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MW 연속 화재 사건

BMW 연속 화재 사건은 대한민국에서 BMW 520d를 비롯한 BMW의 디젤 차량이 여러 차례 화재를 일으키면서 대규모 리콜이 이루어진 사태이다. 대한민국 안에서 폭스바겐 디젤 게이트 관련 리콜 이후에 최대 규모의 리콜이 이루어졌다.

연쇄 차량화재[편집 | 원본 편집]

2018년에 연이은 화재 사고가 발생하기 전인 2015년 하반기부터 BMW 차량 화재 사고가 연이어 발생한 적이 있었다. [1] 이 BMW 차량 화재는 2018년 들어서 폭염과 맞물리면서 7월에만 11건 등 2018년 7월까지 27건(휘발유 차량 3건)의 화재가 발생하였다. 이로 인해 집단소송까지 준비하는 등 파문이 퍼지고 있다. [2] 화재가 하루 1건 꼴로 빈도가 커지자 8월 6일에는 독일 본사에서 품질 책임자가 급파되어 관련 브리핑을 하는 등 사태 진화에 안간힘을 쓰고 있다.

화재 원인[편집 | 원본 편집]

국토부등 관련 기관 및 전문가들은 화재 원인을 EGR(Exhaust-Gas Recirculation,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 모듈의 이상이 지목되고 있다. EGR에서 냉각수(부동액)가 누출되면서 에텔렌글리콜 성분이 고온의 배기가스와 만나 발화의 불씨로 작용한다는 것이 유력한 화재 원인이다. 제작사인 BMW측도 브리핑을 통해 어느 정도 인정했다.[3]

그러나 국내 일부 전문가들은 EGR 결함외에 차량을 제어하는 소프트웨어의 오류 등 다른 원인을 지목하기도 했지만, BMW측은 부인한 상태이다.[4] 국토교통부는 BMW측의 해명 이후 EGR 결함과 관련된 자세한 자료를 제출하라고 요구하였다.

리콜 결정[편집 | 원본 편집]

잇따른 화재 사고로 인해 소비자의 불만이 커지자 BMW코리아는 2018년 7월 19일에 문제가 된 520d 모델 이외에 다수의 모델에 대해 리콜을 결정했다. 그러나 이후에도 화재 사고가 발생하자 국토교통부는 BMW에 리콜 방침을 요구했고, 결국 BMW코리아는 7월 26일 42개 모델 10만 6000대에 대해 리콜하기로 결정하였다. 리콜 대상은 2011년부터 2016년 사이에 생산된 디젤 모델로 알려졌다.

  • 4월부터 진행된 18개 차종 4만대의 EGR 리콜과는 별도의 작업으로, 해당 리콜을 했더라도 다시 작업해야 한다.
  • 부품 수급 여건상 리콜 작업은 8월 20일에 시작된다. 고객 안전을 위해 7월 27일부터 리콜 차종에 대한 안전 진단을 시행하며, 진단 불합격시 BMW가 대체 렌터카를 제공한다.
  • 안전 진단 불합격 차량(대상 차량의 약 8.5%)부터 작업을 실시한다. 이 때문에 진단 합격 차량의 리콜 스케쥴이 연말로 밀려나는 문제가 있다.
  • 리콜 종료까지 전국 서비스센터를 24/7 체제로 운영한다.

국토교통부는 리콜 대상 차량의 운행자제를 권고했고, 안전진단이 받은 차량이 엔진 화재로 전소하는 등[5] 갤럭시 노트 7의 사례와 유사해져 가고 있다.

논란[편집 | 원본 편집]

  • 리콜에 소극적인 BMW측의 자세
    2018년 여름철에 집중된 연쇄화재 이전부터 매년 꾸준히 520d를 비롯한 디젤모델에서 주행중 화재사건은 발생했었다. 그러나 언론에 대대적인 이슈가 되지 않았던 시기에는 결함원인도 제대로 밝히지 않았고, 피해를 입은 차주들에게 소극적인 보상안을 제시하는 선에서 무마했었고, 결국 쌓이고 쌓여서 2018년에 연쇄화재가 발생하자 그간 BMW측의 소극적인 대응을 참고있던 차주들까지 집단소송을 제기하는 등, 초기에 결함문제를 유야무야 덮으려했던 BMW의 자세에 비난이 거세게 일었다. 연쇄화재가 집중된 2018년 여름에도 언론에 이슈화된 이후에도 소극적인 대응으로 일관하다가 결국 국토교통부 등 정부기관이 관여하는 모습을 보이자, 김효준 BMW코리아 대표가 황급히 공개사과에 나서는 등 사후약방문 식 대응으로 여론은 악화되었다.
  • 불합리한 보상 및 차주들의 불편
    2018년에 집중된 연쇄화재에 관련된 차주들에 대해서는 중고가 보상 및 BMW 차량 구매시 할인 등의 보상안을 제시했으나, 대다수 차주들은 다시는 BMW를 구매하지 않겠다면서 고객이탈을 막기엔 역부족이다. 2018년 이전 피해차주들에게도 이런 형태의 보상안을 제시하는 등 제조사의 결함 자체를 인정하지 않으려는 수준으로 대응했었다. 결국 국토부나 이낙연 국무총리의 언급 등 정부의 개입이 이뤄지자 뒤늦게 리콜결정을 내렸지만, 10만대 이상으로 추정되는 해당 모델들에 대한 원활한 부품수급 문제 및 한정된 공식정비소의 업무량 폭증으로 점검 자체에 오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목포에서 점검을 마친 차량에서 또다시 주행중 화재가 발생하였기에 EGR 결함 외에 다른 원인이 있을지도 모른다는 불안감이 확산되는 추세이며 주요 다중이용시설에서 안전상의 이유로 BMW 차량의 주차를 거부하거나, 별도의 주차공간에 격리하는 페널티를 부여하고 있다. 따라서 리콜 대상 차량을 소유한 차주들은 리콜이 끝날때까지 언제 화재가 발생할지 모른다는 위험을 감내하고 차량을 운행하던지, 아니면 차량운행을 장기간 포기해야하는 악조건을 감당할 수밖에 없다.

기타[편집 | 원본 편집]

  • 징벌적 손해배상제도 부재
    가습기 살균제 사망 사건때 징벌적 손해배상제도 도입이 물위에 떠오른 이후, 이번 사건을 계기로 징벌적 손해배상제도 도입에 대한 여론이 매우 높아진 상황이다. 2018년에 연쇄화재가 집중되어 언론의 집중포화를 당하는 와중에도 정부 기관의 개입이 이뤄지기 이전까지 BMW측은 매우 소극적으로 대응하면서 사고원인을 덮으려 했기 때문이다. 이미 몇몇 차주들은 집단소송을 제기한 상황이고, 더 나아가 미국 등 다른 나라에서 시행중인 징벌적 손해배상에 대한 법률이 강화되어야 한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 중고차 시장의 거부감
    520d 모델은 일명 "강남 소나타"라 불릴정도로 많은 판매량을 기록한 모델이어서 중고차 거래도 비교적 활발히 이뤄지던 모습이었지만, 이번 연쇄화재 사고 이후 일부 중고차 매매단지에서는 아예 입구에 520d 모델의 입차를 거부한다는 현수막을 설치하는 등 보이콧 양상을 보이고 있다.[6] BMW측에서 제시한 보상안중에 피해차주들에게 중고차가를 보상한다는 내용이 있었지만, 이미 중고차 거래시장에서 520d의 인기나 가격이 떨어지는 것은 불보듯 뻔한 상황이다.

관련 문서[편집 | 원본 편집]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