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바뀜
  • 임의 문서
  • 게시판
    위키방자유게시판이슈 트래커
  • 도구
    특수 문서 목록업로드
  • 도움말
    개요위키 문법TeX 문법이슈 트래커
  • 최근 바뀜
  • 최근 토론
  •  
  •  
  •  
  •  
  •  
  •  
  •  
  •  
  •  
  •  
더 보기
  • 신규 사용자분께서는 리브레 위키:환영합니다 필독해주세요.
  • 가입 후 지속적인 기여는 위키에 큰 도움이 됩니다.
  • 로그인이 잘 되지 않을 경우 여기에서 로그인해주세요.
편집토론기록
새로 고침주시여기를 가리키는 문서정보

AMD FX 시리즈

분류:
  • AMD
  • 마이크로프로세서

AMD의 X86 CPU 제품군.

목차

  • 1 개요
  • 2 성능
  • 3 기타
  • 4 각주

1 개요[편집]

AMD에서 페넘 II시리즈 후속작으로 내놓은 CPU이다. 회사를 밀어버린 불도저 마이크로아키텍처 계열 아키텍처를 사용했다. 전작을 만든 엔지니어들이 대부분 퇴사하여 안그래도 ATI 인수 후유증을 겪던 AMD로서는 불안한 시작을 한 세대 교체의 성과를 보여주는 CPU인데, 결과적으로 총체적 난국으로 끝났다. 그래서 불도저 계열 마이크로아키텍처는 FX시리즈로는 2세대까지밖에 나오지 못했다. 그리고 AMD는 AMD RYZEN 시리즈가 나오기 전까지 회사의 존립을 걱정해야 할 지경으로 몰렸다.

2 성능[편집]

답이 없을 정도로 나쁘다

동시기에 나온 인텔의 샌디브릿지와 비교해서 많이 좋지 않다. 심지어 일부 성능은 전작인 페넘 II시리즈에 밀릴 지경이다.

일단 1코어 당 정수 유닛의 수부터 페넘2의 3개에서 2개로 줄었다. 더욱이 FPU 설계가 비효율적인 것이 치명타였는데, 두개의 코어가 한개의 FPU를 교대로 쓰는 CMT구조는 1개의 FPU가 두개의 스레드를 감당해야 하는데, 스케줄링이 유연하지 못해 FPU 유닛자원을 나눠쓰지 못하고 무조건 교대로 스케줄링되어 두개의 FPU가 있는 것처럼 굴러가는 명령어 처리가 안되었다. 캐시는 Write through 방식으로 명령어를 캐시에서 찾을 때마다 오래 대기를 해야 했고, 제작 공정도 전력 효율이 꽝이라 오버클럭시 발열이 심각했다.

이런데도 샌디브릿지를 잡겠다고 설쳤으니 비웃음을 당할만 했다. 1세대인 코드네임 잠베지는 전작인 페넘2에 팀킬 당했고 2세대인 코드네임 비쉐라는 인텔의 i7을 상대해야 경쟁이 될 판에 오버클럭을 해야 간신히 i5에 비볐을 정도. 현재도 쓸만한 수준이 되려면 각종 돈을 부어 메인보드와 쿨러 지출, 냉방비용에 전기세까지 감당해야 해서 암드 특유의 가성비도 찾을 수 없다.

3 기타[편집]

제품 모델 중 FX-8300은 팔병장이란 별명이 있다. 낮은 성능에도 불구하고 오버클럭이 잘 되어 오랜 기간 AMD의 하이엔드 CPU자리를 맡아 붙은 별명이다.

4 각주

  • 이 문서는 2020년 2월 7일 (금) 01:2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 모든 텍스트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운영관련 문의 : ops@librewiki.net | 권리침해 문의 : support@librewiki.net
  • 개인정보 정책
  • 리브레 위키 소개
  • 면책 조항
  • 이용약관
  •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 Powered by MediaWiki
  • Designed by Librewiki

로그인

리브레 위키에 가입하세요 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
다른 방법으로 로그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