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일성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인물 정보
{{지도자 정보
|인물이름 = 김일성
|이름        = 김일성
|원어이름 =
|원래 이름   = 金日成
|배경색   =  
|명칭        = 주석
|글자색  =  
|그림       = Kim_Il_Sung_Portrait-2.jpg
|그림     = [[파일:Kim Il Sung Portrait-2.jpg|150px]]
|크기        =
|그림설명 =  
|설명        = 초상화
|본명    =  
|국가        = 북한
|다른이름 =  
|대수        = 1
|출생일   = {{출생일|1912|4|15}}
|취임일      = {{날짜/출력|1948-9-9}}
|출생지   = [[일제강점기|조선]] [[평안남도]] 평양부
|퇴임일      = {{날짜/출력|1994-7-8}}
|사망일   = {{사망일과 나이|1994|7|8|1912|4|15}}
|부지도자      =
|사망지   = [[북한]] [[평안북도]] 묘향산 별장
|부지도자명칭  =
|국적    = {{나라|북한}}
|2부지도자      =
|학력     =  
|2부지도자명칭  =
|직업    =  
|3부지도자      =
|종교    =  
|3부지도자명칭  =
|정당    =  
|4부지도자      =
|신체    =  
|4부지도자명칭  =
|배우자  = [[김정숙]]
|후임        = 김정일
|가족    = [[김형직]] (부)<br />[[강반석]] (모)<br />[[김정일]] (아들)
|후임대수    = 2
|활동기간 =
|국적        = {{국기|북한}}
|소속사  =  
|출생일     = {{날짜/출력|1912-4-15}}
|웹사이트 =  
|출생지     = {{국기|일본 제국}} [[조선]] [[평안남도]] 평양부
|비고     =  
|사망일     = {{날짜/출력|1994-7-8}}
|하위 틀  =  
|사망지     = {{국기|북한}} [[평안북도]] 묘향산 별장
{{인물 정보/국가원수
|거주지      =  
|국가원수  = [[북한]]의 제1대 주석
|정당        =
|시호      =
|학력       =  
|임기      = 1948년 9월 9일 ~ 1994년 7월 8일
|종교        =  
|부원수    =
|언어        =  
|부원수목록 =
|배우자      = [[김정숙]]
|전임      =
|배우자명칭 = 아내
|후임      = [[김정일]] <small>(제2대)</small>
|자녀        = [[김정일]]
}}
|자녀명칭 = 아들
|부모        = [[김형직]] (부)<br>[[강반석]] (모)
|부모명칭 = 부모
|친척      =
|호칭1     =
|호칭1명칭 =  
|서명        =  
|웹사이트    =  
}}
}}
 
'''김일성'''(金日成)은 [[북한]]의 초대 [[독재자]]이며 본명은 '''김성주'''(金成柱)였다. 본관은 전주 김씨이다.  한때는 항일운동도 했었다. 그에 대한 진위논란과 김일성 사칭 혹은 김일성 가짜론까지 있었지만, 본인이라는 자체는 사실이라는 듯. 다만 그 성과 자체는 북한 특유의 우상화 작업을 통해 상당히 부풀려져 있다는 듯하다. 그리고 항일운동을 한 것은 좋으나 광복 후 그의 행적은 이하생략.  
'''김일성'''(金日成)은 [[북한]]의 초대 [[독재자]]이며 본명은 '''김성주'''(金成柱)였다. 본관은 전주 김씨이다.  일제 치하 시절에 잠시 항일운동도 했었다. 일본육군사관학교 훌신인 광서 김경천 장군이 항일무장투쟁 당시에 김일성이라는 가명을 처음 사용해 만주 일대의 일본군들에게 공포의 대상이 되자, 만주에서 항일 투쟁하던 부대들이 "김일성'이라는 가명을 이용해 항일 독립투쟁을 하기도 했다. 당시에 김성주도 김일성이라는 가명을 사용했던 같다. 다만 그 성과 자체는 북한 특유의 우상화 작업을 통해 상당히 부풀려져 있다는 듯하다. 그리고 항일운동을 한 것은 좋으나 광복 후 그의 행적은 이하생략.


북한에서 이 '존함'을 표기하는 데 사용하는 PUA 코드 포인트는 U+F113, U+F114, U+F115()이다.
북한에서 이 '존함'을 표기하는 데 사용하는 PUA 코드 포인트는 U+F113, U+F114, U+F115()이다.


