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의 철도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이 글에서는 {{나라|독일}}의 철도를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독일의 철도에 할당된 UIC 철도 코드는 80번이다.
이 글에서는 {{국기나라|독일}}의 철도를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독일의 철도에 할당된 UIC 철도 코드는 80번이다.


== 개황 ==
== 개황 ==
46번째 줄: 46번째 줄:


; IRE (Interregio-Express)
; IRE (Interregio-Express)
: [[베를린-함부르크선]]이나 바덴-뷔르템베르크 등 일부 지역에서 장거리 '''RE'''에 할당된 등급. 기본적인 사항은 '''RE'''와 공통적이나, 앞서 말한 지역에서는 운행 거리가 다소 긴(2~300 km급) 경우 붙여진다.
: [[베를린-함부르크 선]]이나 바덴-뷔르템베르크 등 일부 지역에서 장거리 '''RE'''에 할당된 등급. 기본적인 사항은 '''RE'''와 공통적이나, 앞서 말한 지역에서는 운행 거리가 다소 긴(2~300 km급) 경우 붙여진다.
; RE (Regional-Express)
; RE (Regional-Express)
: 도시 권역을 빠르게 묶는 열차. 제한된 수의 역에 정차하며(주로 '''RB'''가 서는 역들을 건너뜀), 도시권에서의 이동을 돕는다. 한국의 무궁화호에 상당하는 등급.
: 도시 권역을 빠르게 묶는 열차. 제한된 수의 역에 정차하며(주로 '''RB'''가 서는 역들을 건너뜀), 도시권에서의 이동을 돕는다. 한국의 무궁화호에 상당하는 등급.
82번째 줄: 82번째 줄:
** 이외에 마스트리흐트 등으로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에서 로컬선 일부 지역 열차가 넘어 다니는 경우가 있다.
** 이외에 마스트리흐트 등으로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에서 로컬선 일부 지역 열차가 넘어 다니는 경우가 있다.
* [[벨기에]] 방면: 기본적으로 [[아헨 중앙역|아헨]] 방면의 간선을 사용한다.
* [[벨기에]] 방면: 기본적으로 [[아헨 중앙역|아헨]] 방면의 간선을 사용한다.
** 마찬가지로 ICE는 기존선 직류 3,000 V, 고속선 25 kV 50 Hz 대응의 ICE 3M이 사용된다. 지역 열차는 기관차 견인이므로, 보통 화물 병용으로 쓰일 수 있는 다목적 전기기관차 견인 열차 위주로 운행된다.
** 마찬가지로 ICE는 기존선 직류 3,000 V, 고속선 25 kV 50 Hz 대응의 ICE 3M이 사용된다. 지역 열차는 기관차 견인이므로, 보통 화물 병용으로 쓰일 수 있는 다목적 전기 기관차 견인 열차 위주로 운행된다.
** [[브뤼셀 남역|브뤼셀]] 방면으로 프랑크푸르트/쾰른(ICE/THA) 등 장거리 열차도 다니고, 아헨 등에서 [[벨기에 국철]](SNCB/NMBS)의 IC나 로컬 열차 등이 연결되기도 한다.
** [[브뤼셀 남역|브뤼셀]] 방면으로 프랑크푸르트/쾰른(ICE/THA) 등 장거리 열차도 다니고, 아헨 등에서 [[벨기에 국철]](SNCB/NMBS)의 IC나 로컬 열차 등이 연결되기도 한다.
* [[룩셈부르크]] 방면
* [[룩셈부르크]] 방면
96번째 줄: 96번째 줄:


덴마크를 경유해 스웨덴까지 운행하는 열차도 있다. 여름마다 베를린-말뫼 간 야간 열차가 운행하며, 독일 자스니츠-스웨덴 트렐레보리 간을 열차 페리로 이동한다. 독일에서 덴마크 코펜하겐-스웨덴 말뫼로 이어지는 간선 자체는 전철화 되어 있어서 화물 열차가 절찬리에 이용 중이다.
덴마크를 경유해 스웨덴까지 운행하는 열차도 있다. 여름마다 베를린-말뫼 간 야간 열차가 운행하며, 독일 자스니츠-스웨덴 트렐레보리 간을 열차 페리로 이동한다. 독일에서 덴마크 코펜하겐-스웨덴 말뫼로 이어지는 간선 자체는 전철화 되어 있어서 화물 열차가 절찬리에 이용 중이다.
* [[덴마크]] 방면: 어느 쪽이든 함부르크/베를린 발의 ICE/EC 장거리 열차로 운행된다. 인구 밀도가 낮아 지역 열차로 넘어갈 예정은 없는 듯. 하지만 2015년 12월 개정부터는 ICE는 짤리고 함부르크 발착의 EC/IC로 대체되는 등 여러모로 안습...
* [[덴마크]] 방면: 어느 쪽이든 함부르크/베를린 발의 ICE/EC 장거리 열차로 운행된다. 인구 밀도가 낮아 지역 열차로 넘어갈 예정은 없는 듯. 하지만 2015년 12월 개정부터는 ICE는 짤리고 함부르크 발착의 EC/IC로 대체되는 등 여러모로 안습...
** [[코펜하겐 중앙역|코펜하겐]] - 뤼베크를 거쳐 넘어가는 경로로, 현재는 페마른벨트 해협의 열차 페리를 이용해 넘어간다.
** [[코펜하겐 중앙역|코펜하겐]] - 뤼베크를 거쳐 넘어가는 경로로, 현재는 페마른벨트 해협의 열차 페리를 이용해 넘어간다.
101번째 줄: 102번째 줄:


=== 독일어권 방면 ===
=== 독일어권 방면 ===
역사적, 전통적으로 교류가 많을 수밖에 없었기에 연결 통로가 상당히 많고, 또 각 연결 통로 별로 장거리부터 단거리 지역 열차까지 상당히 많은 교류가 이루어진다. 전기 방식 역시 다른 방면에 비해 일관되게 독일과 동일하므로, 시스템 상 호환율도 높아 아무 열차든 걱정 없이 넘어 다닌다.
