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위키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50번째 줄: 50번째 줄:
서버가 한국이 아닌 파라과이에 있다는 특징이 있다.<ref >그럴수밖에 없는데 애초에 umanle S.R.L.이 파라과이 법인이다.</ref>한때 [[엔하위키]](리그베다 위키가 예전에 쓰던 이름)에서도 서버를 외국에 놓아 법적인 분쟁 여지를 줄여보려는 시도를 한 적이 있었으나 좌절된 적이 있었으나 나무위키는 개설 초창기부터 서버를 외국에 개설했다. 실제로 [[엔하위키]], 나아가 리그베다 위키가 지금의 나무위키처럼 외국에 서버가 있었다면 서버 압수수색 시도나 성인물 규제 등 대한민국의 법률의 영향을 강하게 받지 않고, 리그베다 위키의 서술 분위기도 초창기 나무위키처럼 더 자유방임적인 분위기가 되었을 것이라고 추측하는 견해도 있다. 일부 사람들은 사실적시 명예훼손과 같은 대한민국 법률에 저촉될 가능성이 존재하는 문서들(예: [[인터넷]] 상의 각종 사건사고, [[정치인]], 성적 컨텐츠 등)을 작성할 수 없었던 것과는 달리 나무위키에서는 자유롭게 작성 가능한 이유를 이 해외 서버가 있다는 점을 근거로 하기도 한다. 다만 명예 훼손은 대한민국 법률의 전반적 특징인 '''속인주의'''에 의거해 법률이 적용되는지라 namu랑 달리 굳이 신원을 숨기지 않았던 인물인 함장/청동이 사이트 운영을 전적으로 책임지는 구조인 리그베다 위키에서는 해외로 서버를 이전한다고 작성금지 제도가 없지는 않았을 거라는 견해가 더 설득력이 있다.   
서버가 한국이 아닌 파라과이에 있다는 특징이 있다.<ref >그럴수밖에 없는데 애초에 umanle S.R.L.이 파라과이 법인이다.</ref>한때 [[엔하위키]](리그베다 위키가 예전에 쓰던 이름)에서도 서버를 외국에 놓아 법적인 분쟁 여지를 줄여보려는 시도를 한 적이 있었으나 좌절된 적이 있었으나 나무위키는 개설 초창기부터 서버를 외국에 개설했다. 실제로 [[엔하위키]], 나아가 리그베다 위키가 지금의 나무위키처럼 외국에 서버가 있었다면 서버 압수수색 시도나 성인물 규제 등 대한민국의 법률의 영향을 강하게 받지 않고, 리그베다 위키의 서술 분위기도 초창기 나무위키처럼 더 자유방임적인 분위기가 되었을 것이라고 추측하는 견해도 있다. 일부 사람들은 사실적시 명예훼손과 같은 대한민국 법률에 저촉될 가능성이 존재하는 문서들(예: [[인터넷]] 상의 각종 사건사고, [[정치인]], 성적 컨텐츠 등)을 작성할 수 없었던 것과는 달리 나무위키에서는 자유롭게 작성 가능한 이유를 이 해외 서버가 있다는 점을 근거로 하기도 한다. 다만 명예 훼손은 대한민국 법률의 전반적 특징인 '''속인주의'''에 의거해 법률이 적용되는지라 namu랑 달리 굳이 신원을 숨기지 않았던 인물인 함장/청동이 사이트 운영을 전적으로 책임지는 구조인 리그베다 위키에서는 해외로 서버를 이전한다고 작성금지 제도가 없지는 않았을 거라는 견해가 더 설득력이 있다.   