== 성향 ==
== 성향 ==
시작은 공산주의였지만 스탈린 같은 좌파 파시즘 보단 히틀러나 일제 식의 우파 파시즘 성향에 비교를 더 많이 당한다. 박태균 교수가 쓴 "한국전쟁"에 따르면 이승만과 박헌영이 순수한 민족주의보단 각각 우파와 좌파 성향이 강했다면, 김일성은 압도적으로 민족주의적 성향을 보였다고 한다. 사실 김일성은 공산주의 이론은 문자 그대로 쥐뿔만큼도 몰랐다. 그러니까 마르크스주의와는 기본 전제부터가 180도 다른, '''극단적인 관념론에 입각한 [[주체사상|사이비 종교]]'''를 만들고 스스로 신 노릇을 하는 사이비 교주가 된 것이다!
시작은 공산주의였지만 스탈린 같은 좌파 파시즘 보단 히틀러나 일제 식의 우파 파시즘 성향에 비교를 더 많이 당한다. 박태균 교수가 쓴 "한국전쟁"에 따르면 이승만과 박헌영이 순수한 민족주의보단 각각 우파와 좌파 성향이 강했다면, 김일성은 압도적으로 민족주의적 성향을 보였다고 한다. 사실 김일성은 공산주의 이론은 문자 그대로 쥐뿔만큼도 몰랐다. 그러니까 마르크스주의와는 기본 전제부터가 180도 다른, '''극단적인 관념론에 입각한 사이비 종교'''를 만들고 스스로 신 노릇을 하는 사이비 교주가 된 것이다!


그 절대적 권력과 아들/손자에게 권력을 물려준 점에 빗대어 왕으로 비교당하기도 하는데 사실 조선 왕들은 김일성 같은 절대권력을 가진 적이 없다. 성리학이라는 이념과 조선 특유의 행정 제도는 신하들과의 권력 분점을 통한 균형을 이루는 것에 집중하고 있기 때문. 절대 권력을 누린 것은 연산군 정도가 있다고 할 수 있는데, 연산군은 몇 년도 안 돼서 쫓겨났다. 반대로 김일성은 [[지옥]]에 떨어질 때까지 잘 먹고 잘 살았다.
그 절대적 권력과 아들/손자에게 권력을 물려준 점에 빗대어 왕으로 비교당하기도 하는데 사실 조선 왕들은 김일성 같은 절대권력을 가진 적이 없다. 성리학이라는 이념과 조선 특유의 행정 제도는 신하들과의 권력 분점을 통한 균형을 이루는 것에 집중하고 있기 때문. 절대 권력을 누린 것은 연산군 정도가 있다고 할 수 있는데, 연산군은 몇 년도 안 돼서 쫓겨났다. 반대로 김일성은 [[지옥]]에 떨어질 때까지 잘 먹고 잘 살았다.


=== 전쟁관 ===
=== 전쟁관 ===
김일성은 독립군을 지휘한 경험이 있으나 오직 비정규전뿐이었고 전면전을 지휘한 경험이 아예 없는 인물이었는데 전면전에 대한 생각이 너무나 어리석었다.
김일성은 독립군을 지휘한 경험이 있으나 오직 비정규전뿐이었고 전면전에선 지휘경험이 아예 없는 인물이었는데 전면전에 대한 생각이 너무나 어리석은 인간이었다.


다음은 정병준 목포대 교수의 설명이다.
다음은 정병준 박사의 설명이다.


{{인용문|김일성은 중국 해방이 완성되면 다음 순서는 남한의 해방이라고 강조하면서, '''자신은 밤잠을 못 이루며 통일 문제 해결에 골몰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김일성은 스탈린이 얘기한대로, '''[[이뭐병|이승만이 북침을 하지 않아 남한 해방과 통일이 지연되고 있다]]'''고 했다. 그러므로 남한 해방을 위해 인민군이 공격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에 대한 "지령"을 받기 위해 다시 한번 스탈린을 방문하고 싶다고 발언했다.|정병준|한국전쟁 (38선 충돌과 전쟁의 형성), 돌베개, 2006, 480쪽}}
{{인용문|김일성은 중국 해방이 완성되면 다음 순서는 남한의 해방이라고 강조하면서, '''자신은 밤잠을 못 이루며 통일 문제 해결에 골몰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김일성은 스탈린이 얘기한대로, '''이승만이 북침을 하지 않아 남한 해방과 통일이 지연되고 있다'''고 했다. 그러므로 남한 해방을 위해 인민군이 공격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에 대한 "지령"을 받기 위해 다시 한번 스탈린을 방문하고 싶다고 발언했다.|정병준|한국전쟁 (38선 충돌과 전쟁의 형성), 돌베개, 2006, 480쪽}}