역사적, 전통적으로 교류가 많을 수 밖에 없었기에 연결 통로가 상당히 많고, 또 각 연결 통로 별로 장거리부터 단거리 지역 열차까지 상당히 많은 교류가 이루어진다. 전기 방식 역시 다른 방면에 비해 일관되게 독일과 동일하므로, 시스템 상 호환율도 높아 아무 열차든 걱정 없이 넘어 다닌다.
* [[스위스]] 방면: 상당히 연결 통로가 많으며, 여기에서는 주요 연결로만을 서술한다. 장거리부터 단거리 열차까지 다양하게 넘어다닌다.
* [[스위스]] 방면: 상당히 연결 통로가 많으며, 여기에서는 주요 연결로만을 서술한다. 장거리부터 단거리 열차까지 다양하게 넘어다닌다.
** [[바젤 SBB역|바젤]]/[[취리히 중앙역|취리히]]/[[베른역|베른]] - [[라인 계곡선]] 본선 열차 (ICE/IC/RE/RB/S 등)
** [[바젤 SBB 역|바젤]]/[[취리히 중앙역|취리히]]/[[베른 역|베른]] - [[라인 계곡선]] 본선 열차 (ICE/IC/RE/RB/S 등)
** 이외에도 샤프하우젠 등 스위스 방면으로는 많은 지역 열차들이 넘어 다닌다.
** 이외에도 샤프하우젠 등 스위스 방면으로는 많은 지역 열차들이 넘어 다닌다.
* [[오스트리아]] 방면: 주요 연결로는 세 곳이며, 마찬가지로 장거리부터 단거리 열차까지 다양히 넘어 다닌다.
* [[오스트리아]] 방면: 주요 연결로는 세 곳이며, 마찬가지로 장거리부터 단거리 열차까지 다양히 넘어 다닌다.
114번째 줄: 115번째 줄:


=== 구 공산권 방면 ===
=== 구 공산권 방면 ===
구 동독 지역에서 연결은 되어있는데, 해당 국가들이나 구 동독 지역이 경제 규모면에서 후달리다 보니 교류가 많지는 않다. 다만 소련 붕괴 이후 자유화된 20년 동안 교류가 점차 늘어나고 있으며, 동유럽 중 가장 성장이 빠른 지역이다 보니 점차 연결이 개선될 여지가 있다. 이들 나라는 구 공산권 전압인 직류 3,000 V를 사용하기 때문에<ref>단 체코 남부는 교류 25kV 50Hz 사용</ref> 다목적 전기기관차 아니면 디젤 열차 위주로 운행된다.
구 동독 지역에서 연결은 되어있는데, 해당 국가들이나 구 동독 지역이 경제 규모면에서 후달리다 보니 교류가 많지는 않다. 다만 소련 붕괴 이후 자유화된 20년 동안 교류가 점차 늘어나고 있으며, 동유럽 중 가장 성장이 빠른 지역이다 보니 점차 연결이 개선될 여지가 있다. 이들 나라는 구 공산권 전압인 직류 3,000 V를 사용하기 때문에<ref>단 체코 남부는 교류 25kV 50Hz 사용</ref> 다목적 전기 기관차 아니면 디젤 열차 위주로 운행된다.
* [[폴란드]] 방면: 장거리와 일부 프로이센 시절부터 연결성이 높던 지역을 잇는 단거리 열차 위주로 넘어 다닌다. 화물이 주다 보니 규모에 비해서는 부실하다.
* [[폴란드]] 방면: 장거리와 일부 프로이센 시절부터 연결성이 높던 지역을 잇는 단거리 열차 위주로 넘어 다닌다. 화물이 주다 보니 규모에 비해서는 부실하다.
