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K엔터테인먼트 MBK Entertainment |
|
---|---|
법인 정보 | |
산업분야 | 엔터테인먼트 |
창립 |
고건희 2014년 7월 17일 |
이전회사 | 코어콘텐츠미디어 |
본사 |
대한민국 본사: 서울특별시 강남구 봉은사로49길 22, L1 (논현동, 파워아트센터) 별관: 서울특별시 강남구 봉은사로51길 19, 1층 (논현동, 스타빌딩)[1] |
핵심인물 | 고건희·김광수 |
종목코드 | 비상장 |
자본금 | 5억 9000만 원 |
주요주주 | MBK (구 CS엘쏠라) |
종업원 | 40명 이상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MBK 엔터테인먼트(MBK Entertainment)는 대한민국의 연예 기획사이다.
창립 배경[편집 | 원본 편집]
MBK 엔터테인먼트는 2014년 7월 출범하였으며, 코어콘텐츠 소속 가수, 배우(티아라, 다이아, 손호준, 하석진, 김규리 등)을 영입하여 지금까지 이어져 왔다. MBK는 "한국을 넘어선 음악" ("Music Beyond Korea")의 약자로 국내 뿐만아니라 글로벌적인 시스템을 구축하여 도약할 것이라고 밝혔다. 대표이사는 고건희이며, 음악총괄프로듀서는 김광수이다. 본사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봉은사로(논현동) 22 (파워아트센터 L1) 별관은 서울특별시 강남구 봉은사로(논현동) 51길 19 (스타빌딩)이다. 2015년 5월 CS엘쏠라가 MBK엔터테인먼트의 주주 정승용씨를 대상으로 21억 원 규모의 전환사채(CB)를 발행하고 주식 4만8000주(40.68%)를 가지게 되어 주주가 되었다.[2]
현재 소속[편집 | 원본 편집]
MBK엔터테인먼트[편집 | 원본 편집]
MBK 소속 아티스트 |
---|
하이브로우[3] |
포켓돌스튜디오[편집 | 원본 편집]
포켓돌스튜디오 소속 아티스트 | ||||||
---|---|---|---|---|---|---|
조이현 | 다이아 | 송가인 | BAE173 | H&D | CLASSy | 오유진 |
이전 소속[편집 | 원본 편집]
그룹[편집 | 원본 편집]
자체 제작[편집 | 원본 편집]
- 터보
- 씨야 (김연지, 남규리, 이보람, 수미)
- 초신성
- 다비치 (이해리, 강민경)
- 갱키즈 (황지현, 조은별, 최수은, 김가화)
- 남녀공학 (열혈강호)
- 더 씨야 (송민경, 허영주)
- SG워너비
- M to M
- 블랙펄
- 티아라 (지애,[4] 지원,[5] 아름, 화영, 보람, 소연, 큐리, 은정, 효민, 지연)
- 다이아 (은진, 제니)
- 비너스
매니지먼트[편집 | 원본 편집]
솔로[편집 | 원본 편집]
연기자[편집 | 원본 편집]
- 윤소라
- 김민형
- 문희경
- 김규리
- 김민채
- 김민형
- 손호준
- 하석진
- 구본승
- 김정은
- 한은정
- 정준호
- 황정음
- 이범수
- 신동엽
- 이영자
- 강호동
- 송승헌
- 황신혜
- 김종욱
- 이의정
- 노영심
- 이미연
- 이해인 (갱키즈 출신)
- 성유진 (더 씨야, 파이브돌스 출신)
- 한서인 (오연경) (더 씨야, 파이브돌스 출신)
- 전재현 (갱키즈 출신)
- 김유환(前 SPEED)
- 박상원
- 백다은
연습생[편집 | 원본 편집]
- 김기중 (IM 출신)
- 김다니 (연기자로도 활동함. PRODUCE 101 / 최종 24위로 3차 방출)
- 김영상 (PRODUCE X 101 출연)
- 김재윤
- 김태민 (PRODUCE 101 시즌 2 출연)
- 김현진 (현: 이달의 소녀)
- 방현아 (현: 워너비)
- 백현주 (전: SEEART → 오아시스, 액토즈 스타즈 아쿠아 / 현: 무소속)
- 이상연 (현: 더보이즈)
- 이재억 (언더나인틴 출연)
- 이준우 (PRODUCE 101 시즌 2 출연)
- 정휘인 (현: 마마무)
- 차웅기 (현: TOO)
- 코코 (전: 블레이디, 코코소리 / 현: 무소속)
- 허영지 (전: 베이비카라, 카라 현: 솔로)
- 허찬 (현: 빅톤)
디스코그래피[편집 | 원본 편집]
이와 관련한 주제는 MBK 엔터테인먼트의 음반에서 다룹니다.
여담[편집 | 원본 편집]
- 코어콘텐츠미디어였다가 MBK로 바꾼 이후로 문방구, 문방구집이라는 별명이 생겼다.
각주
- ↑ 별관 주소가 상법 상 본점으로 등록되어 있다.
- ↑ 코어콘텐츠미디어, MBK엔터테인먼트로 재출범…'소속 연예인들 행보는?'
- ↑ 현재 활동을 중단한 상태로, MBK에서 나가진 않았다.
- ↑ 데뷔하기 직전에 탈퇴한 멤버로, 이후 여성 듀오 주비스의 멤버로 들어갔다가 현재는 싱어송라이터로 활동 중이다.
- ↑ 오소녀를 거쳤다가 티아라로 데뷔할 뻔했는데 직전에 탈퇴한 멤버. 이후 걸그룹 스피카로 들어갔지만 그룹이 부진하여 해체해 더 유닛에 참가했다. 결국 최종 데뷔조까지 들어가는 데에 성공하여 UNI.T로 활동 중이다.
- ↑ 소속은 데뷔 때나 지금이나 FNC였으나 데뷔 초반에는 MBK의 전신인 엠넷미디어에서 매니지먼트를 맡았다.
- ↑ 만들어진 곳은 따로 있지만 여기서 매니지먼트를 했다. 그래서 끼워팔기를 시전한 적이 있어 논란이 있었다...
- ↑ 표면적으로는 야마앤핫칙스 소속이었으나 실질적으로는 MBK였기 때문에, 당시 멤버였던 이한결과 김기중이 해체 후 MBK 연습생이 된 것이다.
바깥 고리[편집 | 원본 편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