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바뀜
  • 임의 문서
  • 게시판
    위키방자유게시판이슈 트래커
  • 도구
    특수 문서 목록업로드
  • 도움말
    개요위키 문법TeX 문법이슈 트래커
  • 최근 바뀜
  • 최근 토론
  •  
  •  
  •  
  •  
  •  
  •  
  •  
  •  
  •  
  •  
더 보기
  • 신규 사용자분께서는 리브레 위키:환영합니다 필독해주세요.
  • 가입 후 지속적인 기여는 위키에 큰 도움이 됩니다.
  • 로그인이 잘 되지 않을 경우 여기에서 로그인해주세요.
편집토론기록
새로 고침주시여기를 가리키는 문서정보

KVM 스위치

분류:
  • 하드웨어
고전적인 2채널

Keyboard, Video, and Mouse Switch

2대 이상의 컴퓨터를 갖춘 장소에서 하나의 모니터, 키보드, 마우스로 컴퓨터 여러 대를 모두 조작할 수 있게 하는 장치이다. 이름이 '스위치'인 것에서 볼 수 있듯이 대체로 한번에 하나만 조작 가능하다. 원리를 간단히 하자면 모니터 선택기, 마우스 선택기, 키보드 선택기 등등을 하나로 합친 것이다. 단순히 2대에 신호를 나눠주는 2채널 KVM부터 중형 서버실에 가면 볼 수 있는 모니터 일체형 16채널 KVM도 있고, IDC나 대형 서버실에 가면 수백개의 KVM 스위치를 네트워크로 묶어서 별도의 관리실에서 소수의 인원이 관리하는 모습도 볼 수 있다.

VNC나 RDP 같은 원격 데스크톱은 운영체제가 완전히 부팅되어야 원격 접속이 가능해져 운영체제가 로드되지 않는 오류 상황에 대처할 수 없으나, KVM은 입력장치를 물리적으로 모방하기 때문에 부팅 초기인 BIOS단부터 컨트롤 할 수 있으며 저장장치 연결이 가능한 경우 서버를 들어내지 않아도 OS 재설치가 가능하다.

2010년대 이후로는 KVM over 인터넷 프로토콜(IP) 기술이 개발되어 모니터, 마우스, 키보드 신호를 스위치까지 직접 끌어올 필요 없이[1] 작은 동글을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것 만으로 주요 신호를 KVM 스위치까지 전송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메인보드에 인텔 vPro 기술이나 IPMI, iLO 등이 탑재되어 네트워크만 연결되어 있으면 언제 어디서나 컴퓨터 앞에 앉아있는 것 처럼 컨트롤이 가능하며, 바이오스 업그레이드 같이 절차가 복잡한 소프트웨어 유지 보수도 쉽게 할 수 있다.

각주

  1. ↑ 고전적인 KVM 스위치는 모니터, 키보드, 마우스 케이블 3개를 직접 연결한다. 4채널만 되어도 정신없어지는데, 여기에 연결할 포트가 하나씩 늘어가면 케이블로 난장판이 된다.
  • 이 문서는 2018년 1월 29일 (월) 13:5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 모든 텍스트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운영관련 문의 : ops@librewiki.net | 권리침해 문의 : support@librewiki.net
  • 개인정보 정책
  • 리브레 위키 소개
  • 면책 조항
  • 이용약관
  •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 Powered by MediaWiki
  • Designed by Librewiki

로그인

리브레 위키에 가입하세요 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
다른 방법으로 로그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