** 베를린-바르샤바 특급 - 베를린에서 출발해 바르샤바까지 가는 EC. PKP 운행.
** 베를린-바르샤바 특급 - 베를린에서 출발해 바르샤바까지 가는 EC. PKP 운행.
140번째 줄: 141번째 줄:
! 대상국 노선
! 대상국 노선
|-
|-
| rowspan="2" | {{나라|덴마크}}
| rowspan="2" | {{국기나라|덴마크}}
| 플렌스부르크 국경
| 플렌스부르크 국경
| Flensburg Grenze
| Flensburg Grenze
| [[독일철도 1000호선|노이뮌스터–플렌스부르크선 (DB 1000)]]
| [[독일철도 1000호선|노이뮌스터–플렌스부르크 선 (DB 1000)]]
| [[프레데리시아–플렌스부르크선|프레데리시아–플렌스부르크선 (DSB 26)]]
| [[프레데리시아–플렌스부르크 선|프레데리시아–플렌스부르크 선 (DSB 26)]]
|-
|-
| 쥐더뤼굼 국경
| 쥐더뤼굼 국경
| Süderlügum Grenze
| Süderlügum Grenze
| [[독일철도 1201호선|마쉬 선 지선 (neg 1201)]]
| [[독일철도 1201호선|마쉬 선 지선 (neg 1201)]]
| [[브라밍–퇴네르선|브라밍–퇴네르선 (DSB 30)]]
| [[브라밍–퇴네르 선|브라밍–퇴네르 선 (DSB 30)]]
|-
|-
| rowspan="7" | {{나라|네덜란드}}
| rowspan="7" | {{국기나라|네덜란드}}
| 베너 국경
| 베너 국경
| Weener Grenze
| Weener Grenze
| [[독일철도 1575호선|엠스란트 선 지선 (DB 1575)]]
| [[독일철도 1575호선|엠스란트 선 지선 (DB 1575)]]
| [[하를링언–바트니베스한스선]]
| [[하를링언–바트니베스한스 선]]
|- style="background: #eef;"
|- style="background: #eef;"
| - (네덜란드: 쿠보르던)
| - (네덜란드: 쿠보르던)
163번째 줄: 164번째 줄:
| 바트벤트하임 국경
| 바트벤트하임 국경
| Bad Bentheim Grenze
| Bad Bentheim Grenze
| colspan="2" | [[독일철도 2026호선|알멜로–잘츠베르겐선 (DB 2026)]] →
| colspan="2" | [[독일철도 2026호선|알멜로–잘츠베르겐 선 (DB 2026)]] →
|-
|-
| 그로나우 국경
| 그로나우 국경
| Gronau Grenze
| Gronau Grenze
| [[독일철도 2014호선|뮌스터–엔스헤더선 (DB 2014)]]
| [[독일철도 2014호선|뮌스터–엔스헤더 선 (DB 2014)]]
| [[쥣펀–흘라너베이크선]]
| [[쥣펀–흘라너베이크 선]]
|-
|-
| 에머리히 국경
| 에머리히 국경
| Emmerich Grenze
| Emmerich Grenze
| [[독일철도 2270호선|오버하우젠–아른험선 (DB 2270)]]
| [[독일철도 2270호선|오버하우젠–아른험 선 (DB 2270)]]
| [[라인 철도선|라인 철도선 (암스테르담–엘턴선)]]
| [[라인 철도선|라인 철도선 (암스테르담–엘턴 선)]]
|-
|-
| 칼덴키르헨 국경
| 칼덴키르헨 국경
| Kaldenkirchen Grenze
| Kaldenkirchen Grenze
| colspan="2" | [[독일철도 2510호선|피어첸–벤로선 (DB 2510)]] →
| colspan="2" | [[독일철도 2510호선|피어첸–벤로 선 (DB 2510)]] →
|-
|-
| 헤르초겐라트 국경
| 헤르초겐라트 국경
| Herzogenrath Grenze
| Herzogenrath Grenze
| colspan="2" | ← [[독일철도 2543호선|시타르드–헤르초겐라트선 (DB 2543)]]
| colspan="2" | ← [[독일철도 2543호선|시타르드–헤르초겐라트 선 (DB 2543)]]
|-
|-
| rowspan="2" | {{나라|벨기에}}
| rowspan="2" | {{국기나라|벨기에}}
| 아헨 서부 국경
| 아헨 서부 국경
| Aachen West Grenze
| Aachen West Grenze
190번째 줄: 191번째 줄:
| 아헨 남부 국경
| 아헨 남부 국경
| Aachen Süd Grenze
| Aachen Süd Grenze
| [[쾰른–아헨선|쾰른–아헨선 (DB 2600)]]
| [[쾰른–아헨 선|쾰른–아헨 선 (DB 2600)]]
| [[벨기에 철도 37호선|벨기에 철도 37호선 (SNCB/NMBS 37)]]
| [[벨기에 철도 37호선|벨기에 철도 37호선 (SNCB/NMBS 37)]]
|-
|-
| {{나라|룩셈부르크}}
| {{국기나라|룩셈부르크}}
| 이겔 국경
| 이겔 국경
| Igel Grenze
| Igel Grenze
199번째 줄: 200번째 줄:
| [[룩셈부르크 철도 3호선|룩셈부르크 철도 3호선 (CFL 3)]]
| [[룩셈부르크 철도 3호선|룩셈부르크 철도 3호선 (CFL 3)]]
|-
|-
| rowspan="9" | {{나라|프랑스}}
| rowspan="9" | {{국기나라|프랑스}}
| 페를 국경
| 페를 국경
| Perl Grenze
| Perl Grenze
| [[독일철도 3010호선|모젤 선 · 티옹빌–트리어선 (DB 3010)]]
| [[독일철도 3010호선|모젤 선 · 티옹빌–트리어 선 (DB 3010)]]
| [[티옹빌–아파시선|티옹빌–아파시선 (SNCF 178 000)]]
| [[티옹빌–아파시 선|티옹빌–아파시 선 (SNCF 178 000)]]
|-
|-
| 헤머스도르프 (자르) 국경
| 헤머스도르프 (자르) 국경
211번째 줄: 212번째 줄:
| 자르브뤼켄 국경
| 자르브뤼켄 국경
| Saarbrücken Grenze
| Saarbrücken Grenze
| colspan="2" | ← [[헤밀리–자르브뤼켄선|헤밀리–자르브뤼켄선 (SNCF 172 000 · DB 3231)]]
| colspan="2" | ← [[헤밀리–자르브뤼켄 선|헤밀리–자르브뤼켄 선 (SNCF 172 000 · DB 3231)]]
|-
|-
| 한바일러 국경
| 한바일러 국경
219번째 줄: 220번째 줄:
| 카프스바이어 국경
| 카프스바이어 국경
| Kapsweyer Grenze
| Kapsweyer Grenze
