유저가 자꾸 [[작성금지]]로 넘겨주기를 멋대로 씌우고 있다는 점이다. 혹시 그런 글을 발견하면 편집 대신 원문 보기가 보이는 경우처럼 실제로 보호 설정이 되어 있는지 확인해보고, 편집 기록도 확인해보자. 그나마 지금은 상황이 나은 것으로 16년과 17년엔 수십번씩 서버가 터져나가고 접속이 지연되던 때가 존재했었다.


== 기술적 문제 ==
== 기술적 문제 ==
이용자가 많은 위키답지 않게 기술적 문제가 심각한 위키이다. 기본적인 엔진 개선이나 버그 관리도 잘 이루어지지 않으며, 기능 개선도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용자가 많은 위키답지 않게 기술적 문제가 심각한 위키이다. 기본적인 엔진 개선이나 버그 관리도 잘 이루어지지 않으며, 기능 개선도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 서버 불안정 ===
=== 서버 불안정 ===
168번째 줄: 152번째 줄:
본진인 디시인사이드부터 서버가 그렇게 좋지 않은 곳인 만큼 파생 사이트인 디시위키도 서버 상태가 좋지 않은 편이다. 개장한 지 얼마 안 된 시점인 [[2015년]] [[6월 4일]] 오전 10시 무렵부터 폭발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서버 사양은 [[리브레 위키]]보다 고사양이긴 해도 접속자가 예상 외로 많았는지 서버 관리가 부실했는지 원인은 불명이다. 평상시에도 접속 속도가 매우 느린데 [[데이터베이스]] 오류로 수정 사항이 저장이 안 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개장된 해인 2015년부터 그 후년인 2017년 무렵까지 하루에 10회 가까이 서버가 터져나가 위의 서버 오류 화면이 나타났다. 2019년 이후로는 기여가 줄어들면서인지는 몰라도 서버 환경이 개선되었지만 그래도 서버 접속이 간헐적으로 끊기는 경우가 나타나는 편이다.
본진인 디시인사이드부터 서버가 그렇게 좋지 않은 곳인 만큼 파생 사이트인 디시위키도 서버 상태가 좋지 않은 편이다. 개장한 지 얼마 안 된 시점인 [[2015년]] [[6월 4일]] 오전 10시 무렵부터 폭발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서버 사양은 [[리브레 위키]]보다 고사양이긴 해도 접속자가 예상 외로 많았는지 서버 관리가 부실했는지 원인은 불명이다. 평상시에도 접속 속도가 매우 느린데 [[데이터베이스]] 오류로 수정 사항이 저장이 안 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개장된 해인 2015년부터 그 후년인 2017년 무렵까지 하루에 10회 가까이 서버가 터져나가 위의 서버 오류 화면이 나타났다. 2019년 이후로는 기여가 줄어들면서인지는 몰라도 서버 환경이 개선되었지만 그래도 서버 접속이 간헐적으로 끊기는 경우가 나타나는 편이다.


접속 속도도 느리다. 엄연히 디시인사이드라는 한국 회사에서 운영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어 위키중에서는 느린 편에 속한다. 2017년 1월 말 들어 나무위키가 [[서버]] 접속 속도가 느려지는 현상이 포착되면서 디시위키의 서버 속도도 재평가되기까지도 했지만 엔진 관리가 안정화되고 운영사 직영 체제가 들어선 이후에는 의미 없는 비교이다.   
접속 속도도 느리다. 엄연히 디시인사이드라는 한국 회사에서 운영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어 위키중에서는 느린 편에 속한다. 2017년 1월 말 들어 나무위키가 [[서버]] 접속 속도가 느려지는 현상이 포착되면서 디시위키의 서버 속도도 재평가되기까지도 했지만 엔진 관리가 안정화되고 운영사 직영 체제가 들어선 이후에는 의미 없는 비교가 되었다.   


