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ltrain

캘트레인
Caltrain
산호세 디리돈역에 정차 중인 캘트레인 열차
나라 미국
종류 광역철도
(통근철도, 커뮤터 레일)
구간 샌프란시스코 ~ 길로이
영업거리 77.4 mi (124.6 km)
역 수 32개
소유자 JPBX (샌프란시스코 ~ 태미엔)
유니온 퍼시픽 (태미엔 ~ 길로이)
운영자 트랜짓 아메리칸 서비스
개통일 1987년
시설 정보
궤간 1,435 mm (표준궤)
선로 전 구간 복선 이상
전기 없음

캘리포니아주 중부의 샌프란시스코 광역권인 베이 에어리어의 중심도시 샌프란시스코실리콘 밸리로 알려진 베이 남부 지역의 산호세를 연결하는 미국의 통근 철도 (commuter rail) 시스템이다. 이 권역의 또 다른 광역철도망으로는 BART가 있으나, BART의 경우는 고속도시철도의 형태로 오클랜드 방면으로 뻗으며 비교적 동서 연결에 치중한데 반하여, 캘트레인은 전통적인 철도를 바탕으로 남부 샌프란시스코 만의 서부를 잇는다. 철도 교통이 상당히 빈약한 미국 서부지만, 베이 에어리어는 인구 규모와 함께 넓은 도시권역, 좁은 땅을 바탕으로 철도가 발달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었고, 캘트레인은 때문에 단일 노선임에도 불구하고 미국 서부에서 가장 이용률이 높은 통근 철도 시스템으로 발달했다.

2015년 2월 기준으로 평일 평균 58,245명(휴일은 10 ~ 20% 정도 규모)이 이용하며, 이 수치는 2014년에 비해서는 10% 이상, 2010년에 비해서는 70% 이상 성장한 수치로 미국 내에서도 상당히 발전 속도가 빠르고 가능성이 높은 통근 철도로 꼽히고 있다. 이 배경에는 베이 에어리어 지역의 승용차 소유율 증가가 지지부진한 배경에 기인한다. 애초에 이 지역은 젊은 IT 산업이 상당히 발달하고 스탠포드 대학교 등이 있어 젊은 층의 구성비가 높은데, 젊은 층의 경우 승용차 선호율이 오히려 중년층보다 떨어지는 현상을 보인다. 최근에 나오는 말이 우버만 있어도 다니는데 불편하지 않다고, 그렇다보니 젊은 층을 중심으로 (소득 수준에 비해서도) 차량 소유가 떨어지고, 대중교통 선호율이 높아지고 있는게 이러한 배경을 낳는 원인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다른 통근 철도들과는 달리, 캘트레인이 본선을 직접 소유한 형태다보니 꽤 깔끔하게 운영되고 있다. 원래는 이 구간의 선로 소유자가 유니온 퍼시픽의 전신인 서던 퍼시픽 앞이었는데, 계약을 통해 이관을 받아 현재에 이르고 있다. 다만 태미엔 남쪽으로는 유니온 퍼시픽의 선로를 사용하며, 애초에 수요가 적다보니 거의 운행을 하지 않아 사실 상관은 없는 수준.

향후 계획[편집 | 원본 편집]

캘리포니아 고속철도 계획이 나오면서, 2029년에 캘트레인 본선을 공용하는 형태의 고속철도의 직결 계획이 발표되었다. 현재는 구간별로 복복선인 곳이 있고 아닌 곳이 있지만, 직결 계획 때문에 전 구간 복복선화를 진행할 예정이다. 또, 비전철화 노선이었다보니 전철화 계획도 나왔는데 2020년경에 사전 전철화를 진행할 예정이다. 사전 전철화는 캘트레인 현대화 계획으로 진행되는 것인데, 구체적으로는 전동차의 도입과 시격 단축(현행 평일 피크 타임 기준 시간당 약 4 ~ 5회 → 6회 이상), 고속 운행(선로가 125 mph = 약 200 km/h 급 규격이 되므로 160 km/h 정도로 증속이 예상됨) 등을 진행할 예정이다. 다만 이 계획은 트럼프 정부 들어 트럼프 정부가 민주당세가 강한 캘리포니아 지역 철도 개선에 사용될 철도 예산을 끊어버리기로 잠정 결정됨에 따라 제 시간에 못 맞출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운행 체계 역시 바뀔 예정인데 현재 계획상으로 덤바튼을 넘는 철교가 건설되면 캘트레인이 운영할 예정으로 되어있어 동부 베이 에어리어에도 캘트레인이 진출하게 될 예정이다. 또, 현재 길로이까지의 연장 운행을 장기적으로는 코스트 스타라이트가 정차하는 살리나스역까지 연장할 계획도 잡혀있다.

운행[편집 | 원본 편집]

평일 기준으로, 첨두시에 시간당 약 4 ~ 5회의 열차가 운행된다. 비첨두시나 주말에는 1시간에 1회 운행된다.