| colspan="2" | [[독일철도 3433호선|노이슈타트–비상부르선 (DB 3433 · SNCF 146 000)]] →
| colspan="2" | [[독일철도 3433호선|노이슈타트–비상부르 선 (DB 3433 · SNCF 146 000)]] →
|-
|-
| 베르크 (팔츠) 국경
| 베르크 (팔츠) 국경
| Berg (Pfalz) Grenze
| Berg (Pfalz) Grenze
| [[독일철도 3400호선|뵈르트–스트라스부르선 (DB 3400)]]
| [[독일철도 3400호선|뵈르트–스트라스부르 선 (DB 3400)]]
| [[스트라스부르–로테르부르선|스트라스부르–로테르부르선 (SNCF 145 000)]]
| [[스트라스부르–로테르부르 선|스트라스부르–로테르부르 선 (SNCF 145 000)]]
|-
|-
| 켈 국경
| 켈 국경
| Kehl Grenze
| Kehl Grenze
| colspan="2" | [[독일철도 4260호선|아펜바이어–스트라스부르선 (DB 4260 · SNCF 142 000)]] →
| colspan="2" | [[독일철도 4260호선|아펜바이어–스트라스부르 선 (DB 4260 · SNCF 142 000)]] →
|- style="background: #eef;"
|- style="background: #eef;"
| (베아투스 레나누스 다리)
| (베아투스 레나누스 다리)
236번째 줄: 237번째 줄:
| 노이엔베르크 (바덴) 국경
| 노이엔베르크 (바덴) 국경
| Neuenberg (Baden) Grenze
| Neuenberg (Baden) Grenze
| colspan="2" | ← [[뮐루즈–뮐하임선 (SNCF 124 000 · DB 4314)]]
| colspan="2" | ← [[뮐루즈–뮐하임 선 (SNCF 124 000 · DB 4314)]]
|-
|-
| rowspan="11" | {{나라|스위스}}
| rowspan="11" | {{국기나라|스위스}}
| style="background: #eef;" | 바젤 바덴 조차장 국경
| style="background: #eef;" | 바젤 바덴 조차장 국경
| style="background: #eef;" | LGz<ref>Landesgrenze = (토지로의) 국경</ref> Basel Bad Rbf<ref>Rangierbahnhof = 조차장</ref>
| style="background: #eef;" | LGz<ref>Landesgrenze = (토지로의) 국경</ref> Basel Bad Rbf<ref>Rangierbahnhof = 조차장</ref>
| colspan="2" style="background: #eef;" | 바젤 바덴 조차장선 (DB 4405)
| colspan="2" style="background: #eef;" | 바젤 바덴 조차장 선 (DB 4405)
|- style="background: #eef;"
|- style="background: #eef;"
| 바일암라인 국경
| 바일암라인 국경
265번째 줄: 266번째 줄:
| 발츠후트 국경
| 발츠후트 국경
| Waldshut Grenze
| Waldshut Grenze
| colspan="2" | ← [[투어기–코블렌츠–발츠후트선|투어기–코블렌츠–발츠후트선 (SBB 730.4 · DB 4402)]]
| colspan="2" | ← [[투어기–코블렌츠–발츠후트 선|투어기–코블렌츠–발츠후트 선 (SBB 730.4 · DB 4402)]]
|- style="background: #eef;"
|- style="background: #eef;"
| 이어칭엔 국경
| 이어칭엔 국경
| Erzingen Grenze
| Erzingen Grenze
| colspan="2" rowspan="2" | [[독일철도 4000호선|바덴 본선 (고지 라인 선 · DB 4000)]]<ref>사이에서 실질적인 국경역 역할은 [[샤프하우젠역]]
| colspan="2" rowspan="2" | [[독일철도 4000호선|바덴 본선 (고지 라인 선 · DB 4000)]]<ref>사이에서 실질적인 국경역 역할은 [[샤프하우젠 역]]
  (Bahnhof Schaffhausen)이 맡고 있다.</ref>
  (Bahnhof Schaffhausen)이 맡고 있다.</ref>
|- style="background: #eef;"
|- style="background: #eef;"
282번째 줄: 283번째 줄:
| style="letter-spacing: -0.1em;" | Konstanz Grenze Romanshorn
| style="letter-spacing: -0.1em;" | Konstanz Grenze Romanshorn
|-
|-
| rowspan="8" | {{나라|오스트리아}}
| rowspan="8" | {{국기나라|오스트리아}}
| 린다우-로이틴 국경
| 린다우-로이틴 국경
| Lindau-Reutin Grenze
| Lindau-Reutin Grenze
| colspan="2" | ← [[포어아를베르크선|포어아를베르크선 (ÖBB 101 05 · DB 5420)]]
| colspan="2" | ← [[포어아를베르크 선|포어아를베르크 선 (ÖBB 101 05 · DB 5420)]]
|-
|-
| 프론텐-슈타이나흐 국경
| 프론텐-슈타이나흐 국경
| Pfronten-Steinach Grenze
| Pfronten-Steinach Grenze
| colspan="2" rowspan="2" | [[아우서페른선|아우서페른선 (DB 5403/5452 · ÖBB 352 01)]]<ref>체코나 폴란드 쪽 예시와 달리 이 쪽은 독일에 갇혀있는 구간이면서도 어쨌든 ÖBB가 직접 관할하고 ÖBB의 열차도 영업하는 구간이다.</ref>
| colspan="2" rowspan="2" | [[아우서페른 선|아우서페른 선 (DB 5403/5452 · ÖBB 352 01)]]<ref>체코나 폴란드 쪽 예시와 달리 이 쪽은 독일에 갇혀있는 구간이면서도 어쨌든 ÖBB가 직접 관할하고 ÖBB의 열차도 영업하는 구간이다.</ref>
|-
|-
| <span style="letter-spacing: -0.1em;">그리젠 (오버바이에른) 국경</span>
| <span style="letter-spacing: -0.1em;">그리젠 (오버바이에른) 국경</span>