=== 기술적 지원 미비 ===
=== 기술적 지원 미비 ===
개장 시점인 2015년 6월 1일 당시의 최신 버전인 1.25버전을 편집 기능 종료 시기까지 사용했다.<ref>[[디시위키:특수:버전]] 참조</ref>  미디어위키의 기술 지원 주기가 보통 1년 반 정도 되며, 장기지원 버전(LTS, 1.19 이후 4버전마다 지정)에 한해 3년인데, 그 정도로 사용하고 있다는 것은 위키 운영자가 기능을 개선하는데 관심이 부족하는 것을 의미한다. [[PHP]]버전 또한 보안 상 문제로 지원이 중단된 5.4 버전이다. 또한 접속이 오류가 나는 등의 매우 심각한 오류나 CSS 확장기능 추가 등 이용자들의 요구 의사가 강한 몇몇 기능들을 제외하고는 위키의 편집 환경을 개선시키는데 소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이슈 트래커 같은 기술적 문제 해결을 전담으로 하는 공간도 없다는 것도 문제이다.
개장 시점인 2015년 6월 1일 당시의 최신 버전인 1.25버전을 {{#expr:{{#time:Y}}-2015}}년이 지난 {{#time:Y년}} 기준으로도 사용하고 있다.<ref>[[디시위키:특수:버전]] 참조</ref>  미디어위키의 기술 지원 주기가 보통 1년 반 정도 되며, 장기지원 버전(LTS, 1.19 이후 4버전마다 지정)에 한해 3년인데, 그 정도로 사용하고 있다는 것은 위키 운영자가 기능을 개선하는데 관심이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PHP]]버전 또한 보안상 문제로 지원이 중단된 5.4 버전이다. 또한 접속이 오류가 나는 등의 매우 심각한 오류에만 기술적 대응을 하고 있고, 자체적으로 위키 기능을 개선하는 시도를 하고 있지 않다. 이슈 트래커 같은 기술적 문제 해결을 전담으로 하는 공간도 없다는 것도 문제이다.


참고로 디시위키의 버전 1.25에서는 지원이 안 되고 미디어위키 1.27 버전 이후에서만 사용이 가능한 기능들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디시위키의 기술적 지원이 부족한 것이 분명 아쉬운 점이 될 수 있는 이유이다.
참고로 디시위키의 버전 1.25에서는 지원이 안 되고 미디어위키 1.27 버전 이후에서만 사용이 가능한 기능들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디시위키의 기술적 지원이 부족한 것이 분명 아쉬운 점이 될 수 있는 이유이다.
185번째 줄: 169번째 줄:
;[[mw:Extension:MsUpload|MsUpload 확장기능]]
;[[mw:Extension:MsUpload|MsUpload 확장기능]]
: 이미지 업로드할 때 간편하게 올릴 수 있다. 이 확장기능이 의존성 모듈을 요구하는 것도 아니고 디시위키가 생기기 전의 구형 소스를 찾으면 디시위키 환경에서도 설치할 수 있는 확장기능인지라 사용이 불가능한 것도 아니다. [[리브레 위키]]에서는 가능한 [[SVG]] 파일 업로드 기능을 디시위키에서 지원하지 않는 것으로 볼 때  파일 업로드 기능 기능에 소극적으로 대응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나마 [[위키미디어 공용]] 이미지를 사용할 수 있다.
: 이미지 업로드할 때 간편하게 올릴 수 있다. 이 확장기능이 의존성 모듈을 요구하는 것도 아니고 디시위키가 생기기 전의 구형 소스를 찾으면 디시위키 환경에서도 설치할 수 있는 확장기능인지라 사용이 불가능한 것도 아니다. [[리브레 위키]]에서는 가능한 [[SVG]] 파일 업로드 기능을 디시위키에서 지원하지 않는 것으로 볼 때  파일 업로드 기능 기능에 소극적으로 대응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나마 [[위키미디어 공용]] 이미지를 사용할 수 있다.
;[[mw:Extensions:Gadgets|Gadgets 확장기능]]
;[[mw;Extensions:Gadgets|Gadgets 확장기능]]
: 확장기능 자체는 설치되어 있기는 하나 정작 '''소도구가 단 하나도 정의가 되어있지 않아서''' [[환경 설정]]에서도 사용이 불가능하다.  
: 확장기능 자체는 설치되어 있기는 하나 정작 '''소도구가 단 하나도 정의가 되어있지 않아서''' [[환경 설정]]에서도 사용이 불가능하다.  
;환경 설정 관련
;환경 설정 관련
: 사용자 전용 CSS나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하지 못한다. 소도구 지원도 되지 않는 점까지 고려하면 사용자 스스로 위키 편집환경을 개선할 요소가 부족한 편이다.
: 사용자 전용 CSS나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하지 못한다. 소도구 지원도 되지 않는 점까지 고려하면 사용자 스스로 위키 편집환경을 개선할 요소가 부족한 편이다.  
=== 각종 버그(해결됨)===
2021년 초부터 각주 설정 관련 이유로 각주 기능이 작동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했었으나 9월 말에 해결되었다.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197번째 줄: 179번째 줄:
* [[리브레 위키/문제점]]
* [[리브레 위키/문제점]]
* [[한국어 위키백과/문제점]]
* [[한국어 위키백과/문제점]]
{{각주}}
 
{{문서 가져옴|디시위키|435988}}
{{문서 가져옴|디시위키|435988}}
[[분류:디시위키|문제점]]
[[분류:비판]]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