이렇듯 해외서버를 사용하는 나무위키가 국내법의 영향을 비교적 덜 받는 것은 사실이지만 [[속인주의]]와 [[보호주의]] 때문에 대다수 위법적 서술들은 민형사상 제재를 가하려면 얼마든지 가할 수 있다. 리그베다 위키에서 관리자가 공개한 바를 봐도 그렇지만, 예상과 달리 고소를 열성적으로 해 오는 사람 자체가 없어서 큰 문제가 없었던 것이지 마음먹고 하려면 얼마든지 가능하다. 다만 법적으로 파라과이에 국적을 둔 특성상 서버 압수 수색 등의 절차가 어렵기에 사실상 수사가 어려울 뿐이다. 이러한 특징을 악용해서 유저들이 자신들의 자유로운 서술을 쓰기 위해 법적으로나 도의적으로 문제가 되는 것을 신경쓰지 않고 올리기도 한다. '섹스'라는 단어조차 어느날 갑자기 관리자가 별 설명도 없이 맘대로 차단해버렸던 리그베다 위키의 성적 콘텐츠 규제는 문제가 있었지만, [[나무위키]]에서는 특성상 관련 내용의 수위가 다소 높은 선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기타 비하성 내용에 있어서도 관리되지 않는 범위가 넓은 편이었다. 다만 [[나무위키비즈코리아]]라는 대한민국 내의 자회사를 설립한 2020년 이후부터는 리그베다 위키 시절만큼은 아니더라도 작성 제한 및 임시조치를 운영자 선거제도를 폐지하기 이전 시절에 비해선 적극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이렇듯 해외 서버를 사용하는 나무위키가 국내법의 영향을 비교적 덜 받는 것은 사실이지만 [[속인주의]]와 [[보호주의]] 때문에 대다수 위법적 서술들은 민형사상 제재를 가하려면 얼마든지 가할 수 있다. 리그베다 위키에서 관리자가 공개한 바를 봐도 그렇지만, 예상과 달리 고소를 열성적으로 해 오는 사람 자체가 없어서 큰 문제가 없었던 것이지 마음 먹고 하려면 얼마든지 가능하다. 다만 법적으로 파라과이에 국적을 둔 특성상 서버 압수 수색 등의 절차가 어렵기에 사실상 수사가 어려울 뿐이다. 이러한 특징을 악용해서 유저들이 자신들의 자유로운 서술을 쓰기 위해 법적으로나 도의적으로 문제가 되는 것을 신경쓰지 않고 올리기도 한다. '섹스'라는 단어조차 어느날 갑자기 관리자가 별 설명도 없이 맘대로 차단해버렸던 리그베다 위키의 성적 콘텐츠 규제는 문제가 있었지만, [[나무위키]]에서는 특성상 관련 내용의 수위가 다소 높은 선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기타 비하성 내용에 있어서도 관리되지 않는 범위가 넓은 편이었다. 다만 [[나무위키비즈코리아]]라는 대한민국 내의 자회사를 설립한 2020년 이후부터는 리그베다 위키 시절만큼은 아니더라도 작성 제한 및 임시조치를 운영자 선거제도를 폐지하기 이전 시절에 비해선 적극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나무위키는 정식 개장 후 얼마 안 돼서 아예 '''작성금지 제도를 폐지'''해버렸다. 그러나 이후 동결처리의 하위개념으로 부활했다. 이는 작성 가능한 범위를 넓혀 [[리그베다 위키]] 카피를 넘어서 상위호환이 될 가능성마저 열어 놓았지만 반면 하위호환이 될 수 있는 위험성 역시 존재하게 된다. '찌질이'라는 명목 하에 온갖 자기 마음에 안드는 사람들 혹은 집단을 실어놓을 수도 있는 것이다. 게다가 성인물까지 제한이 풀렸기 때문에 [[warning.or.kr]]에 걸릴 위험도 상당히 큰데, 나무위키에는 TLS/SSL을 적용중이므로 현재 상황에서는 차단이 불가능한 상황이긴 하지만 [[warning.or.kr]] 차단 방식이 변경될 수도 있고, 무엇보다 패킷 검열을 통한 자동차단 이전에 불만을 가진 누군가가 신고를 해 버려서 위키 전체의 접속이 불가능해질 위험도 있다. 실제로 신고를 해서 차단된 사이트가 꽤 된다. 보통 웬만한 사건에 그정도 노력을 안 투자할 뿐이지 사실 마음먹고 수사에 나서기만 하면 사이버수사대 및 관련 수사기관이 가진 능력은 생각 이상으로 뛰어난 편이다.