296번째 줄: 297번째 줄:
| 미텔발트 국경
| 미텔발트 국경
| Mittelwald Grenze
| Mittelwald Grenze
| colspan="2" | [[독일철도 5504호선|미텔발트선 (DB 5504 · ÖBB 351 01)]] →
| colspan="2" | [[독일철도 5504호선|미텔발트 선 (DB 5504 · ÖBB 351 01)]] →
|-
|-
| 쿠프슈타인 국경
| 쿠프슈타인 국경
| Kufstein Grenze
| Kufstein Grenze
| [[독일철도 5702호선|로젠하임–쿠프슈타인선 (DB 5702)]]
| [[독일철도 5702호선|로젠하임–쿠프슈타인 선 (DB 5702)]]
| [[쿠프슈타인–인스브루크선|쿠프슈타인–인스브루크선 (ÖBB 302 01)]]
| [[쿠프슈타인–인스브루크 선|쿠프슈타인–인스브루크 선 (ÖBB 302 01)]]
|-
|-
| 잘츠부르크 국경
| 잘츠부르크 국경
| Salzburg Grenze
| Salzburg Grenze
| colspan="2" | [[독일철도 5703호선|로젠하임–잘츠부르크선 (DB 5703 · ÖBB 217 01)]] →
| colspan="2" | [[독일철도 5703호선|로젠하임–잘츠부르크 선 (DB 5703 · ÖBB 217 01)]] →
|-
|-
| 짐바흐 (인) 국경
| 짐바흐 (인) 국경
| Simbach (Inn) Grenze
| Simbach (Inn) Grenze
| [[독일철도 5600호선|뮐도르프–짐바흐선 (DB 5600)]]
| [[독일철도 5600호선|뮐도르프–짐바흐 선 (DB 5600)]]
| [[인크라이스선|인크라이스선 (ÖBB 207 01)]]
| [[인크라이스 선|인크라이스 선 (ÖBB 207 01)]]
|-
|-
| 파사우 국경
| 파사우 국경
| Passau Grenze
| Passau Grenze
| colspan="2" | ← [[벨스–파사우선|벨스–파사우선 (ÖBB 205 01 · DB 5831)]]
| colspan="2" | ← [[벨스–파사우 선|벨스–파사우 선 (ÖBB 205 01 · DB 5831)]]
|-
|-
| rowspan="19" | {{나라|체코}}
| rowspan="19" | {{국기나라|체코}}
| <span style="letter-spacing: -0.1em;">[[바이에리시아이젠슈타인역]]</span>
| <span style="letter-spacing: -0.1em;">[[바이에리시아이젠슈타인 역]]</span>
| Bf Bayerisch Eisenstein<ref>체코어 표기: Železná Ruda-Alžbětín (젤레즈나루다-알주볘틴), 역명에는 두 언어 모두 병기되어 있다.</ref>
| Bf Bayerisch Eisenstein<ref>체코어 표기: Železná Ruda-Alžbětín (젤레즈나루다-알주볘틴), 역명에는 두 언어 모두 병기되어 있다.</ref>
| <span style="letter-spacing: -0.15em;">[[독일철도 5634호선|플라틀링–바이에리시아이젠슈타인선 (DB 5634)]]</span>
| <span style="letter-spacing: -0.15em;">[[독일철도 5634호선|플라틀링–바이에리시아이젠슈타인 선 (DB 5634)]]</span>
| [[젤레즈나루다–플젠선|젤레즈나루다–플젠선 (ČD 183)]]
| [[젤레즈나루다–플젠 선|젤레즈나루다–플젠 선 (ČD 183)]]
|-
|-
| 푸르트임발트 국경
| 푸르트임발트 국경
| Furth im Wald Grenze
| Furth im Wald Grenze
| [[독일철도 5800호선|슈반도르프–푸르트임발트선 (DB 5800)]]
| [[독일철도 5800호선|슈반도르프–푸르트임발트 선 (DB 5800)]]
| [[플젠–푸르트임발트선|플젠–푸르트임발트선 (ČD 180 · DB 5801)]]
| [[플젠–푸르트임발트 선|플젠–푸르트임발트 선 (ČD 180 · DB 5801)]]
|-
|-
| 시언딩 국경
| 시언딩 국경
| Schirnding Grenze
| Schirnding Grenze
| colspan="2" | [[독일철도 5903호선|뉘른베르크–헤프선 (DB 5903 · ČD 179)]] →
| colspan="2" | [[독일철도 5903호선|뉘른베르크–헤프 선 (DB 5903 · ČD 179)]] →
|-
|-
| style="background: #eef;" | 젤프-플뢰스베르크 국경
| style="background: #eef;" | 젤프-플뢰스베르크 국경
| style="background: #eef;" | Selb-Plößberg Grenze
| style="background: #eef;" | Selb-Plößberg Grenze
| colspan="2" rowspan="2" | [[독일철도 5027호선|헤프–오버코트차우선 (DB 5027 · ČD 148)]]
| colspan="2" rowspan="2" | [[독일철도 5027호선|헤프–오버코트차우 선 (DB 5027 · ČD 148)]]
|- style="background: #fee;"
|- style="background: #fee;"
| [[아시역]]
| [[아시 역]]
| Aš Nádraží
| Aš Nádraží
|-
|-
|  style="background: #eef;" | -<ref name="noname">명칭이 아예 없다. 심지어 서류상으로 국경에 지정되는 경계점(Grenzepunkt)마저도 이 두 지점에는 지정되어 있지 않다.</ref>
|  style="background: #eef;" | -<ref name="noname">명칭이 아예 없다. 심지어 서류상으로 국경에 지정되는 경계점(Grenzepunkt)마저도 이 두 지점에는 지정되어 있지 않다.</ref>
|  style="background: #eef;" | (km 47.614)
|  style="background: #eef;" | (km 47.614)
| colspan="2" rowspan="7" | [[독일철도 6270호선|플라우엔–헤프선 (DB 6270 · ČD 147)]]
| colspan="2" rowspan="7" | [[독일철도 6270호선|플라우엔–헤프 선 (DB 6270 · ČD 147)]]