"이승만이 북침을 해야 남한해방과 통일이 가능한데 그러질 않아서 밤잠을 못 이룬다"는 헛소리도 할 정도였다.
"이승만이 북침을 해야 남한해방과 통일이 가능한데 그러질 않아서 밤잠을 못 이룬다"는 [[중2병]]급 개소리를 하였다.


== 생애 ==
== 생애 ==
58번째 줄: 64번째 줄:


=== 일제 강점기 ===
=== 일제 강점기 ===
우선 알려지기로는 조상은 전주 김씨 12대조 김계상이 평안남도 평양부 고순화면(古順和面) 남동 칠곡으로 이주하여 터를 잡은 것이 시초이며 아버지 김형직과 어머니 강반석의 사이에서 [[1912년]] [[4월 15일]] 태어났다. 아버지 김형직은 항일 독립운동가였으며, 어머니 강반석은 아버지 강돈욱 장로교 목사의 영향으로 장로교 신자였는데 이런 부모의 영향을 받아 김일성 또한 항일운동에 가담하였으며 훗날 그 악랄한 [[주체사상]]을 만드는데 자기가 배운 기독교의 교리를 비롯하여 자신의 재능을 써먹게 된다.
우선 알려지기로는 조상은 전주 김씨 12대조 김계상이 평안남도 평양부 고순화면(古順和面) 남동 칠곡으로 이주하여 터를 잡은 것이 시초이며 아버지 김형직과 어머니 강반석의 사이에서 {{날짜/출력|1912-4-15}} 태어났다. 아버지 김형직은 항일 독립운동가였으며, 어머니 강반석은 아버지 강돈욱 장로교 목사의 영향으로 장로교 신자였는데 이런 부모의 영향을 받아 김일성 또한 항일운동에 가담하였으며 훗날 그 악랄한 [[주체사상]]을 만드는데 자기가 배운 기독교의 교리를 비롯하여 자신의 재능을 써먹게 된다.


[[1937년]] 이른바 [[보천보 전투]]라고 불리는 사건으로 이름을 알렸다. 당시 김일성은 몇몇 뜻을 함께 한 동지들과 게릴라를 조직하여 [[함경도]] 외곽의 보천보 마을을 24시간동안 점거했다가 일제의 반격으로 물러난 바가 있는데, 비록 이러저러한 요소들로 실제로는 정말 별 것 없는 사건으로 취급되지만 나름대로 의의도 좀 있는 사건으로 하여튼 이름을 알린다. 내용인 즉슨 김일성이 170명을 이끌고 일본 주재소로 쳐들어가 5명과 싸운 전투로, 여기서 세운 군공이라는 게 겨우 2명을 사살한 것인데 한 명은 35살의 남자 요리사이며 다른 한 명이 웃기게도 '''2살의 여자 아기'''였다.
[[1937년]] 이른바 [[보천보 전투]]라고 불리는 사건으로 이름을 알렸다. 당시 김일성은 몇몇 뜻을 함께 한 동지들과 게릴라를 조직하여 [[함경도]] 외곽의 보천보 마을을 24시간동안 점거했다가 일제의 반격으로 물러난 바가 있는데, 비록 이러저러한 요소들로 실제로는 정말 별 것 없는 사건으로 취급되지만 나름대로 의의도 좀 있는 사건으로 하여튼 이름을 알린다.