나무위키는 정식 개장 후 얼마 안 돼서 아예 '''작성 금지 제도를 폐지'''해버렸다. 그러나 이후 동결 처리의 하위 개념으로 부활했다. 이는 작성 가능한 범위를 넓혀 [[리그베다 위키]] 카피를 넘어서 상위 호환이 될 가능성마저 열어 놓았지만 반면 하위 호환이 될 수 있는 위험성 역시 존재하게 된다. '찌질이'라는 명목 하에 온갖 자기 마음에 안드는 사람들 혹은 집단을 실어놓을 수도 있는 것이다. 게다가 성인물까지 제한이 풀렸기 때문에 [[warning.or.kr]]에 걸릴 위험도 상당히 큰데, 나무위키에는 TLS/SSL을 적용중이므로 현재 상황에서는 차단이 불가능한 상황이긴 하지만 [[warning.or.kr]] 차단 방식이 변경될 수도 있고, 무엇보다 패킷 검열을 통한 자동차단 이전에 불만을 가진 누군가가 신고를 해 버려서 위키 전체의 접속이 불가능해질 위험도 있다. 실제로 신고를 해서 차단된 사이트가 꽤 된다. 보통 웬만한 사건에 그정도 노력을 안 투자할 뿐이지 사실 마음먹고 수사에 나서기만 하면 사이버수사대 및 관련 수사기관이 가진 능력은 생각 이상으로 뛰어난 편이다.


만우절마다 위키 디자인에 변경을 가하는 만우절 이벤트를 한다. 2016년 4월 1일에는 하루 동안 위키의 HUD 스킨을 구 리그베다 위키의 그것과 동일한 스타일로 [[러브라이브|μ's]]로고와 같이 삽입한 상태로 변경하였다. 관리자 namu가 [[러브라이브! School idol project|러브라이브]] 덕후이기에  μ's 로고를 나무위키에 붙였던 것. 2017년에는 나무위키의 스킨과 편집장 포맷을 리브레 위키와 유사하게 변경했다. 같은 시기에 리브레 위키도 사이트 로고와 타이틀을 나무위키로 바꾸었다. 2018년에는 링크가 걸린 텍스트를 클릭할 경우 [[시공의 폭풍]] 속으로 빨려들어가는 효과를 삽입하였다. 2019년에는 나무위키의 대문을 나무위키의 멸칭 중 하나인 "꺼무위키"로 바꾸었다. 2020년에는 COVID-19 감염 확산에 의한 어수선한 분위기 때문에 만우절 이벤트를 시행하지 않았으나 이듬해인 2021년에는 위키 문서를 읽을 때 낮은 확률로 화면이 망가지는 이펙트를 집어넣었다.
만우절마다 위키 디자인에 변경을 가하는 만우절 이벤트를 한다. 2016년 4월 1일에는 하루 동안 위키의 HUD 스킨을 구 리그베다 위키의 그것과 동일한 스타일로 [[러브라이브|μ's]]로고와 같이 삽입한 상태로 변경하였다. 관리자 namu가 [[러브라이브! School idol project|러브라이브]] 덕후이기에  μ's 로고를 나무위키에 붙였던 것. 2017년에는 나무위키의 스킨과 편집장 포맷을 리브레 위키와 유사하게 변경했다. 같은 시기에 리브레 위키도 사이트 로고와 타이틀을 나무위키로 바꾸었다. 2018년에는 링크가 걸린 텍스트를 클릭할 경우 [[시공의 폭풍]] 속으로 빨려들어가는 효과를 삽입하였다. 2019년에는 나무위키의 대문을 나무위키의 멸칭 중 하나인 "꺼무위키"로 바꾸었다. 2020년에는 COVID-19 감염 확산에 의한 어수선한 분위기 때문에 만우절 이벤트를 시행하지 않았으나 이듬해인 2021년에는 위키 문서를 읽을 때 낮은 확률로 화면이 망가지는 이펙트를 집어넣었다.
