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철도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번째 줄: 2번째 줄:


== 역사 ==
== 역사 ==
{{참고|대한민국의 철도/연표}}
{{참조|대한민국의 철도/연표}}


*[[1899년]] [[경인선]]의 개통으로 근대 철도의 역사가 시작됨
*[[1899년]] [[경인선]]의 개통으로 근대 철도의 역사가 시작됨
16번째 줄: 16번째 줄:


== 현황 및 노선 ==
== 현황 및 노선 ==
{{참고|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목록}}
{{참조|대한민국의 철도/노선}}
상세한 것은 위에 링크된 문서를 참고하고, 본 문서에는 일반적 이해 수준으로만 간단히(?) 소개한다.
상세한 것은 위에 링크된 문서를 참고하고, 본 문서에는 일반적 이해 수준으로만 간단히(?) 소개한다.


85번째 줄: 85번째 줄:
== 비판 ==
== 비판 ==
=== 과소한 철도망 ===
=== 과소한 철도망 ===
사실 단락들의 가장 근본적인 부분은 대한민국이 [[도로 공화국|고속도로 등의 도로에 많이 투자해와서]] 철도망 자체가 과소하다는 부분에서 시작된다. 도시철도망이야 수도권에서라면 비교적 갖춰진 편이지만, 간선 열차가 들어갈 수 있는 철도망 자체는 경부선, 중앙선 정도면 벌써 쫑이 나버리기 때문에 급행 및 특급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는 간선 열차가 없기 때문에 급행이 요구되는 것이다. 경부선만 하더라도 천안, 평택 등지에서는 이미 일상적으로 일반 열차가 전동 열차의 특급 역할을 수행하고(정확히는 반대긴 하지만) 있다. 가령, 분당선과 평행하게 일반열차용 수서-오리선과 오리-오산선이 있었더라면, 분당선에 굳이 급행을 우겨넣자고 할 이유가 줄어드는 것이다. 이런 부분은 프랑스, 독일 같은 국가에서 단거리용 U반/지하철, 중거리용 S반/RER과 중장거리용 RE/TER 같은 체계가 정립되어 거리별/속도별 여객을 나누고 있는 부분이라든지, 일본의 도카이도 선, 우츠노미야 선과 같은 중거리 전철이 사실상의 급행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것과 같은 부분을 지적하고 있는 것이다.
사실 단락들의 가장 근본적인 부분은 철도망 자체가 과소하다는 부분에서 시작된다. 도시철도망이야 수도권에서라면 비교적 갖춰진 편이지만, 간선 열차가 들어갈 수 있는 철도망 자체는 경부선, 중앙선 정도면 벌써 쫑이 나버리기 때문에 급행 및 특급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는 간선 열차가 없기 때문에 급행이 요구되는 것이다. 경부선만 하더라도 천안, 평택 등지에서는 이미 일상적으로 일반 열차가 전동 열차의 특급 역할을 수행하고(정확히는 반대긴 하지만) 있다. 가령, 분당선과 평행하게 일반열차용 수서-오리선과 오리-오산선이 있었더라면, 분당선에 굳이 급행을 우겨넣자고 할 이유가 줄어드는 것이다. 이런 부분은 프랑스, 독일 같은 국가에서 단거리용 U반/지하철, 중거리용 S반/RER과 중장거리용 RE/TER 같은 체계가 정립되어 거리별/속도별 여객을 나누고 있는 부분이라든지, 일본의 도카이도 선, 우츠노미야 선과 같은 중거리 전철이 사실상의 급행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것과 같은 부분을 지적하고 있는 것이다.


