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신교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3번째 줄: 13번째 줄:
*[[침례교]] : 종교개혁 중에 생겨났으며 신학 노선은 칼빈주의와 아르미니우스주의 중 어느 한 쪽을 교조적으로 따르지 않고 양쪽을 폭 넓게 인정한다. 교회 정치 면에서는 장로정치를 따르는 장로교나 감독정치를 따르는 감리교와 달리 교인들이 각자 알아서 교회 운영을 맡아서 하며 교단은 교회 운영에 일체 간섭하지 않는 회중정치를 따른다. 때문에 침례교는 신학 노선이나 목사들 성향이 교회마다 제각각이다. 세례자 요한의 세례 방식을 따라 물에 빠지는 것을 중요히 해 침례란 이름이 붙었다. 실제로 세례도 물에서 하는 침례로 한다! [http://www.kcbc.or.kr/bbs/board.php?bo_table=godnews&wr_id=64&sfl=&stx=&sst=wr_hit&sod=desc&sop=and&page=1 침례사진] 전세계에서 가장 큰 개신교 단일 교단이 미국의 남침례교이고, 당연히 미국 내에서도 최대의 단일 교단이다. 한국에선 1889년 캐나다 선교사 맬컴 펜윅에 의해 전해졌고, 교단으로는 기독교한국침례회가 있다. 왜 예수교가 없나 궁금하겠지만 대한예수교침례회가 있긴 있다. 다만 이 교단은 정통 교회에서 이단으로 정죄를 받은 구원파 계열이다. 또한 기독교복음침례회라는 교단도 있는데 이 역시 구원파 계열이며, '''[[세월호]] 참사의 주범 유병언을 수장으로 떠받드는 교단이다!''' 이에 대한 것은 [[구원파]] 항목 참조. 정통 침례교와는 다른 단체이니 오해하지 말도록 하자.
*[[침례교]] : 종교개혁 중에 생겨났으며 신학 노선은 칼빈주의와 아르미니우스주의 중 어느 한 쪽을 교조적으로 따르지 않고 양쪽을 폭 넓게 인정한다. 교회 정치 면에서는 장로정치를 따르는 장로교나 감독정치를 따르는 감리교와 달리 교인들이 각자 알아서 교회 운영을 맡아서 하며 교단은 교회 운영에 일체 간섭하지 않는 회중정치를 따른다. 때문에 침례교는 신학 노선이나 목사들 성향이 교회마다 제각각이다. 세례자 요한의 세례 방식을 따라 물에 빠지는 것을 중요히 해 침례란 이름이 붙었다. 실제로 세례도 물에서 하는 침례로 한다! [http://www.kcbc.or.kr/bbs/board.php?bo_table=godnews&wr_id=64&sfl=&stx=&sst=wr_hit&sod=desc&sop=and&page=1 침례사진] 전세계에서 가장 큰 개신교 단일 교단이 미국의 남침례교이고, 당연히 미국 내에서도 최대의 단일 교단이다. 한국에선 1889년 캐나다 선교사 맬컴 펜윅에 의해 전해졌고, 교단으로는 기독교한국침례회가 있다. 왜 예수교가 없나 궁금하겠지만 대한예수교침례회가 있긴 있다. 다만 이 교단은 정통 교회에서 이단으로 정죄를 받은 구원파 계열이다. 또한 기독교복음침례회라는 교단도 있는데 이 역시 구원파 계열이며, '''[[세월호]] 참사의 주범 유병언을 수장으로 떠받드는 교단이다!''' 이에 대한 것은 [[구원파]] 항목 참조. 정통 침례교와는 다른 단체이니 오해하지 말도록 하자.
*[[오순절교회]] :성령의 초자연적 현상을 강조하는 종파. [[대한민국]]에서 [[네임드]] 교회중 하나인 여의도순복음교회가 이 종파에 속한다. 가장 대표적인 종파는 기독교대한하나님의성회. 여기에도 또 두 개의 교단이 있어서 여의도순복음교회를 중심으로 한 기하성(여의도) 교단과 서대문에 본부를 둔 기하성(서대문) 교단으로 나뉜다.
