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시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46번째 줄: 46번째 줄:


*상고시대
*상고시대
**BC 127이전 성읍국가형태인 예국(濊國)이 형성
**BC 127이전성읍국가형태인 예국(濊國)이 형성
**BC 127 한무제(漢武帝) 원삭(元朔) 2년 창해군(滄海郡)을 설치
**BC 127한무제(漢武帝) 원삭(元朔) 2년 창해군(滄海郡)을 설치
**BC 109 한무제(漢武帝) 원봉(元封) 2년 임둔군(臨屯郡)을 설치
**BC 109한무제(漢武帝) 원봉(元封) 2년 임둔군(臨屯郡)을 설치
**BC 82 임둔군은 현도군에 편입
**BC 82임둔군은 현도군에 편입
**BC 75 낙랑군(樂浪郡)은 영동7현(嶺東7縣)에 동부도위(東部都尉)를 설치<ref>여러 여건으로 보아 실제로 한4군이 실효지배를 했을 가능성은 낮아보인다.</ref>
**BC 75낙랑군(樂浪郡)은 영동7현(嶺東7縣)에 동부도위(東部都尉)를 설치
**[[30년]] 후한(後韓)은 동부도위를 폐함. 자치국가인 동예(東濊)가 성립
**AD 30후한(後韓)은 동부도위를 폐함. 자치국가인 동예(東濊)가 성립
**[[313년]] [[고구려]] [[미천왕]] 14년 하서랑(河西良) 또는 하슬라(何瑟羅)라 칭함
**AD 313고구려 미천왕 14년 하서랑(河西良) 또는 하슬라(何瑟羅)라 칭함


*[[신라]]
*[[신라]]
**[[397년]] [[내물왕]] 42년 하슬라주(何瑟羅州)가 신라(新羅)의 영역(領域)이 됨
**397 내물왕42년하슬라주(何瑟羅州)가 신라(新羅)의 영역(領域)이 됨
**[[512년]] [[지증왕]] 13년하슬라주(何瑟羅州) 군주(軍主) 이찬(伊湌)라 이사부(異斯夫)가 우산국(于山國)을 정벌(征伐)함<ref>이사부 함대의 출발지점을 놓고 삼척시와 서로 논란이 있다. 이유는 관광자원 때문(...)</ref>
**512 지증왕13년하슬라주(何瑟羅州) 군주(軍主) 이찬(伊湌)라 이사부(異斯夫)가 우산국(于山國)을 정벌(征伐)함<ref>이사부 함대의 출발지점을 놓고 삼척시와 서로 논란이 있다.</ref>
**[[639년]] [[선덕여왕]] 8년 하슬라주(何瑟羅州)를 북소경(北小京)으로 삼고 사창(沙滄)진주(眞珠)에게 지키게 함
**639 선덕여왕8년하슬라주(何瑟羅州)를 북소경(北小京)으로 삼고 사창(沙滄)진주(眞珠)에게 지키게 함
**[[658년]] [[태종무열왕]] 5년 북소경(北小京)을 파(罷)하여 하서주(河西州)로 삼고 도독(都督)을 두어 지키게 함
**658 태종무열왕5년북소경(北小京)을 파(罷)하여 하서주(河西州)로 삼고 도독(都督)을 두어 지키게 함
**[[757년]] [[경덕왕]] 16년 하서주(河西州)를 명주(溟州)로 고치고 9군(郡)25현(縣)을 둠
**757 경덕왕16년하서주(河西州)를 명주(溟州)로 고치고 9군(郡)25현(縣)을 둠