=== 승강장 문제 ===
=== 승강장 문제 ===
94번째 줄: 94번째 줄:
=== 접근성 저하 문제 ===
=== 접근성 저하 문제 ===
새로 짓거나 이설하는 철도역이 시내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지어지는 등 시내와의 접근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다. 서울도 예외가 아닌 게 [[수도권 전철 경춘선]]에 서울 중심지와 떨어진 위치인 [[상봉역]]에 종착하는 열차가 많고 [[중부내륙선]], [[서해선]] KTX의 서울 시내 집입도 늦어지고 있다. 거꾸로 [[혁신도시]] 같은 계획도시를 기존 철도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짓는 경우도 많다. 이는 자가용을 타는 사람이 철도를 이용하게 하는 [[모달 시프트]]를 하는 데 걸림돌이 된다.
새로 짓거나 이설하는 철도역이 시내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지어지는 등 시내와의 접근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다. 서울도 예외가 아닌 게 [[수도권 전철 경춘선]]에 서울 중심지와 떨어진 위치인 [[상봉역]]에 종착하는 열차가 많고 [[중부내륙선]], [[서해선]] KTX의 서울 시내 집입도 늦어지고 있다. 거꾸로 [[혁신도시]] 같은 계획도시를 기존 철도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짓는 경우도 많다. 이는 자가용을 타는 사람이 철도를 이용하게 하는 [[모달 시프트]]를 하는 데 걸림돌이 된다.
=== 부실한 철도 문화 ===
철도 유산의 보존, 철도박물관 시설이 미흡한 편이다. 의왕에 있는 철도박물관은 일본에 있는 철도박물관과 비교하기에 민망할 정도로 차량의 보존 상태가 좋지 않은데다가 재도색을 해도 잘못 도색된 경우가 있었다. 서울 지하철을 대표했던 [[서울교통공사 쵸퍼제어 전동차/GEC|서울교통공사의 광폭형 초퍼제어 전동차]]의 보존 계획이 없는 것만 봐도 철도 차량을 보존하는 것에 소홀해지고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립철도박물관을 새로 짓는 계획이 있는데 유치하겠다는 지자체가 생겨나도 진전이 없는 상태다.
대한민국의 철도 차량을 철도모형으로 만든 것도 양산된 게 별로 없는 상태다.
=== 민자 사업, [[주식회사 SR]] 설립의 문제점 ===
주식회사 SR, 민자 철도 운영사가 퇴직을 한 [[국토교통부]] 관료, 공기업 직원들의 재취업 통로로 전락했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그리고 [[KTX]]와의 경쟁체제 형성을 위해 설립된 SR은 돈이 되는 고속철도인 [[SRT]]만 운영하기 때문에 KTX 이외의 다른 적자 노선도 같이 운영하는 [[코레일]]하고 공정한 경쟁체제가 형성되지 않았고 경쟁으로 인한 철도 서비스의 질적 향상은 커녕 적자 노선 서비스의 질적 하락을 불러왔다는 비판도 있다.<ref>[https://www.khan.co.kr/national/national-general/article/202206232134005 선거 때마다 “철도 확충” 끝나면 ‘민자 동원’…값비싼 운임에도 국가 재정 추가 투입 ‘폐해’] - [[경향신문]]</ref> 분할 민영화로 인해 교차 보조가 막히면서 적자 노선이 폐선되고 있는 일본처럼 되어갈 수도 있다는 것이다.
=== 노선 선정 문제 ===
지역 이기주의 때문에 소요 시간이 늘어나는 노선이 선정되는 경우가 있다. [[호남고속선]]의 [[오송역]] 분기는 한국 철도 사상 최악의 노선 선정으로 꼽히고 있고 거기에다가 같은 노선의 [[무안공항역]] 경유도 논란이 되고 있다. 그리고 많은 철도 관련 커뮤니티에서 필수로 등장하는 밈이 되었다.
환승 횟수가 늘어나게 짓는 경우도 있다. [[서울 지하철 2호선]]의 [[서울고속버스터미널]]과 [[서울역]] 미경유, [[서울 지하철 5호선]]의 영등포역 미경유, [[신림선]]이 5호선과 환승되지 못하고 [[샛강역]]에서 끊기는 게 대표적인 사례다. 다행히도 [[대전 도시철도 2호선]]은 [[KTX]], [[SRT]], [[ITX-새마을]], [[무궁화호]], [[충청권 광역철도]] 옥천 지선하고 바로 환승이 되게 [[대전역]]을 경유하는 걸로 노선 계획을 바꿨다.
=== 최저가입찰제 ===
우리나라의 공공기관들은 국가계약법에 따라 기술 평가를 통과한 업체 중에서 가장 낮은 가격을 제안한 업체를 뽑고 있다. 하지만 기술 평가의 변별력이 낮다 보니까 싼 게 비지떡인 차량를 들여오게 되는 문제가 생기고 있다. 또한 열차를 제 때 만들지 못하는 업체가 뽑혀서 차량 도입이 늦어지기도 한다.
2023년에 [[서울교통공사]]가 기술 평가 기준을 높여 이를 해결하려고 했으나 {{ㅊ|입찰에서 떨어질까봐 쫄렸는지}} 일부 업체의 반발로 인해 이뤄지지 못했다. [https://www.donga.com/news/Economy/article/all/20231202/122449509/1 #]


== 관련 문서 ==
== 관련 문서 ==
{{참고|분류:대한민국의 철도}}
{{참조|분류:대한민국의 철도}}


{{각주}}
{{각주}}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