|- style="background: #eef;"
|- style="background: #eef;"
| -<ref name="noname" />
| -<ref name="noname" />
362번째 줄: 363번째 줄:
| 클링겐탈 국경
| 클링겐탈 국경
| Klingenthal Grenze
| Klingenthal Grenze
| [[독일철도 6651호선|츠보텐탈–클링겐탈선 (DB 6651)]]
| [[독일철도 6651호선|츠보텐탈–클링겐탈 선 (DB 6651)]]
| [[소콜로프–크라슬리체선|소콜로프–크라슬리체선 (ČD 145)]]
| [[소콜로프–크라슬리체 선|소콜로프–크라슬리체 선 (ČD 145)]]
|-
|-
| <span style="letter-spacing: -0.1em;">요한게오르겐슈타트 국경</span>
| <span style="letter-spacing: -0.1em;">요한게오르겐슈타트 국경</span>
| Johanngeorgenstadt Grenze
| Johanngeorgenstadt Grenze
| <span style="letter-spacing: -0.125em;">[[독일철도 6626호선|요한게오르겐슈타트–슈바르첸베르크선 (DB 6626)]]</span>
| <span style="letter-spacing: -0.125em;">[[독일철도 6626호선|요한게오르겐슈타트–슈바르첸베르크 선 (DB 6626)]]</span>
| <span style="letter-spacing: -0.125em;">[[카를로비바리–요한게오르겐슈타트선|카를로비바리–요한게오르겐슈타트선 (ČD 142)]]</span>
| <span style="letter-spacing: -0.125em;">[[카를로비바리–요한게오르겐슈타트 선|카를로비바리–요한게오르겐슈타트 선 (ČD 142)]]</span>
|-
|-
| <span style="letter-spacing: -0.15em;">배렌슈타인 (아나베르크군) 국경</span>
| <span style="letter-spacing: -0.15em;">배렌슈타인 (아나베르크 군) 국경</span>
| <span style="letter-spacing: -0.1em;">Bärenstein (Kr Annaberg) Grenze</span>
| <span style="letter-spacing: -0.1em;">Bärenstein (Kr Annaberg) Grenze</span>
| [[독일철도 6623호선|베이프르티–아나베르크선 (DB 6623)]]
| [[독일철도 6623호선|베이프르티–아나베르크 선 (DB 6623)]]
| [[호무토프–베이프르티선|호무토프–베이프르티선 (ČD 137)]]
| [[호무토프–베이프르티 선|호무토프–베이프르티 선 (ČD 137)]]
|-
|-
| 바트샨다우 국경
| 바트샨다우 국경
| Bad Schandau Grenze
| Bad Schandau Grenze
| colspan="2" | [[독일철도 6240호선|엘베 계곡선: 데친–드레스덴선 (DB 6240 · ČD 083)]]
| colspan="2" | [[독일철도 6240호선|엘베 계곡선: 데친–드레스덴 선 (DB 6240 · ČD 083)]]
|-
|-
| 에버스바흐 (작센) 국경
| 에버스바흐 (작센) 국경
| Ebbersbach (Sachs) Grenze
| Ebbersbach (Sachs) Grenze
| colspan="2" | ← [[룸부르크–에버스바흐선|룸부르크–에버스바흐선 (ČD 088 · DB 6586)]]
| colspan="2" | ← [[룸부르크–에버스바흐 선|룸부르크–에버스바흐 선 (ČD 088 · DB 6586)]]
|- style="background: #eef;"
|- style="background: #eef;"
| 그로스쇠나우 (작센) 국경
| 그로스쇠나우 (작센) 국경
| Großschönau (Sachs) Grenze
| Großschönau (Sachs) Grenze
| colspan="2" rowspan="2" | [[독일철도 6588호선|미텔헤어비히스도르프–아이바우선 (DB/DRE 6588 · ČD 089)]]
| colspan="2" rowspan="2" | [[독일철도 6588호선|미텔헤어비히스도르프–아이바우 선 (DB/DRE 6588 · ČD 089)]]
|- style="background: #eef;"
|- style="background: #eef;"
| 자이프헤너스도르프 국경
| 자이프헤너스도르프 국경
| Seifhennersdorf Grenze
| Seifhennersdorf Grenze
|-
|-
| rowspan="14" | {{나라|폴란드}}
| rowspan="14" | {{국기나라|폴란드}}
| 치타우 국경
| 치타우 국경
| Zittau Grenze
| Zittau Grenze
| colspan="2" | [[니스카선|니스카선 (ČD 089 · PKP 346 · DB 6214)]]<ref>하필 폴란드 영토가 사이에 끼어들었고, 독일–폴란드–체코 순으로 국경을
| colspan="2" | [[니스카 선|니스카 선 (ČD 089 · PKP 346 · DB 6214)]]<ref>하필 폴란드 영토가 사이에 끼어들었고, 독일–폴란드–체코 순으로 국경을
  넘게 된다. 폴란드 영토는 지극히 짧은 거리라 중간 역이 없는데도 불구하고 PLK (PKP)의 번호가 매겨져 있고, 시설 명의도 일단은 체코나 독일에 위탁하는 형태가 아닌, PLK 앞으로 되어 직접 가지고 있는 형태를 취하고는 있다.</ref>
  넘게 된다. 폴란드 영토는 지극히 짧은 거리라 중간 역이 없는데도 불구하고 PLK (PKP)의 번호가 매겨져 있고, 시설 명의도 일단은 체코나 독일에 위탁하는 형태가 아닌, PLK 앞으로 되어 직접 가지고 있는 형태를 취하고는 있다.</ref>
|- style="background: #eef;"
|- style="background: #eef;"
| 히르시펠데 국경
| 히르시펠데 국경
| Hirschfelde Grenze
| Hirschfelde Grenze
| [[독일철도 6589호선|치타우–하겐베르더선 (DB 6589)]]
| [[독일철도 6589호선|치타우–하겐베르더 선 (DB 6589)]]