*[[오순절교회]] :성령의 초자연적 현상을 강조하는 종파. [[대한민국]]에서 [[네임드]] 교회중 하나인 여의도순복음교회가 이 종파에 속한다. 가장 대표적인 종파는 기독교대한하나님의성회. 여기에도 또 두 개의 교단이 있어서 여의도순복음교회를 중심으로 한 기하성(여의도) 교단과 서대문에 본부를 둔 기하성(서대문) 교단으로 나뉜다.
*[[성공회]] : 잉글랜드의 헨리 8세 이혼 문제로 가톨릭에서 독립한 종파이다. 신학적으로는 성인 공경 인정, 성직자 제도 인정, 7성사 인정 등 가톨릭과 공통점이 많은 편이다. 이는 성공회가 대륙에서의 종교개혁과는 다르게 가톨릭과 프로테스탄트의 양 극단을 피한다는 소위 중용 내지 중도의 길(Via media)를 표방하며 기존 교회의 틀은 유지하되 점진적으로 개신교 종교개혁을 받아들이는 방식을 취했기 때문이다. 이때문에 개신교와는 다른 독립적인 그리스도교 교파로 취급되기도 한다. 이를 반영하듯 영국 성공회의 공식적인 모토는 '개혁하는 가톨릭 교회(Reforming Catholic Church)'이며, 미국 성공회의 공식 모토는 '개신교이지만 가톨릭(Protestant, yet Catholic)'이다. 영국 종교라는 편견과는 다르게, 의외로 세계적인 교세를 자랑하는 종파로 약 8500만명의 신자가 있는데, 만약 성공회를 개신교로 본다면 전체 개신교파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며, 전체 그리스도교 교파 중에서는 로마 가톨릭, 동방 정교회에 이어 세 번째로 큰 교파이기도 하다. {{ㅊ|Success Meeting 아니다}}
*[[성공회]] : 잉글랜드의 헨리 8세 이혼 문제로 가톨릭에서 독립한 종파이다. 신학적으로는 성인 공경 인정, 성직자 제도 인정, 7성사 인정 등 가톨릭과 공통점이 많은 편이다. 이는 성공회가 대륙에서의 종교개혁과는 다르게 가톨릭과 프로테스탄트의 양 극단을 피한다는 소위 중용 내지 중도의 길(Via media)를 표방하며 기존 교회의 틀은 유지하되 점진적으로 개신교 종교개혁을 받아들이는 방식을 취했기 때문이다. 이때문에 개신교와는 다른 독립적인 그리스도교 교파로 취급되기도 한다. 이를 반영하듯 영국 성공회의 공식적인 모토는 '개혁하는 가톨릭 교회(Reforming Catholic Church)'이며, 미국 성공회의 공식 모토는 '개신교이지만 가톨릭(Protestant, yet Catholic)'이다. 영국 종교라는 편견과는 다르게, 의외로 세계적인 교세를 자랑하는 개신교 종파로 약 8500만명의 신자가 있다. {{ㅊ|Success Meeting 아니다}}


*[[루터교]]<ref>루터교는 특이하게도 교단의 간판에다가 창시자의 이름을 달아놓았다. 사실 루터교를 뜻하는 로마자 표기인 Lutheran은 '루터빠' 정도의 의미이며, 당연히 생겨날때 불구대천의 원수였던 가톨릭 신자들이 부르던 명칭이다. 즉 "너희들은 그리스도의 계명이 아니라 루터를 따르니까 루터빠들이지." 정도의 의미. 그런데 이 종파의 신자들이 "그래. 우리 루터빠들이다. 어쩔래?"라면서 아예 공식적인 타이틀로 밀어버렸다(...) {{ㅊ|루터도 성격이 쿨하고 화끈했는데, 신자에게도 옮은듯하다}}</ref> : 가톨릭에서 최초로 독립해나온 개신교 종파, 즉 맏형님 되시는 종파이다. 외형적인 특징 때문에 다른 개신교 종파에 비해서 가톨릭과의 공유점이 많다고 알려져 있지만, 성공회보다는 덜하다.