하지만 이로 인해 일제에게 독립군 전체가 제대로 찍혀 대대적인 토벌전을 강행하자 결국 [[1940년]] 소련으로 망명하여 소련군에 입대, 특무공작요원 훈련을 받고 장교로 임관하여 소련군의 일원으로 일제에 맞서 싸운다. 과거에는 데리고 온 병력의 숫자대로 계급을 맞춰줘서 임관시키는 제도가 어느 나라 군대든 존재했었는데 김일성도 이에 따라 170명을 이끌고 입대해서 [[대위]] 계급을 받게 된다.
하지만 이로 인해 일제에게 독립군 전체가 제대로 찍혀 대대적인 토벌전을 강행하자 결국 [[1940년]] 소련으로 망명하여 소련군에 입대, 특무공작요원 훈련을 받고 장교로 임관하여 소련군의 일원으로 일제에 맞서 싸운다.


=== 해방 이후 ===
=== 해방 이후 ===
[[1945년]] [[8월 15일]] 일왕의 무조건 항복 선언 이후 해방된 한반도는, 일본으로부터의 해방이 자율적인 것이 아닌 소련과 미국에게 항복을 하여 일어난 것이란 점 때문에 '승전국'인 미국과 소련에 의해 관리를 받게 된 일본의 '부속도서(!)'로 같이 관리를 받게 된다. 일본 본토는 지리적 특성상 분단 없이 미국이 온전히 관리하게 되었지만, 한반도는 소련과도 가까운 땅이였기 때문에 북위 38도선을 기준으로 남쪽만 미국이 관리하고 북쪽은 소련이 관리하게 되었다.
{{날짜/출력|1945-8-15}} 일왕의 무조건 항복 선언 이후 해방된 한반도는, 일본으로부터의 해방이 자율적인 것이 아닌 소련과 미국에게 항복을 하여 일어난 것이란 점 때문에 '승전국'인 미국과 소련에 의해 관리를 받게 된 일본의 '부속도서(!)'로 같이 관리를 받게 된다. 일본 본토는 지리적 특성상 분단 없이 미국이 온전히 관리하게 되었지만, 한반도는 소련과도 가까운 땅이였기 때문에 북위 38도선을 기준으로 남쪽만 미국이 관리하고 북쪽은 소련이 관리하게 되었다.


이런 정국에서 김일성은 소련군 장교 자격으로 다시 한반도 땅으로 귀환한다. 여기서 여하튼 소련의 관리대상이 된 북위 38도선 이북땅의 관리를 위하여 김일성은 한반도에서 독립운동을 했던 좌익 인사계의 대표 [[박헌영]]과 회담을 갖기도 하였으나, 북녘만의 정부를 세우려는 김일성과 완전한 한반도 전체의 정부를 세우려는 박헌영의 뜻은 어긋났고 이에 박헌영과 결별하게 되었다. 하지만 박헌영이 어찌되었든 북녘땅의 관리는 소련이 담당하고 있었기에 소련의 비호 아래 김일성은 성공적으로 북녘땅만을 지배하는 임시 정부조직을 구성하였고 이것이 오늘날의 북한 정부가 된다.
이런 정국에서 김일성은 소련군 장교 자격으로 다시 한반도 땅으로 귀환한다. 여기서 여하튼 소련의 관리대상이 된 북위 38도선 이북땅의 관리를 위하여 김일성은 한반도에서 독립운동을 했던 좌익 인사계의 대표 [[박헌영]]과 회담을 갖기도 하였으나, 북녘만의 정부를 세우려는 김일성과 완전한 한반도 전체의 정부를 세우려는 박헌영의 뜻은 어긋났고 이에 박헌영과 결별하게 되었다. 하지만 박헌영이 어찌되었든 북녘땅의 관리는 소련이 담당하고 있었기에 소련의 비호 아래 김일성은 성공적으로 북녘땅만을 지배하는 임시 정부조직을 구성하였고 이것이 오늘날의 북한 정부가 된다.