| [[독일철도 6589호선|폴란드 철도 348호선 (PKP 348)]]<ref>국경을 대고 바로 맞닿은 것은 348호선이지만, 국경 코앞에서 폴란드 국내선 (290호선)이 들어오며 중첩 구간이 시작된다.</ref>
| [[독일철도 6589호선|폴란드 철도 348호선 (PKP 348)]]<ref>국경을 대고 바로 맞닿은 것은 348호선이지만, 국경 코앞에서 폴란드 국내선 (290호선)이 들어오며 중첩 구간이 시작된다.</ref>
|- style="background: #eef;"
|- style="background: #eef;"
| 로젠탈 국경 1
| 로젠탈 국경 1
| Rosenthal Staatsgrenze 1
| Rosenthal Staatsgrenze 1
| colspan="2" rowspan="2" | [[독일철도 6589호선|치타우–하겐베르더선 (DB 6589)]]<br />[[폴란드 철도 290호선|폴란드 철도 290호선 (PKP 290)]] (중첩)<ref>중간역은 DB 노선에는 없는 것으로 취급되지만, 실제로는(PKP 290호선 포함) [[크셰비나 즈고젤렉카역]] (Krzewina Zgorzelecka)이 중간역으로 있다. 다만 위치상 오히려 나이세 강 건너편의 독일 오스트리츠 마을과 훨씬 가깝고, 실제 수요도 오스트리츠에서 나오며 폴란드 방면의 국내선 여객열차는 운행되지 않기 때문에 국경역이라고 보기는 어렵다.</ref>
| colspan="2" rowspan="2" | [[독일철도 6589호선|치타우–하겐베르더 선 (DB 6589)]]<br />[[폴란드 철도 290호선|폴란드 철도 290호선 (PKP 290)]] (중첩)<ref>중간역은 DB 노선에는 없는 것으로 취급되지만, 실제로는(PKP 290호선 포함) [[크셰비나 즈고젤렉카 역]] (Krzewina Zgorzelecka)이 중간역으로 있다. 다만 위치상 오히려 나이세 강 건너편의 독일 오스트리츠 마을과 훨씬 가깝고, 실제 수요도 오스트리츠에서 나오며 폴란드 방면의 국내선 여객열차는 운행되지 않기 때문에 국경역이라고 보기는 어렵다.</ref>
|- style="background: #eef;"
|- style="background: #eef;"
| 로젠탈 국경 2
| 로젠탈 국경 2
410번째 줄: 411번째 줄:
| 하겐베르더 국경
| 하겐베르더 국경
| Hagenwerder Grenze
| Hagenwerder Grenze
| [[독일철도 6589호선|치타우–하겐베르더선 (DB 6589)]]
| [[독일철도 6589호선|치타우–하겐베르더 선 (DB 6589)]]
| [[독일철도 6589호선|폴란드 철도 324호선 (PKP 324)]]<ref>위와 마찬가지로, 독일과의 국경 코앞에서 폴란드 국내선 (290호선)이 나가며 중첩 구간이 끝난다.</ref>
| [[독일철도 6589호선|폴란드 철도 324호선 (PKP 324)]]<ref>위와 마찬가지로, 독일과의 국경 코앞에서 폴란드 국내선 (290호선)이 나가며 중첩 구간이 끝난다.</ref>
|-
|-
419번째 줄: 420번째 줄:
| 호르카 국경
| 호르카 국경
| Horka Grenze
| Horka Grenze
| colspan="2" | [[독일철도 6207호선|벵글리니에츠–로슬라우선 (DB 6207 · PKP 295)]] →
| colspan="2" | [[독일철도 6207호선|벵글리니에츠–로슬라우 선 (DB 6207 · PKP 295)]] →
|-
|-
| 포어스트 (라우지츠) 국경
| 포어스트 (라우지츠) 국경
| Forst (Lausitz) Grenze
| Forst (Lausitz) Grenze
| [[독일철도 6205호선|코트부스–포어스트선 (DB 6205)]]
| [[독일철도 6205호선|코트부스–포어스트 선 (DB 6205)]]
| [[폴란드 철도 14호선|폴란드 철도 14호선 (PKP 14)]]
| [[폴란드 철도 14호선|폴란드 철도 14호선 (PKP 14)]]
|-
|-
441번째 줄: 442번째 줄:
| 탄토우 국경
| 탄토우 국경
| Tantow Grenze
| Tantow Grenze
| colspan="2" | [[독일철도 6328호선|베를린–슈체친선 (DB 6328 · PKP 409)]] →
| colspan="2" | [[독일철도 6328호선|베를린–슈체친 선 (DB 6328 · PKP 409)]] →
|-
|-
| 그람보우 국경
| 그람보우 국경
| Grambow Grenze
| Grambow Grenze
| colspan="2" | [[독일철도 6327호선|뷔초우–슈체친선 (DB 6327 · PKP 408)]] →
| colspan="2" | [[독일철도 6327호선|뷔초우–슈체친 선 (DB 6327 · PKP 408)]] →
|- style="background: #eef;"
|- style="background: #eef;"
| [[알베크 국경역]]
| [[알베크 국경역]]
| Haltepunkt Ahlbeck Grenze
| Haltepunkt Ahlbeck Grenze
| colspan="2" | [[독일철도 6768호선|헤링스도르프–시비노우이시치에선 (UBB 6768)]]<ref>폴란드 구간이 폐선된 채 있었던 것을 2008년에 복구하여 시비노우시치에(구 슈비네뮌데) 도심역까지 연장 운행하게 된 케이스로, 사설철도인 [[우제돔 온천철도]] (UBB: Usedomer Bäderbahn)가 관리하고, 단 1역간이기 때문에 PKP 번호는 매겨져있지 않다.</ref>
| colspan="2" | [[독일철도 6768호선|헤링스도르프–시비노우이시치에 선 (UBB 6768)]]<ref>폴란드 구간이 폐선된 채 있었던 것을 2008년에 복구하여 시비노우시치에(구 슈비네뮌데) 도심역까지 연장 운행하게 된 케이스로, 사설철도인 [[우제돔 온천철도]] (UBB: Usedomer Bäderbahn)가 관리하고, 단 1역간이기 때문에 PKP 번호는 매겨져있지 않다.</ref>
|-
|-
|}
|}
461번째 줄: 462번째 줄:
** [[함부르크 S반]] - 이 쪽은 독특하게 제3궤조 한류치인 직류 1200 V를 사용한다. 노선망은 크지 않지만, 최근 확장되고 있는 추세이다. 다만 확장되는 구간은 기존 간선과 같은 교류 15 kV 16⅔ Hz 가공전차선을 사용하도록 해, 두 시스템에서 호환이 되는 양용 전동차를 사용한다.