평일[편집 | 원본 편집]

비첨두시에는 거의 모든 역에 정차하는 완행 열차(100번대; Local)가 운행된다. 하지만 첨두시에는 완행이 운행되지 않고, 1시간에 1대 꼴로 멘로파크역, 레드우드시티역을 중심으로 하는 구간 급행 2편을 기본으로, 추가적으로 일부 저수요 역만을 건너뛰는 열차가 포함된 급행 열차 등급(200번대; Limited-stop)이 운행된다. 또한 평일 첨두시에 11왕복(오전 오후 각 5.5왕복) 4 ~ 5개역만을 정차하는 특급 열차 베이비 불릿(300번대; Baby Bullet)이 운행된다.

기본적으로는 샌프란시스코산호세만을 왕복하는 열차가 운행되나, 첨두시 운행되는 급행 열차 일부와 베이비 불릿 3왕복(오전 북행, 오후 남행)이 태미엔까지 연장 운행된다. 또, 첨두시 하루 3편(남행 1편은 완행)만이 길로이까지 연장 운행된다.

완행 기준으로 샌프란시스코 ~ 산호세 이동에는 1시간 30분 이상이 소요되며, 급행이 약 1시간 15분, 특급이 1시간 정도만에 양단을 잇는다.

휴일[편집 | 원본 편집]

첫, 막차 시간대도 굉장히 제한적이지만(토요일의 경우는 첫막차 시간대 2편 추가 운행) 기본적으로 편수가 1시간에 1편으로만 제한된다. 휴일에 운행되는 완행 열차는 400번대를 부여받으며, 모든 열차가 샌프란시스코 ~ 산호세 왕복만을 운행한다. 태미엔과 산호세 사이에는 공식 셔틀 버스가 운행되며(시간상으로는 이 쪽이 유리하다), 혹은 VTA 경전철 노선을 이용해 산호세까지 올 수 있다.

특급 열차 베이비 불릿의 주말 서비스(800번대)가 오전과 오후 각각 1왕복씩 해서 하루 2왕복 운행된다.

역 목록[편집 | 원본 편집]

  • 운임은 운임 구역을 나타낸다.
  •  노란색 배경 의 역은 급행 정차역[1]을,  분홍색 배경 의 역은 특급 정차역을 나타낸다.
  • 기울임체로 표시된 역은 특별한 경우에만 정차하는 역을 나타낸다.
  • † 표시가 있는 역은 주중에만 정차하는 역을 나타낸다.
  • ‡ 표시가 있는 역은 주말에만 정차하는 역을 나타낸다.
  • 이외에 기울임체지만 표시가 없는 역들은 임시역처럼 운행되는 역을 나타낸다.
운임 mi 정거장 접속 노선
1 0.2 샌프란시스코 San Fransisco 뮤니 메트로 N, S, T 계통 (4번가 & 킹 스트리트)
1.9 22번가 22nd Street
5.2 베이쇼어 Bayshore
9.3 사우스 샌프란시스코 South San Francisco
11.6 샌브루노 San Bruno
2 13.7 밀브레 Millbrae BART 피츠버그, 리치몬드 계통
15.2 브로드웨이 Broadway
16.3 벌링게임 Burlingame
17.9 샌머테이오 San Mateo
19.1 헤이워드 파크 Hayward Park
20.3 힐스데일 Hillsdale
21.9 벨몬트 Belmont
23.2 샌칼로스 San Carlos
25.4 레드우드시티 Redwood City
3 27.8 애서튼 Atherton
28.9 멘로파크 Menlo Park
30.1 팰로앨토 Palo Alto
30.8 스탠포드 Stanford (스탠포드 대학교 풋볼 경기가 있는 날만 정차)
31.8 캘리포니아 애비뉴 California Avenue
34.1 샌앤토니오 San Antonio
36.1 마운틴뷰 Mountain View VTA 경전철 마운틴뷰-윈체스터선 (902 계통)
38.8 서니베일 Sunnyvale
4 40.8 로렌스 Lawrence
44.7 샌타클래라 Santa Clara 앰트랙 캐피톨 코리더
알타몬트 코리더 익스프레스 (ACE)
46.3 칼리지 파크 College Park (오전 오후 각 2왕복만 정차)
47.5 산호세 디리돈 San Jose Diridon 앰트랙 캐피톨 코리더 · 코스트 스타라이트
알타몬트 코리더 익스프레스 (ACE)
VTA 경전철 마운틴뷰-윈체스터선 (902 계통)
49.1 태미엔 Tamien VTA 경전철 앨럼락-샌타테레사선 (901 계통)
5 52.4 캐피톨 Capitol
55.7 블로섬힐 Blossom Hill
6 67.5 모건힐 Morgan Hill
71.2 샌마틴 San Martin
77.4 길로이 Gilroy

각주

  1. 구간 급행으로 완행 구간에서 정차하는 역이나, 거의 모든 역을 서지만 일부 저수요 역만 통과하는 열차가 정차하는 역은 제외. 즉 급행 구간의 정차역이나 스킵 스탑 수준이 아닌 급행에서 정차하는 역만을 표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