<ref>오히려 교리적으로 보면 전례력과 성인 기념일은 인정해도 통공기도를 인정하지 않거나, 성유물을 인정하지 않는 등 다른 점이 더 많다. 애초에 마르틴 루터 본인부터가 이러한 관습들은 성경에 없는 전통이라고 비판해 온 만큼 당연한 일.</ref> 다만 한국에서는 인지도가 꽤 마이너한 종파인데, 한국에 루터교 교단이 설립된 게 일제시대 기독교의 폭풍성장과 [[한국전쟁]]이 끝난 후인 [[1958년]]이었기 때문에 다른 종파에 비해 밀릴 수밖에 없다. 개신교 신자들도 "루터가 종교개혁을 이끈 건 아는데, 루터교도 있었음?" 정도의 인식이 대부분이다. 루터교에 대해서 아는 개신교 타종파 신자들은 가톨릭과의 공통점이 많아서인지 이단으로 보는 경우도 있다. '우리 루터는 그렇지 않아!!' 내지는 '루터는 위대한 인물이지만, 루터교는 루터와는 상관없는 이단종파다'라는 식으로. 막상 한국루터교회는 성공회와 달리 개신교라는 점을 확실히 하려고 성경도 개역(개정)을 쓰고 대다수 용어도 장로교, 감리교 등과 호환될 수 있게 하며 제단에도 성화 없이 단순한 십자가 틀만 사용한다.<ref>사실 루터교가 메이저에 국교회 지위까지 있는 북유럽 국가들도 교회에 따라서 성상 유무가 케바케다.</ref>
*[[루터교]]<ref>루터교는 특이하게도 교단의 간판에다가 창시자의 이름을 달아놓았다. 사실 루터교를 뜻하는 로마자 표기인 Lutheran은 '루터빠' 정도의 의미이며, 당연히 생겨날때 불구대천의 원수였던 가톨릭 신자들이 부르던 명칭이다. 즉 "너희들은 그리스도의 계명이 아니라 루터를 따르니까 루터빠들이지." 정도의 의미. 그런데 이 종파의 신자들이 "그래. 우리 루터빠들이다. 어쩔래?"라면서 아예 공식적인 타이틀로 밀어버렸다(...) {{ㅊ|루터도 성격이 쿨하고 화끈했는데, 신자에게도 옮은듯하다}}</ref> : 가톨릭에서 최초로 독립해나온 개신교 종파, 즉 맏형님 되시는 종파이다. 외형적인 특징 때문에 다른 개신교 종파에 비해서 가톨릭과의 공유점이 많다고 알려져 있지만, 성공회보다는 덜하다.<ref>오히려 교리적으로 보면 전례력과 성인 기념일은 인정해도 통공기도를 인정하지 않거나, 성유물을 인정하지 않는 등 다른 점이 더 많다. 애초에 마르틴 루터 본인부터가 이러한 관습들은 성경에 없는 전통이라고 비판해 온 만큼 당연한 일.</ref> 다만 한국에서는 인지도가 꽤 마이너한 종파인데, 한국에 루터교 교단이 설립된 게 일제시대 기독교의 폭풍성장과 [[한국전쟁]]이 끝난 후인 [[1958년]]이었기 때문에 다른 종파에 비해 밀릴 수밖에 없다. 개신교 신자들도 "루터가 종교개혁을 이끈 건 아는데, 루터교도 있었음?" 정도의 인식이 대부분이다. 루터교에 대해서 아는 개신교 타종파 신자들은 가톨릭과의 공통점이 많아서인지 이단으로 보는 경우도 있다. '우리 루터는 그렇지 않아!!' 내지는 '루터는 위대한 인물이지만, 루터교는 루터와는 상관없는 이단종파다'라는 식으로. 막상 한국루터교회는 성공회와 달리 개신교라는 점을 확실히 하려고 성경도 개역(개정)을 쓰고 대다수 용어도 장로교, 감리교 등과 호환될 수 있게 하며 제단에도 성화 없이 단순한 십자가 틀만 사용한다.<ref>사실 루터교가 메이저에 국교회 지위까지 있는 북유럽 국가들도 교회에 따라서 성상 유무가 케바케다.</ref>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