이 때까지만 해도 독립운동가들은 분단된 정부를 만드는 것에 회의적이였고 반드시 남쪽과 북쪽이 하나의 완전한 한반도의 정부를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하지만 이미 실질적으로 2개의 강대국들에 의해 나뉘어 통치받고 있던 데다가 북쪽에서 김일성이 기반을 다져나가고 있는 동안 남쪽에서도 [[이승만]]이 미 군정에 협조하여 남쪽만의 정부를 만드는 작업에 들어가있어서 사정은 여의치 않았고 끝내 [[1948년]] [[8월 15일]]에는 남쪽에 이승만을 초대 대통령으로 선정한 [[대한민국]]이 건국되었고, 이에 질세라 같은 해 [[9월 9일]] 북쪽에는 김일성을 주석으로 선정한 [[북한]](자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권이 설립되어 이렇게 남과 북은 완벽히 두 갈래로 갈라지게 된다.
이 때까지만 해도 독립운동가들은 분단된 정부를 만드는 것에 회의적이였고 반드시 남쪽과 북쪽이 하나의 완전한 한반도의 정부를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하지만 이미 실질적으로 2개의 강대국들에 의해 나뉘어져 통치받고 있던 데다가 북쪽에서 김일성이 기반을 다져나가고 있는 동안 남쪽에서도 [[이승만]]이 미 군정에 협조하여 남쪽만의 정부를 만드는 작업에 들어가있어서 사정은 여의치 않았고 끝내 {{날짜/출력|1948-8-15}}에는 남쪽에 이승만을 초대 대통령으로 선정한 [[대한민국]]이 건국되었고, 이에 질세라 같은 해 [[9월 9일]] 북쪽에는 김일성을 주석으로 선정한 [[북한]](자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권이 설립되어 이렇게 남과 북은 완벽히 두 갈래로 갈라지게 된다.


=== 건국 이후 ===
=== 건국 이후 ===
건국 이후 김일성이 가장 먼저 관심을 둔 것은 다름 아닌 남침. 김일성은 기회가 될 때마다 [[이오시프 스탈린]]에게 남침을 해야 한다고 설득하였으며, 처음엔 이미 수차례 벌인 전쟁으로 전쟁에 신물이 난 스탈린의 반대로 계속 무산되었으나 김일성은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스탈린을 설득 시도하여 건국 직후인 48년도부터 50년도까지 2년 동안 자그마치 48번이나 면담을 가졌다.
건국 이후 김일성이 가장 먼저 관심을 둔 것은 다름 아닌 남침. 김일성은 기회가 될 때마다 [[이오시프 스탈린]]에게 남침을 해야 한다고 설득하였으며, 처음엔 이미 수차례 벌인 전쟁으로 전쟁에 신물이 난 스탈린의 반대로 계속 무산되었으나 김일성은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스탈린을 설득 시도하여 건국 직후인 48년도부터 50년도까지 2년 동안 자그마치 48번이나 면담을 가졌다.  


스탈린은 처음엔 김일성의 요구에 이런저런 이유를 들면서 안 된다고 하다가 종국에는 '남한이 먼저 침공해오면 거기에 반격하는 것 정도만 허락하겠다'는 태도로 한발짝 물러섰지만 일단 남한이 선제공격을 걸리가 없는 게 너무 뻔했기 때문에 김일성은 포기하지 않았고(...) 결국 김일성에게도 질릴대로 질린 스탈린은 [[1950년]] [[5월 29일]] 마지못해 김일성의 요청을 허락하고 만다.
스탈린은 처음엔 김일성의 요구에 이런저런 이유를 들면서 안 된다고 하다가 종국에는 '남한이 먼저 침공해오면 거기에 반격하는 것 정도만 허락하겠다'는 태도로 한발짝 물러섰지만 일단 남한이 선제공격을 걸리가 없는 게 너무 뻔했기 때문에 김일성은 포기하지 않았고(...) 결국 김일성에게도 질릴대로 질린 스탈린은 {{날짜/출력|1950-5-29}} 마지못해 김일성의 요청을 허락하고 만다.


{{참고|6.25 전쟁|설명=이후 상황은}}
{{참조|6.25 전쟁|설명=이후 상황은}}


=== 6.25 전쟁 이후 ===
=== 6.25 전쟁 이후 ===
93번째 줄: 99번째 줄:


=== 사후 ===
=== 사후 ===
그의 사후 김정일은 자신의 권력 이양의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김일성을 신격화할 필요성을 느꼈고 이에 아버지의 [[유언]]은 시원하게 씹은 뒤 그의 시신을 러시아에서 공수해온 전문가들을 통해 앰버밍 처리를 하였고, 동시에 주석궁을 개조하여 '금수산기념궁전'으로 만들어 김일성의 시신을 이 곳에 보존하고 있다. 이 장소는 후일 김정일이 죽으면서 김정일의 시신 또한 똑같이 앰버밍 처리되고 같은 장소에 모셔지면서 [[금수산태양궁전]]으로 불리게 되어 아들과 나란이 모셔지는 영광(?)을 누리게 된다.
그의 사후 김정일은 자신의 권력 이양의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김일성을 신격화할 필요성을 느꼈고 이에 아버지의 유언은 시원하게 씹은 뒤 그의 시신을 러시아에서 공수해온 전문가들을 통해 앰버밍 처리를 하였고, 동시에 주석궁을 개조하여 '금수산기념궁전'으로 만들어 김일성의 시신을 이 곳에 보존하고 있다. 이 장소는 후일 김정일이 죽으면서 김정일의 시신 또한 똑같이 앰버밍 처리되고 같은 장소에 모셔지면서 [[금수산태양궁전]]으로 불리게 되어 아들과 나란이 모셔지는 영광(?)을 누리게 된다.
 
=== 가족 ===
* 할아버지: 김보현
* 할머니: 리보익
:* 아버지: 김형직
:* 어머니: 강반석
::* '''김일성'''(김성주)
::* 배우자: 한성희
::* 배우자: 김정숙
:::* 아들: '''김정일'''
:::* 며느리: 홍일천
::::* 손녀: 김혜경
:::* 며느리: 성혜림
::::* 손자: 김정남
:::::* 증손자: 김한솔
:::* 며느리: 김영숙
::::* 손녀: 김설송
::::* 손녀: 김춘송
:::* 며느리: 고용희
::::* 손자: 김정철
::::* 손자: '''김정은'''
:::::* 증손녀: 김주애
::::* 손녀: 김여정
:::* 며느리: 김옥
:::* 아들: 김만일
:::* 딸 김경희
:::* 사위 장성택
::* 배우자: 홍영숙
::* 배우자: 김성애
:::* 딸: 김경진
:::* 사위: 김광섭
:::* 아들: 김평일
:::* 며느리: 김순금
::::* 손자: 김인강
::::* 손녀: 김은송
:::* 아들: 김영일
::* 배우자: 제갈씨
:::* 아들: 김현
::* 배우자: 김송죽
:::* 딸: 김백연
::* 동생: 김철주
::* 동생: 김영주
:* 숙부 김형권
:* 숙부 김형록


== 기타 ==
== 기타 ==
152번째 줄: 114번째 줄:
이 외에도 북한에서는 그의 얼굴이 담긴 물체를 절대 훼손시킬 수 없다. 예를 들어 [[로동신문]]에 그의 얼굴이 찍힌 그림이 있으면 그 그림이 접히지 않도록 보관해야 하며 이를 어길시에는 [[아오지 탄광|무시무시한 곳]]으로 간다고 한다. 이 때문에 종종 농담삼아 대 북한군 결전 병기라며 김일성 얼굴을 프린팅한 방어복이 언급되기도(...).
이 외에도 북한에서는 그의 얼굴이 담긴 물체를 절대 훼손시킬 수 없다. 예를 들어 [[로동신문]]에 그의 얼굴이 찍힌 그림이 있으면 그 그림이 접히지 않도록 보관해야 하며 이를 어길시에는 [[아오지 탄광|무시무시한 곳]]으로 간다고 한다. 이 때문에 종종 농담삼아 대 북한군 결전 병기라며 김일성 얼굴을 프린팅한 방어복이 언급되기도(...).


더불어 북한에서는 그의 이름을 표기할때 반드시 강조체로 적어주어야만 한다. [[강제개행|게다가 그의 이름은 반드시 그의 이름이 포함된 문장의 맨 앞에 와야만 한다.]] 위의 문장들 중 하나를 예시로 들어 설명해보겠다. <del>본의 아니게 셀프 인용</del>
더불어 북한에서는 그의 이름을 표기할때 반드시 강조체로 적어주어야만 한다. 게다가 그의 이름은 반드시 그의 이름이 포함된 문장의 맨 앞에 와야만 한다. 위의 문장들 중 하나를 예시로 들어 설명해보겠다. <del>본의 아니게 셀프 인용</del>


