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편집 | 원본 편집]
2016년 6월 6일 22시 45분경, 인천국제공항을 출발해 테드 스티븐스 앵커리지 국제공항로 향하던 UPS 5X61편(N277UP, MD-11)이 이륙 중 활주로를 오버런한 사고이다. 데드헤드 1명을 포함해 승무원은 총 4명이며 1명이 경상을 입었다.
사고 현장인 제1활주로(15R-33L)는 사고 직후 폐쇄되었다. 야간에는 보수 작업을 위해 활주로를 하나 닫아두므로, 날이 밝기 전까지는 총 2개의 활주로가 닫혀있는 상태였던 것이다. 사고기가 안전한 곳으로 옮겨짐에 따라 5일 후인 2016년 6월 11일 활주로를 다시 개방했다.[1]
사고 기체인 MD-11F는 1995년 여객기인 MD-11로 출고되어 일본항공에게 인도되었다가, 2004년 UPS가 중고 기체를 인수하여 화물기로 환장한 기체이다. 사고 후 항로에 복귀하지 않고 폐기되었다.[2]
사고 경위[편집 | 원본 편집]
- 13시 43분 이륙절차 시작
- 33L 활주로에 정렬한 후 추력을 높여 이륙활주를 시작했다.
- 13시 44분 45초 V1, 타이어 파열
- 이륙결심속도(V1)를 막 지난 상황에서 중앙 랜딩기어의 타이어가 파열되었고, 그 여파로 브레이크 라인이 깨지면서 유압계통에 손상을 가했다.
- 13시 44분 48초 이륙포기
- 가속력 감소로 이륙이 어렵다고 판단한 기장이 이륙을 포기(RTO)하고 제동을 시작했다. 하지만 파열의 여파로 브레이크 유압이 떨어지고 스포일러도 일부만 전개돼 감속이 충분치 않았다.
- 13시 45분 07초 활주로 이탈
- 손상된 유압계통이 완전히 능력을 잃고, 90노트(166km/h)의 속도로 활주로 끝단을 벗어났다.
- 13시 45분 15초 ILS 안테나 충돌
- 46노트(약 85km/h)의 속도로 활주로에서 300m 가량 떨어져 있는 로컬라이저 안테나에 충돌했으며, 충돌하면서 노즈기어가 접혔다.
- 13시 45분 28초 정지
- 노즈기어가 접히면서 동체가 땅에 닿았고, 마찰력으로 활주로에서 500m 가량 떨어진 지점에 정지했다.
사고 원인[편집 | 원본 편집]
운이 나빴다. 통상 V1을 지난 시점에서는 활주로의 남은 거리가 제동 거리보다 짧을 공산이 커서 무조건 기수를 들고 이륙한 다음 회항조치해야 하나, 정말 답이 나오지 않는 환경에서는 어떻게든 기체를 지상에서 세워야 하고 이 사고가 그런 케이스다.
외부 링크[편집 | 원본 편집]
- NTSB Identification: DCA16RA175, 美 교통안전위원회
- 중간보고서, 국토교통부, 2017.12.29.
- 최종보고서, 국토교통부, 2019.06.21.
각주
- ↑ UPS 화물기 견인 완료...이륙 활주로 정상화, YTN, 2016.06.11
- ↑ N277UP United Parcel Service (UPS) McDonnell Douglas MD-11F - cn 48578 / 588 - Airframe Status: Written Of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