*[[고려]]
*[[고려]]
**[[936년]] [[태조]] 19년 명주를 동원경(東原京)이라 개칭하고 임영관(臨瀛館)을 세움
**936 태조19년명주를 동원경(東原京)이라 개칭하고 임영관(臨瀛館)을 세움
**[[940년]] [[태조]] 23년 동원경을 다시 명주라 칭함 {{ㅊ|이랬다 저랬다}}
**940 태조23년동원경을 다시 명주라 칭함
**[[983년]] [[성종]] 2년 하서부(河西府)로 칭함
**983 성종2년하서부(河西府)로 칭함
**[[986년]] [[성종]] 5년 명주도독부(溟州都督府)로 개칭
**986 성종5년명주도독부(溟州都督府)로 개칭
**[[992년]] [[성종]] 11년 명주목(溟州牧)으로 개칭 목사(牧使)를 임명
**992 성종11년명주목(溟州牧)으로 개칭 목사(牧使)를 임명
**[[1178년]] [[명종]] 8년 연해(沿海) 명주도(溟州道)로 개칭
**1178 명종8년연해(沿海) 명주도(溟州道)로 개칭
**[[1261년]] [[원종]] 1년 경흥도호부(慶興都護府)로 승격 됨 강릉도(江陵道)로 개칭
**1261 원종1년경흥도호부(慶興都護府)로 승격 됨 강릉도(江陵道)로 개칭
**[[1263년]] [[원종]] 4년 강릉도(江陵道)로 개칭
**1263 원종4년강릉도(江陵道)로 개칭
**[[1308년]] [[충렬왕]] 34년 강릉부(江陵附)로 개칭
**1308 충열왕34년강릉부(江陵附)로 개칭
**[[1388년]] [[우왕]] 14년 교주(交州) 강릉도로 개칭
**1388 우왕14년교주(交州) 강릉도로 개칭
**[[1389년]] [[공양왕]] 원년 강릉대도호부(江陵大都護府)로 승격, 별호(別號)를 임영(臨瀛)이라 함. 6주현 16속현을 둠
**1389 공양왕원년강릉대도호부(江陵大都護府)로 승격, 별호(別號)를 임영(臨瀛)이라 함. 6주현 16속현을 둠


*[[조선]]
*[[조선]]
**[[1457년]] [[세조]] 3년 강릉대도호부에 진(鎭)을 설치하고 이부(二府) 사군(四郡)이현(二縣)을 관할함
**1457 세조3년강릉대도호부에 진(鎭)을 설치하고 이부(二府) 사군(四郡)이현(二縣)을 관할함
**[[1666년]] [[현종]] 7년 강릉대도호부는 강릉현으로 강등됨
**1666 현종7년강릉대도호부는 강릉현으로 강등됨
**[[1675년]] [[숙종]] 원년 강릉현을 다시 강릉대도호부로 복원함
**1675 숙종원년강릉현을 다시 강릉대도호부로 복원함
**[[1782년]] [[정조]] 6년 다시 강릉현으로 격이 낮아짐
**1782 정조6년다시 강릉현으로 격이 낮아짐
**[[1789년]] [[정조]] 13년 강릉부로 복원됨 {{ㅊ|[[고만해 미친놈들아]]}}
**1789 정조13년강릉부로 복원됨
**[[1895년]] [[고종]] 32년 강릉부의 관할구역이 평해(平海)에서 흡곡군(翕谷郡)까지로 됨
**1895 고종32년강릉부의 관할구역이 평해(平海)에서 흡곡군(翕谷郡)까지로 됨
**[[1896년]] [[고종]] 33년 강릉군으로 개칭하고 21개 면을 관할함
**1896 고종33년강릉군으로 개칭하고 21개 면을 관할함


*[[대한제국]]
*[[대한제국]]
**[[1906년]] 강릉대도호부에 진(鎭)을 설치하고 이부(二府) 사군(四郡)이현(二縣)을 관할함
**1906강릉대도호부에 진(鎭)을 설치하고 이부(二府) 사군(四郡)이현(二縣)을 관할함
**[[1913년]] 북1리면, 북2리면, 남1리면을 합쳐 군내면(郡內面)으로 개칭
**1913북1리면, 북2리면, 남1리면을 합쳐 군내면(郡內面)으로 개칭
**[[1914년]] 군내면을 강릉면으로 개칭하고 남1리면, 남2리면을 성남면(城南面)으로, 가남면을 하남면으로 개칭
**1914군내면을 강릉면으로 개칭하고 남1리면, 남2리면을 성남면(城南面)으로, 가남면을 하남면으로 개칭


*[[일제강점기]]
*[[일제강점기]]
**[[1920년]] 성남면, 덕방면, 자가곡면을 합쳐 성덕면으로 개칭하고, 하남면에서 나누어진 일부를 정동면에 편입
**1920성남면, 덕방면, 자가곡면을 합쳐 성덕면으로 개칭하고, 하남면에서 나누어진 일부를 정동면에 편입
**[[1931년]] 강릉면이 강릉읍으로 승격
**1931강릉면이 강릉읍으로 승격
**[[1938년]] 정동면이 경포면으로 개칭함
**1938정동면이 경포면으로 개칭함
**[[1940년]] 신리면이 주문진읍으로 승격됨
**1940신리면이 주문진읍으로 승격됨
**[[1942년]] 망상면이 묵호읍으로 승격됨
**1942망상면이 묵호읍으로 승격됨


