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복궁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건축물 정보
[[분류:경복궁|-]]
|건물이름 = 경복궁
[[파일:Gyeongbokgung Palace Night.jpg|350px|섬네일|오른쪽]]
|원어이름 =
{{문화재
|그림    = [[파일:Gyeongbokgung Palace Night.jpg]]
|종목 = [[사적]] 제117호
|그림설명 =
|명칭 = 경복궁
|종류    =
|한자 = 景福宮
|주소    = 서울 종로구 청와대로 1 (세종로)
|분류 =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궁궐·관아/ 궁궐
|소유    = [[문화재청]]
|수량=
|착공일  =  
|면적 = 432,703㎡
|개장일  =  
|날짜 = [[1963년]] [[1월 21일]]
|철거일  =  
|소재지 = 서울 종로구 청와대로 1 (세종로)
|건축    =  
|시대 = [[조선]]시대
|설계    =
|소유 = [[문화재청]]
|건설    =
|관리 = [[문화재청]] 경복궁관리소
|양식    =
|높이    =
|층수    =
|총면적  =
|대지면적 = 432,703 m<sup>2</sup>
|웹사이트 =  
|비고    =  
|하위 틀  =
{{문화재 정보/삽입용
|종목    = [[사적]] 제117호
|지정일  = [[1963년]] [[1월 21일]]
|해제일  =
}}
}}
}}


* 경복궁(景福宮)
==개요==
'''景福宮 / Gyeongbokgung'''


[[조선|조선시대]]에 지어진 다섯 개의 [[궁궐]] 중 최초로 지어진 조선 왕조의 법궁이며, 사적 제117호이다.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 161 경복궁.
[[조선|조선시대]]에 지어진 다섯 개의 [[궁궐]] 중 최초로 지어진 조선 왕조의 법궁이며, 사적 제117호이다.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 161 경복궁.
61번째 줄: 49번째 줄:
===[[광화문]]과 궁궐 담장===
===[[광화문]]과 궁궐 담장===
[[파일:광화문.jpg|섬네일|광화문]]
[[파일:광화문.jpg|섬네일|광화문]]
경복궁 바깥의 담장 길이는 2404m에 달한다, 담장의 사방 4대문에 [[1426년]]([[조선 세종|세종]] 8) 동남서북 순서로 각각 건춘문,'''광화문''',영추문,신무문이라 이름 붙였다. 각 문의 명칭은 각각 봄,여름,가을,겨울과 나무-불-쇠-물을 상징하는 것이다.
경복궁 바깥의 담장 길이는 2404m에 달한다, 담장의 사방 4대문에 [[1426년]]([[세종 (조선)|세종]] 8) 동남서북 순서로 각각 건춘문,'''광화문''',영추문,신무문이라 이름 붙였다. 각 문의 명칭은 각각 봄,여름,가을,겨울과 나무-불-쇠-물을 상징하는 것이다.


정문인 광화문의 좌우에는 해태상이 세워져 있는데, 원래는 현재 위치에서 80m 떨어진 곳에 있었다. 왕 외의 사람은 말에서 내리라는 표식이었다고.
정문인 광화문의 좌우에는 해태상이 세워져 있는데, 원래는 현재 위치에서 80m 떨어진 곳에 있었다. 왕 외의 사람은 말에서 내리라는 표식이었다고.
85번째 줄: 73번째 줄:
여담으로, 밖에서 봤을 땐 2층으로 보이는데 내부는 사실 단층이다. 지붕이 2개에 단층이라 높이는 상당히 높다.
여담으로, 밖에서 봤을 땐 2층으로 보이는데 내부는 사실 단층이다. 지붕이 2개에 단층이라 높이는 상당히 높다.


근정전의 천장에는 용 두 마리의 조각상이 있다. 자세히 보면 두 용의 발톱이 일곱개이다. 원래 황제는 5개, 왕은 4개로 하는 일종의 룰이 있었는데 흥선대원군 주도의 중건으로 7개가 되었다. 7개의 발톱은 청나라 황제는 위, 조선의 왕은 아래라는 질서를 상징적으로 깨고 조선의 자주성을 확립하자는 염원이 담겨있었다.
근정전의 천장에는 용 두 마리의 조각상이 있다.


근정문을 지나면 근정전이 보이는데 근정전으로 가는 가운뎃길을 왕이 지나는 길이라하여  
근정문을 지나면 근정전이 보이는데 근정전으로 가는 가운뎃길을 왕이 지나는 길이라하여  
110번째 줄: 98번째 줄:
==서편구역==
==서편구역==
* 경회루(慶會樓)
* 경회루(慶會樓)
[[파일:경복궁-경회루.jpg|thumb]]


==동편구역==
==동편구역==
123번째 줄: 110번째 줄:
*[[근정전]] : [[국보]] 제223호
*[[근정전]] : [[국보]] 제223호
*[[경회루]] : [[국보]] 제224호
*[[경회루]] : [[국보]] 제224호
*[[자경전]] : [[보물 (문화유산)|보물]] 제809호
*[[자경전]] : [[보물 (문화재)|보물]] 제809호
*[[자경전 십장생굴뚝]] : [[보물 (문화유산)|보물]] 제810호
*[[자경전 십장생굴뚝]] : [[보물 (문화재)|보물]] 제810호
*[[경복궁 아미산굴뚝]] : [[보물 (문화유산)|보물]] 제811호
*[[경복궁 아미산굴뚝]] : [[보물 (문화재)|보물]] 제811호
*[[근정문 및 행각]] : [[보물 (문화유산)|보물]] 제812호
*[[근정문 및 행각]] : [[보물 (문화재)|보물]] 제812호
*[[풍기대]] : [[보물 (문화유산)|보물]] 제847호
*[[풍기대]] : [[보물 (문화재)|보물]] 제847호
*[[사정전]] : [[보물 (문화유산)|보물]] 제1759호
*[[사정전]] : [[보물 (문화재)|보물]] 제1759호
*[[수정전]] : [[보물 (문화유산)|보물]] 제1760호
*[[수정전]] : [[보물 (문화재)|보물]] 제1760호
*[[향원정]] : [[보물 (문화유산)|보물]] 제1761호
*[[향원정]] : [[보물 (문화재)|보물]] 제1761호
{{각주}}
{{각주}}
[[분류:경복궁| ]]


{{리브레 맵스 마커|37.57854098186395|126.97699248790741|10|경복궁}}
{{리브레 맵스 마커|37.57854098186395|126.97699248790741|10|경복궁}}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