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56 | |
---|---|
![]() |
|
차량 정보 | |
종류 | 장갑차 |
제조사 | 한화디펜스 |
디자이너 | 삼성테크윈(現 한화디펜스) |
생산연도 | 2013~현재 |
사용연도 | 2015~현재 |
제원 | |
엔진 | 디트로이트 디젤 8V71T |
최고출력 | 450 HP |
보조무장 | K6 중기관총 |
전장 | 9.12 m |
전폭 | 3.28 m |
전고 | 3.15 m |
무게 | 28 톤 |
K56 탄약운반장갑차(K56 ARV)는 K55 자주곡사포의 차대를 활용한 탄약운반장갑차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원래 90년대 후반에 K66 탄약운반장갑차(M992 면허생산)를 도입할 계획이 있었다.[1] 당시 삼성항공(現 한화탈레스)이 M992를 면허생산한 K66과 대우중공업이 K200을 개량한 K255가 경쟁하여 K66이 결정되었다. 하지만 K66의 원판인 M992는 보급속도가 현저히 느렸으며, 원 사용부대인 미군조차 이송용 컨베이어 벨트를 뜯어내고 도수운반에 치중할 정도로 형편없었다. 그래서 1998년 시험평가[2] 이후 K66의 도입은 잠정취소된 것으로 보인다.
이후 K9 자주곡사포를 따라 K10 탄약운반장갑차가 개발되어, 탄약이송능력을 K10에서 따와 K66의 차대로 개발한 것이 K56이다.
하지만 감사원에서 K56의 사업타당성 조사에 대해 딴지를 걸면서[3] 추진에 제동이 걸렸고, 비슷한 시기 연평도 도발에서 K9가 힘을 못 쓰면서 개발주관사인 삼성테크윈에 내부비리설이 돌아[4][5] 어수선한 분위기가 계속되었다.
사내 분위기가 정리되고 성능이 개량된 K55A1 자주곡사포의 배치가 시작되면서 K9-K10처럼 탄약운반장갑차의 필요성이 다시 제기되었고, 2013년 제68회 방위산업추진위원회에서 K56 양산이 의결됨에[6] 따라 2015년부터 초도 생산분이 배치되었다.
특징[편집 | 원본 편집]
- 자동화된 탄약 보급
- K10의 자동화된 보급장치를 그대로 가져와 적용했기에, 보급속도는 K10과 동등(10발/분)하다. 또한 탄을 받으면 안에서 알아서 굴려서 적치대를 채우는 K9와 달리 따로 격자형 적치대에 채워넣어야 하는 K55/K55A1의 탄약보급구조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끝부분에 카메라를 달아 화상분석을 통해 자동으로 이송대가 움직여 구획마다 탄을 채우는 형태를 채택하고 있다.[7]
- 다만 K66의 차체를 재활용하는 과정에서 탄약적재능력은 소폭 감소하여, K10의 104발에 비해 19발 적은 85발을 적재할 수 있다. 또한 K10과 달리 장약 적치용 후방 격자형 해치가 없어, K56 자체를 채우는 일은 K10보다 다소 번거롭게 됐다.
- 정비성
- K55의 차대를 활용했기 때문에, K55·K77과 동력계통이 호환되어 일선부대의 정비소요를 절감했다.
각주
- ↑ 大宇重 三星항공 탄약운반車 수주경쟁, 매일경제, 1995.02.27.
- ↑ 국방부, 탄약운반장갑차 시험평가 결과 보고, 국가기록원, 1998.
- ↑ 감사원, 작년 탄약운반차사업 재검토 통보, 연합뉴스, 2010.09.27.
- ↑ 이건희 회장 격노한 삼성테크윈 내부비리는?, 머니투데이, 2011.06.08.
- ↑ 검찰 "삼성테크윈, 중고부품 장착 K-9 자주포 납품 '무혐의'", 경향신문, 2013.05.22.
- ↑ 제 68회 방위사업추진위원회 개최결과, 국정브리핑, 2013.07.25.
- ↑ 삼성테크윈, <탄약 운반차의 카메라를 이용한 컨베이어 자동접속장치와,이를 이용한 자동접속방법>, 특허정보시스템, 2008.0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