** [[함부르크 S반]] - 이 쪽은 독특하게 제3궤조 한류치인 직류 1200 V를 사용한다. 노선망은 크지 않지만, 최근 확장되고 있는 추세이다. 다만 확장되는 구간은 기존 간선과 같은 교류 15 kV 16⅔ Hz 가공전차선을 사용하도록 해, 두 시스템에서 호환이 되는 양용 전동차를 사용한다.
* '''발전기 S반''' - 서독 지역에서 1960~70년대 개통된 시스템. 기존선과 거의 완벽히 호환되는 시스템이고, 차량은 다문형 차량(23m 4문, 17.25m 3문)을 사용한다. 라인-루르와 라인-지크를 제외하고 남독일 3개 도시는 도심에서 모두 하나로 모이도록 하고 간선 터널선을 깔아서 도심 구간에서 지하철처럼 정차하는 형태로 운행한다. 어찌보면 [[수도권 전철 1호선]]과 가장 유사한 형태.
* '''발전기 S반''' - 서독 지역에서 1960~70년대 개통된 시스템. 기존선과 거의 완벽히 호환되는 시스템이고, 차량은 다문형 차량(23m 4문, 17.25m 3문)을 사용한다. 라인-루르와 라인-지크를 제외하고 남독일 3개 도시는 도심에서 모두 하나로 모이도록 하고 간선 터널선을 깔아서 도심 구간에서 지하철처럼 정차하는 형태로 운행한다. 어찌보면 [[수도권 전철 1호선]]과 가장 유사한 형태.
** [[라인-루르 S반]], [[라인-지크 S반]]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의 S반. 비교적 넓은 범위에서 지역열차가 굴러다닌다. 비교적 복잡한 시스템. 집중적인 도시가 없고 워낙 집산적인 도시권이라 따로 별도의 터널을 만들거나 한 것은 아니다.
** [[라인-루르 S반]], [[라인-지크 S반]]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의 S반. 비교적 넓은 범위에서 지역열차가 굴러다닌다. 비교적 복잡한 시스템. 집중적인 도시가 없고 워낙 집산적인 도시권이라 따로 별도의 터널을 만들거나 한 것은 아니다.
** [[뮌헨 S반]] - [[뮌헨]]을 중심으로 하는 S반. 노선망이 매우 충실하고, 비교적 균등하고 고르게 분포되어 있으며, 이용객 수도 상당히 많아 가히 S반의 모범 사례라고도 볼 수 있다. 다만 과도하게 늘어나는 이용객을 감당하기 힘들어 도심 구간에서 복복선화에 상당하는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 [[뮌헨 S반]] - [[뮌헨]]을 중심으로 하는 S반. 노선망이 매우 충실하고, 비교적 균등하고 고르게 분포되어 있으며, 이용객 수도 상당히 많아 가히 S반의 모범 사례라고도 볼 수 있다. 다만 과도하게 늘어나는 이용객을 감당하기 힘들어 도심 구간에서 복복선화에 상당하는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 [[라인-마인 S반]] - [[프랑크푸르트]]를 중심으로 하는 S반. 인구규모에 비해 노선망이 비교적 충실하고, 고빈도로 운행되며 연결성이 꽤 우수하다.
** [[라인-마인 S반]] - [[프랑크푸르트]]를 중심으로 하는 S반. 인구규모에 비해 노선망이 비교적 충실하고, 고빈도로 운행되며 연결성이 꽤 우수하다.
509번째 줄: 510번째 줄:


== 관련 자료 ==
== 관련 자료 ==
한국에는 독일철덕이 많이 없다보니, 대부분의 자료를 [[독일어]]에 의존할 수밖에 없기는 하다. 다음은 대표적인 사이트들.
한국에는 독일철덕이 많이 없다보니, 대부분의 자료를 [[독일어]]에 의존할 수 밖에 없기는 하다. 다음은 대표적인 사이트들.
 
* [https://bahn.de 독일철도 홈페이지] - 특히 열차 조회가 비범하다. 국제 열차는 물론이고 버스 등도 조회가 된다. 물론 유럽에서 많이들 통합검색 솔루션이 나와있기는 하지만 상당히 강력한 편.
* [https://bahn.de 독일철도 홈페이지] - 특히 열차 조회가 비범하다. 국제 열차는 물론이고 버스 등도 조회가 된다. 물론 유럽에서 많이들 통합검색 솔루션이 나와있기는 하지만 상당히 강력한 편.
* [http://stredax.dbnetze.com/ISRViewer/public_html_de/svg/index.html STREDA.X] - 독일철도의 노선 정보 조회 솔루션. 부담이 많이 된다 생각되면 블럭하는 듯 하니 조심해서 사용하자.
* [http://stredax.dbnetze.com/ISRViewer/public_html_de/svg/index.html STREDA.X] - 독일철도의 노선 정보 조회 솔루션. 부담이 많이 된다 생각되면 블럭하는 듯 하니 조심해서 사용하자.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