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 컬처 유니버스(영어: SM Culture Universe)는 SM엔터테인먼트 소속 가수들의 모든 세계관을 관통하는 세계관으로, aespa를 시작으로 다른 SM엔터테인먼트 소속 가수들 역시 이 세계관을 통해 연결되는 것이 목적이다.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와 비슷하게 SMCU라고 줄여부르기도 한다. 게임 판타지와 비슷한 느낌으로 스스로 메타버설 오리진 스토리라고 언급하기도 한다.
영상[편집 | 원본 편집]
SMCU The Origin[편집 | 원본 편집]
나레이션은 aespa 지젤이 담당했으며, SMCU 등장인물에 대한 칭호 역시 여기서 비롯됐다.
EP.01 "Black Mamba"[편집 | 원본 편집]
세계관에 대한 이해와 블랙맘바, 나이비스에 대한 소개를 담은 영상이다. aespa의 《Next Level》, 멤버들 각각의 능력에 대한 떡밥[1]도 나온다.
등장인물[편집 | 원본 편집]
- 동방신기 - 빛과 소리의 속도
- 슈퍼주니어 - 국적과 소유를 초월한 우주여행[2]
- 소녀시대 - 소리의 여신
- 샤이니 - 다섯 개의 빛
- EXO - 초능력
- 레드벨벳 - 신과의 교감을 이루어낸 초월적 존재들
- NCT - 꿈을 통한 공감과 공명
- aespa - 현실 세계와 가상 세계 간의 소통[3]
용어[편집 | 원본 편집]
- 아이(æ) - 인간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가상 세계 속 또다른 자아. 또다른 자아기 때문에 자신의 방식대로 생각하고 움직이며, 인간들이 자신의 아이(æ)를 인지하지 않을 수도 있고, 활발하게 교류를 할 수도 있다. 그래서 æ-윈터, æ-이수만... 같은 그런 표현들이 나오는 게 SMCU의 일환이다.
- 싱크(SYNK) - 인간과 아이(æ)의 연결 상태를 의미한다. 서로의 생각과 감정을 공유하다보면 점점 싱크 레벨이 높아져서, 메시지, 음성 순으로 발전하다가 나중에는 아이(æ)가 현실세계로 오는 리콜이 가능해진다.
- 싱크 다이브(SYNK DIVE) - 아이(æ)와 인간의 의식이 동기화된 상태.
- 싱크 아웃(SYNK OUT) - 아이(æ)와의 싱크가 갑자기 종료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 리콜(REKALL) - 아이(æ)가 현실 세계로 오는 것.
- 에테르(Ether) - 무의식의 세계
- 플랫(FLAT) - æ들이 살고 있는 세계.
- 광야(KWANGYA) - 에테르에서 여과되어 창조된 곳으로, 플랫 너머 아무것도 규정되지 않은, 무규칙, 무정형, 무한의 영역을 의미한다.[4] 세계관 언급에 따르면 태초부터 존재해왔고 그 안에 코스모가 있다고 한다. 에스파의 데뷔 이후 SM 가수들 노래에서 자주 광야라는 표현이 등장하니 눈여겨보자.
- 포스(P.O.S) - 플랫과 현실 세계 또는 광야로 갈 수 있게 해주는 에너지체로, 단순히 물리적인 차원을 연결하는 문은 아니며, 인간은 통과할 수 없다.
- 나이비스(nævis) - 나비스라고 하기도 하며, 광야로 가는 포스(P.O.S)를 열 수 있는 가상세계 속 신비로운 존재이다. aespa의 입장에선 위기에 빠진 자신들을 구해줄 수 있는 조력자이자 안내자이다.
- 블랙맘바(Black Mamba) - 광야에서 온 것으로 추정되는 인간의 탐욕을 먹고 자란 존재로, 환각 퀘스트를 통해 싱크 아웃을 시킬 수 있는 능력이 있다.
- 코스모(KOSMO) - 광야를 넘어선 초월의 공간으로, aespa 역시 도달해보지 못한 곳이다.
- 코스모즌(KOSMOzen) - 코스모에 살고 있는 존재들.
세계관 언급[편집 | 원본 편집]
노래 가사[편집 | 원본 편집]
- NCT U의 《90's Love》에서 "광야를 넘어 더욱 가까이 와", "어쩌면 닿을 듯한 코스모를 느낀 거야 난"이란 가사가 나왔다.
- aespa의 《Black Mamba》에서 "넌 광야를 떠돌고 있어"란 가사가 나왔다.
- aespa의 《Next Level》에서 "광야로 걸어가"란 가사가 나왔다.
- EXO의 《Don't fight the feeling》에서 "광야 위를 질주해"란 가사가 나왔다. 뮤직비디오 속에 나온 우주선은 광야로 향한 듯하다.
- NCT DREAM의 《Hello Future》에서 "온 세상과 저 광야 위로 후회 없이 사랑했다고 말하게"란 가사가 나왔다.
여담[편집 | 원본 편집]
- SMCU를 통해 모든 가수들한테 세계관이 생긴 거나 다름없게 되자 정작 해당 아티스트들은 금시초문이라는 반응도 나오고 있다.[5]
각주
- ↑ 이후 《ænergy》라는 노래에서 그 능력들이 소개된다. 그리고 그 노래의 실체는 유영진이 소녀시대에게 준 《Beautiful Girls》라는 노래처럼, 각 멤버들의 이름을 불러주는 노래를 만들어달라고 해서 만들어진 노래...
태연~ 제시카~ 티파니~ 써니 유리 효연~ 서현이~ 수영이와 윤아~ - ↑ 워낙 어디로 튈지 알 수 없어서 우주여행을 하며 도착한 행성의 문제들을 해결하며 앞으로 나아간다는 설정으로 했다고 한다.
- ↑ 사실상 aespa가 데뷔하면서 SMCU 세계관이 시작되었으며, 프로젝트 첫번째 걸그룹으로 만들어진 그룹이라고 한다. 관련 용어들도 에스파가 데뷔하면서 속속들이 등장하게 되었다.
- ↑ 그리고 그 위치는 SM 신사옥에 존재한다.
- ↑ 슈퍼주니어의 규현은 "아니 다 한국인이 왜 국적과 소유를 초월을 해요"라는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가수 | |
---|---|
배우 | |
엔터테이너 | |
프로듀서 | |
SM C&C | |
AIKM |
|
ScreaM Records |
|
관련 회사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