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바뀜
  • 임의 문서
  • 게시판
    위키방자유게시판이슈 트래커
  • 도구
    특수 문서 목록업로드
  • 도움말
    개요위키 문법TeX 문법이슈 트래커
  • 최근 바뀜
  • 최근 토론
  •  
  •  
  •  
  •  
  •  
  •  
  •  
  •  
  •  
  •  
더 보기
  • 신규 사용자분께서는 리브레 위키:환영합니다 필독해주세요.
  • 가입 후 지속적인 기여는 위키에 큰 도움이 됩니다.
  • 로그인이 잘 되지 않을 경우 여기에서 로그인해주세요.
편집토론기록
새로 고침주시여기를 가리키는 문서정보

4체액설

분류:
  • 가설
  • 명수 4

B.C 7세기경 사람의 몸은 열,습,건,냉의 성질을 가진 4가지 체액으로 이루어져 있고 열,습,건,냉을 구성 하는 각각의 4체액인 혈액(血液, blood), 황담즙(黃膽汁, yellow bile), 흑담즙(黑膽汁, black bile), 점액(粘液, phlegm)의 네 가지 체액이 인체를 이루는 기본 성분으로, 4체액이 균형 잡힌 상태일때 건강하다는 학설.

4원소설을 주장한 엠페도클레스의 제자들이 처음으로 주장했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4체액설도 4원소설을 근원으로 만들어졌다. 이러한 사상은 중세까지 지속되었고 정설로 자리 잡혔고, 부족해진 체액을 보충하는 음식을 섭취하도록 하는 식이요법을 실쳔하면서 과다 분비 된 체액들을 뽑아내는 것이 중요하였고 그리하여 토하는 약을 먹이거나, 코가 나오게 재채기를 시키거나, 설사하도록 약을 먹이거나, 피를 뽑는 치료법들이 있었다. 중세 페스트가 유행하여 부질없지만열의 체액인 피를 뽑아서 균형을 이루었다.

또한 히포크라테스는  4 체액설을 바탕으로 개인의 성격 특징을 담즙질(Choleric), 다혈질(Sanguine), 우울질(Melancholic), 점액질(Phlegmatic)로 분류하여 사람들의 일상행동을 면밀히 관찰하고 그 특징을 구체적으로 기술함으로서 '4대 기질' 이론으로 수정 발전시켰다. 인류 최초의 성격이론이자 성격 분류체계이다.

4체액설은 체액의 부조화 때문이 아니라 몸 일부분이 다치거나 상해 질병이 생긴다는 사실이 밝혀진 이후 쇠퇴하게 됐다. 원시사회에서 질병을 고치는 일은 무당이나 주술사들이 담당했던 시기인지라 질병이 생기는 이유를 이성적으로 설명하려고 한 최초의 이론이라는 의의가 있다. 또한 4대 기질은 현대에도 존재하는 이론으로 어느 정도는 인정을 받는다. 그러나 사람의 유형을 4가지로 밖에 못나누냐며 비판의 목소리도 크다.

  • 이 문서는 2020년 4월 16일 (목) 09:2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 모든 텍스트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운영관련 문의 : ops@librewiki.net | 권리침해 문의 : support@librewiki.net
  • 개인정보 정책
  • 리브레 위키 소개
  • 면책 조항
  • 이용약관
  •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 Powered by MediaWiki
  • Designed by Librewiki

로그인

리브레 위키에 가입하세요 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
다른 방법으로 로그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