69번째 줄: 69번째 줄:
그후로 여러 가지 변천사를 겪으며 크고 작은 변화를 겪어오던 민선 체제는 2017년 9월 22일 폐지되었다. 사건의 발단은 나무위키의 신참 관리자였던 n모 유저의 권한 남용 및 반달 행위. 해당 사건이 마무리 된 후, 별 다른 통지 없이 민선 운영자들의 권한이 전부 회수되며 umanle 측의 관선 관리자가 공지글을 올렸다. 그 내용은 곧 '''운영자 선거제도의 폐지'''. 글의 내용을 요약하자면, "선거 제도는 외부 조작에 취약하며 이를 막을 방법이 없으므로 폐지한다."
그후로 여러 가지 변천사를 겪으며 크고 작은 변화를 겪어오던 민선 체제는 2017년 9월 22일 폐지되었다. 사건의 발단은 나무위키의 신참 관리자였던 n모 유저의 권한 남용 및 반달 행위. 해당 사건이 마무리 된 후, 별 다른 통지 없이 민선 운영자들의 권한이 전부 회수되며 umanle 측의 관선 관리자가 공지글을 올렸다. 그 내용은 곧 '''운영자 선거제도의 폐지'''. 글의 내용을 요약하자면, "선거 제도는 외부 조작에 취약하며 이를 막을 방법이 없으므로 폐지한다."


문제는 나무위키 소유권 이전 사태 당시 umanle 가 이용자들에게 한 공약은:
문제는 나무위키 소유권 이전 사태 당시 umanle가 이용자들에게 한 공약은:
{{인용문|토론 중재와 같은 사용자들간의 교류가 필요한 부분은 민선 운영자들에게 맡기고 반달 처리와 같은 업무적인 작업은 저희 직원이 처리하겠습니다. 여러분의 [[여러분 이거 다 거짓말인 거 아시죠|자유로운 기여 활동을 방해할 생각은 없음]]을 알아주시기 바랍니다. 저희는 나무위키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 지원할 것을 약속드립니다. [[나무위키/문제점/운영사의 독재|'''나무위키의 현 시스템은 계속 유지될 것이며,''' 정말 특별한 상황이 발생하지 않는 한 저희들은 나무위키 운영에 개입하지 않을 것입니다.]]|umanle|안내 및 답변 스레드|centre}}
{{인용문|토론 중재와 같은 사용자들간의 교류가 필요한 부분은 민선 운영자들에게 맡기고 반달 처리와 같은 업무적인 작업은 저희 직원이 처리하겠습니다. 여러분의 [[여러분 이거 다 거짓말인 거 아시죠|자유로운 기여 활동을 방해할 생각은 없음]]을 알아주시기 바랍니다. 저희는 나무위키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 지원할 것을 약속드립니다. [[나무위키/문제점/운영사의 독재|'''나무위키의 현 시스템은 계속 유지될 것이며,''' 정말 특별한 상황이 발생하지 않는 한 저희들은 나무위키 운영에 개입하지 않을 것입니다.]]|umanle|안내 및 답변 스레드|centre}}
였으며, 민선체제를 유지할 수 없는 '''정말 특별한 상황'''에 해당한 것이라면 사전통지, 혹은 이용자들과의 논의 정도는 이루어졌어야 하는게 아니냐는 의견이 있다.
였으며, 민선체제를 유지할 수 없는 '''정말 특별한 상황'''에 해당한 것이라면 사전통지, 혹은 이용자들과의 논의 정도는 이루어졌어야 하는게 아니냐는 의견이 있다.