{{인용문|전후 김일성은 다시 북한으로 돌아왔으며, 자신의 파벌과 다른 파벌 소속 인물들에게 죄다 패전의 책임을 물어 숙청시켜버렸다. 첫 스타트는 박헌영의 처단이였는데 박헌영이 전쟁 직전 김일성에게 '남쪽을 침공하면 남쪽의 남로당원 20만명이 호응할 것'이라고 한 발언을 구실삼아 박헌영이 전쟁을 일으킨 것이라는 명분하게 숙청, 북측에 있던 인물들 중 김일성 다음가는 입지를 지녔던 박헌영이 이렇게 숙청되었으니 나머지는 물 흐르듯 아주 자연스럽게 숙청이 되었다.|}}
{{인용문|전후 김일성은 다시 북한으로 돌아왔으며, 자신의 파벌과 다른 파벌 소속 인물들에게 죄다 패전의 책임을 물어 숙청시켜버렸다. 첫 스타트는 박헌영의 처단이였는데 박헌영이 전쟁 직전 김일성에게 '남쪽을 침공하면 남쪽의 남로당원 20만명이 호응할 것'이라고 한 발언을 구실삼아 박헌영이 전쟁을 일으킨 것이라는 명분하게 숙청, 북측에 있던 인물들 중 김일성 다음가는 입지를 지녔던 박헌영이 이렇게 숙청되었으니 나머지는 물 흐르듯 아주 자연스럽게 숙청이 되었다.|}}
158번째 줄: 120번째 줄:
이 부분을 북한식으료 표현하면 다음처럼 된다.
이 부분을 북한식으료 표현하면 다음처럼 된다.


{{인용문|전후<br />
{{인용문|전후<br>
'''김일성'''은 다시 북한으로 돌아왔으며, 자신의 파벌과 다른 파벌 소속 인물들에게 죄다 패전의 책임을 물어 숙청시켜버렸다. 첫 스타트는 박헌영의 처단이였는데 박헌영이 전쟁 직전<br />
'''김일성'''은 다시 북한으로 돌아왔으며, 자신의 파벌과 다른 파벌 소속 인물들에게 죄다 패전의 책임을 물어 숙청시켜버렸다. 첫 스타트는 박헌영의 처단이였는데 박헌영이 전쟁 직전<br>
'''김일성'''에게 '남쪽을 침공하면 남쪽의 남로당원 20만명이 호응할 것'이라고 한 발언을 구실삼아 박헌영이 전쟁을 일으킨 것이라는 명분하게 숙청, 북측에 있던 인물들 중<br />
'''김일성'''에게 '남쪽을 침공하면 남쪽의 남로당원 20만명이 호응할 것'이라고 한 발언을 구실삼아 박헌영이 전쟁을 일으킨 것이라는 명분하게 숙청, 북측에 있던 인물들 중<br>
'''김일성''' 다음가는 입지를 지녔던 박헌영이 이렇게 숙청되었으니 나머지는 물 흐르듯 아주 자연스럽게 숙청이 되었다.|}}
'''김일성''' 다음가는 입지를 지녔던 박헌영이 이렇게 숙청되었으니 나머지는 물 흐르듯 아주 자연스럽게 숙청이 되었다.|}}


...이런 식으로 정리가 된다. 참고로 이 규칙은 김정일에게도 적용된다.
...이런 식으로 정리가 된다. 참고로 이 규칙은 김정일에게도 적용된다.


북한에서 사용하는 전용 한글 폰트는 이 규칙에 입각하여 만약 김일성, 김정일이 입력되면 자동으로 강조체가 되는 구조로 만들어져 있다. 그리고 이것을 (뻔뻔하게도) [[유니코드]]에 등재시키려고 시도도 했지만 당연히 무산되었다고.
북한에서 사용하는 전용 한글 폰트는 이 규칙에 입각하여 만약 김일성, 김정일이 입력되면 자동으로 강조체가 되는 구조로 만들어져 있다. 그리고 이것을 (뻔뻔하게도) 유니코드에 등재시키려고 시도도 했지만 당연히 무산되었다고.


{{각주}}
{{각주}}
[[분류:독립운동가]]
[[분류:북한의 국가원수]]
[[분류:북한의 국가원수]]
[[분류:평양직할시 출신]]
[[분류:국가주석]]
[[분류: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분류:독재자]]
[[분류:북한의 공산주의자]]
[[분류:1994년 사망]]
[[분류:전주 김씨]]
[[분류:1912년 출생]]
[[분류:공산주의자]]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