*[[대한민국]]
*[[대한민국]]
**[[1945년]] 양양군 현남면과 현북면, 서면 일부를 강릉군으로 편입
**1945양양군 현남면과 현북면, 서면 일부를 강릉군으로 편입
**[[1954년]] 수복지구임시행정조치법 시행에 따라 현북면과 서면을 [[양양군]]에 편입
**1954법률 제350호로 수복지구임시행정조치법 시행에 따라 현북면과 서면을 양양군에 편입
**[[1955년]] 강릉읍과 성덕면, 경포면을 통합하여 강릉시로 승격하고, 강릉군을 명주군으로 개칭
**1955법률 제369호로 강릉읍과 성덕면, 경포면을 통합하여 강릉시로 승격하고, 강릉군을 명주군으로 개칭
**[[1963년]] 현남면이 양양군에 편입
**1963현남면이 양양군에 편입
**[[1973년]] 왕산면 남곡리, 구절리를 [[정선군]]에 편입
**1973왕산면 남곡리, 구절리를 정선군에 편입
**[[1980년]] 명주군 묵호읍과 [[삼척시|삼척군]] 북평읍을 합쳐 [[동해시]]로 승격
**1980명주군 묵호읍과 삼척군 북평읍을 합쳐 동해시로 승격
**[[1983년]] 구정면 언별리가 강동면으로, 구정면 산북리가 성산면으로, 연곡면 방내리 일부가 주문진읍으로 편입, 남문 성남동을 합쳐서 중앙동으로 개칭하고, 교동을 교1,교2동으로 나눔
**1983구정면 언별리가 강동면으로, 구정면 산북리가 성산면으로, 연곡면 방내리 일부가 주문진읍으로 편입, 남문 성남동을 합쳐서 중앙동으로 개칭하고, 교동을 교1,교2동으로 나눔
**[[1989년]] 명주군 강동면 운산리를 강릉시 월호평동에 편입
**1989명주군 강동면 운산리를 강릉시 월호평동에 편입
**[[1995년]] 강릉시와 명주군을 도농복합형태의 강릉시로 통합 포남동을 포남1, 포남2동으로 나눔
**1995강릉시와 명주군을 도농복합형태의 강릉시로 통합 포남동을 포남1, 포남2동으로 나눔
**[[1997년]] 옥천동 일부를 성남동에, 포남동 일부를 옥천동과 초당동에, 옥천동, 입암동, 초당동, 송정동 일부를 포남동에 입암동, 병산동, 학동 일부를 월호평동에, 견소동 일부를 병산동에 각각 편입
**1997옥천동 일부를 성남동에, 포남동 일부를 옥천동과 초당동에, 옥천동, 입암동, 초당동, 송정동 일부를 포남동에 입암동, 병산동, 학동 일부를 월호평동에, 견소동 일부를 병산동에 각각 편입
**[[1998년]] 중앙동과 임당동을 중앙동으로, 장현·노암·월호평동을 강남동으로, 입암동과 두산동을 성덕동으로, 유천·죽헌·운정·저동을 통합하여 경포동이라 함
**1998중앙동과 임당동을 중앙동으로, 장현·노암·월호평동을 강남동으로, 입암동과 두산동을 성덕동으로, 유천·죽헌·운정·저동을 통합하여 경포동이라 함
**[[2006년]] 강릉시 월호평동 일부를 학동으로 편입함
**2006강릉시 월호평동 일부를 학동으로 편입함
**[[2007년]] 강릉시 금학동의 이루와 임당동의 일부를 옥천동으로 편입함
**2007강릉시 금학동의 이루와 임당동의 일부를 옥천동으로 편입함
**[[2009년]] 강릉시 성산면 금산리 일부(영동대학)을 홍제동으로 편입함
**2009강릉시 성산면 금산리 일부(영동대학)을 홍제동으로 편입함
**[[2009년]] 강릉시 사천면 방동리 일부를 대전동으로 편입, 대전동 일부를 사천면 방동리로 편입함
**2009강릉시 사천면 방동리 일부를 대전동으로 편입, 대전동 일부를 사천면 방동리로 편입함
**[[2014년]] 유천보금자리주택 사업지구 내 3개의 법정동 행정구역(유천동, 홍제동, 교동)을 2개의 법정동(유천동, 홍제동) 구역으로 관할 경계 조정
**2014유천보금자리주택 사업지구 내 3개의 법정동 행정구역(유천동, 홍제동, 교동)을 2개의 법정동(유천동, 홍제동) 구역으로 관할 경계 조정


== 명산품 및 명물 ==
== 명산품 및 명물 ==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