여하튼, 운영자 선거에 기반한 운영체제는 폐지되었고 운영체제는 개편되어 우선 호민관이 없어졌고<ref>선거제 폐지 이후에는 과거 호민관의 역할인 운영자 탄핵 및 차단 이의조정은 사실상 운영사측 관리자가 가지고 있다. 애초에 위키의 민주적인 운영을 전제로 해야 존재할 수 있는 직책인 만큼 운영사측 직영 체제에서는 존재 근거가 없어졌다.</ref>, 그 후 중재자가 없어져 관리자만 남게 되었다. 그 대신 관리자가 과거 호민관, 중재자의 업무를 겸하게 되었다. 선거체제는 폐지되었으므로 당연히 더 이상 투표 같은 것은 시행되지 않으며 사측 관리자가 열어놓은 운영진 지원 스레드에 일반 이용자들이 지원을 하면 주기적으로 사측에서 선발을 하는 방식으로 변경 되었다. 그 기준은 불명이며, 과거 탄핵되었던 운영진이 선발되거나 과거 별 탈 없이 운영 임기를 마친 운영진이 선발 되지 않거나 하는 식으로 기준이 매우 미심쩍으며 사측의 입맛에 맞고 고분고분한 이용자들 위주로 뽑는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여하튼, 운영자 선거에 기반한 운영체제는 폐지되었고 운영체제는 개편되어 우선 호민관이 없어졌고<ref>선거제 폐지 이후에는 과거 호민관의 역할인 운영자 탄핵 및 차단 이의조정은 사실상 운영사측 관리자가 가지고 있다. 애초에 위키의 민주적인 운영을 전제로 해야 존재할 수 있는 직책인 만큼 운영사측 직영 체제에서는 존재 근거가 없어졌다.</ref>, 그 후 중재자가 없어져 관리자만 남게 되었다. 그 대신 관리자가 과거 호민관, 중재자의 업무를 겸하게 되었다. 선거체제는 폐지되었으므로 당연히 더 이상 투표 같은 것은 시행되지 않으며 사측 관리자가 열어놓은 운영진 지원 스레드에 일반 이용자들이 지원을 하면 주기적으로 사측에서 선발을 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그 기준은 불명이며, 과거 탄핵되었던 운영진이 선발되거나 과거 별 탈 없이 운영 임기를 마친 운영진이 선발 되지 않거나 하는 식으로 기준이 매우 미심쩍으며 사측의 입맛에 맞고 고분고분한 이용자들 위주로 뽑는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2018년 9월 15일, umanle사에서 [https://board.namu.wiki/notice/1175705 광고 부착]을 시작했다. 이후 광고 수익 내역 공개 요청을 제안하는 문의글이 수십 개가 올라왔지만, 투명하게 공개할 계획이 없다며 모두 묵살했다. 게다가 영리 여부를 반복해서 묻는 등 사측에 거슬리는 내용을 문의하는 사용자의 경우 운영 방해로 차단하기도 했다. 그러나, 결국 2019년 4월 15일에 [https://saedu.naver.com/notice/view.nhn?notiSeq=3488&catg=&fixYn=N&searchOpt=all&keyword= 네이버 파워 링크 제휴] 소식이 나왔고, 영리 운영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2018년 9월 15일, umanle사에서 [https://board.namu.wiki/notice/1175705 광고 부착]을 시작했다. 이후 광고 수익 내역 공개 요청을 제안하는 문의글이 수십 개가 올라왔지만, 투명하게 공개할 계획이 없다며 모두 묵살했다. 게다가 영리 여부를 반복해서 묻는 등 사측에 거슬리는 내용을 문의하는 사용자의 경우 운영 방해로 차단하기도 했다. 그러나, 결국 2019년 4월 15일에 [https://saedu.naver.com/notice/view.nhn?notiSeq=3488&catg=&fixYn=N&searchOpt=all&keyword= 네이버 파워 링크 제휴] 소식이 나왔고, 영리 운영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