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바뀜
  • 임의 문서
  • 게시판
    위키방자유게시판이슈 트래커
  • 도구
    특수 문서 목록업로드
  • 도움말
    개요위키 문법TeX 문법이슈 트래커
  • 최근 바뀜
  • 최근 토론
  •  
  •  
  •  
  •  
  •  
  •  
  •  
  •  
  •  
  •  
더 보기
  • 신규 사용자분께서는 리브레 위키:환영합니다 필독해주세요.
  • 가입 후 지속적인 기여는 위키에 큰 도움이 됩니다.
  • 로그인이 잘 되지 않을 경우 여기에서 로그인해주세요.
편집토론기록
새로 고침주시여기를 가리키는 문서정보

2016년 11월 대한민국 민중총궐기

분류:
  • 대한민국의 사건
  • 시위
  • 2016년 대한민국
  • 박근혜 정부
  •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숨은 분류:
  • 퍼온 문서
2016년 11월 12일 대한민국 민중총궐기
2016년 박근혜 대통령 퇴진 운동, 2016년 민중총궐기의 일부
날짜 2016년 11월 12일
지역


노동자 대회: 대한민국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울시청광장
범국민 대회:대한민국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울시청광장 청소년 시국선언:대한민국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탑골공원 농민대회:대한민국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남대문 빈민/장애인 대회:대한민국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청계광장

청와대 에워싸기 국민대행진대한민국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원인 최순실 게이트
백남기 사망 사건
박근혜 정부의 각종 사회적 문제
세월호 참사 진상 규명 소홀
역사교과서 국정화에 대한 반대
성과연봉제 반대
목적 박근혜 퇴진
최순실 게이트 관련자 처벌
백남기 사망 사건 책임자 처벌
역사교과서 국정화 폐지
새누리당 해체
등
상태 진행중
시위 당사자
대한민국 대한민국 국민
대한민국 서울지방경찰청
참여 인원
주최측 추산
100만 명 이상[1]
경찰 추산
26만 명 이상
경찰 참여 인원
2만5천명 이상

2016년 11월 대한민국 민중총궐기(2016年 11月 大韓民國 民衆總蹶起)는 2016년 11월 12일부터 2017년 2월 25일 까지 매주 토요일마다 열린 민중총궐기 시위로, 민중총궐기 투쟁본부가 주최하고 있다. 주최측 추산 100만 명 이상, 경찰추산 26만 명 이상이 참여해 1987년 6월항쟁 때보다 더 많은 사람이 참여한 시위로 기록되었다.[1]

목차

  • 1 배경
  • 2 진행
  • 3 주장
  • 4 각주

1 배경[편집]

2016년 11월 12일, 민중총궐기 투쟁본부가 주최할 민중총궐기 집회이다.

최순실 게이트가 터진 후 민중총궐기 투쟁본부는 10월 29일 대규모 촛불집회를 열고[2] 민중총궐기 투쟁본부는 11월 1일부터 12일까지 매일 촛불집회를 열고있으며[3] 12일 민중총궐기를 서울광장에서 열어 박근혜 퇴진을 요구할 예정이다. [4][5]

11월 8일 민주노총은 11월 12일 민중총궐기때 청와대 200m 옆인 청운효자동 주민센터 앞 신교동 교차로까지 행진을 한다고 신고했다. 청와대 100m 이내의 집회·시위만 금지한 집시법과 "집회·시위를 항의의 대상으로부터 떨어뜨리는 것은 집회·시위의 자유를 침해하는 것"이라는 헌법재판소 결정을 근거로 "이번 집회 목표는 박근혜 대통령 퇴진이므로 청와대 인근으로 가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경찰은 너무 많다며 금지통고를 검토중이라고 밝혔다. 이에 민주노총은 금지통고를 하면 법적대응을 한다고 밝혔다.[6] 그러나 민중총궐기 투쟁본부가 주최하는 행진에 참여하기 위해 법적대응을 포기했다.[7]

민중총궐기투쟁본부측은 서울광장에서 출발해 네 군데 경로로 내자로터리(경복궁역 사거리)까지 가는 청와대 포위 행진을 신고했지만 경찰은 안전사고의 위험과 율곡로 소통 문제를 들어 중간까지만 허가한다고 통보한다.[8][9] 이에 투쟁본부측은 가처분 신청을 제출하였다. 결국 법원은 11월 12일 집행정지 가처분 신청을 받아들여 네 군데 경로로 청와대 인근의 경복궁역 까지 행진이 진행되게 되었다.[10] 이와 별개로 유성기업 노조가 주축이 된 유성기업 범대위가 청와대 오체투지 행진을 신청했다가 경찰에 의해 거부당해 가처분신청을 냈는데 법원은 가처분 신청을 받아들여 청와대 앞 행진을 허가하였다.[11] 이들은 오체투지 행진 후 민중총궐기 집회에 합류한다.[12] 또한, 보수단체 회원 500명이 오후 3시 여의도에서 맞불집회를 벌인다. 맞불집회에는 엄마부대와 박 대통령 팬클럽 박근혜를 사랑하는 모임 (박사모)도 참가한다.[13]

이날 민중총궐기 시위에 주최측 추산 100만 명 이상, 경찰추산 26만 명 이상이 참여했다. 또한, 경찰은 2만 5천 명 이상이 참여하였다.[1]

2 진행[편집]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3 주장[편집]

요구사항은 종전의 주장에 박근혜 퇴진이 추가되었다.

4 각주

  1. ↑ 1.0 1.1 1.2 민중총궐기 100만명 돌파…'역대 최다 기록', 뉴시스, 2016년 11월 12일. 참고로 역대 최다 기록은 2016년 12월 3일 시위로 깨졌다.
  2. ↑ 김도형·김단비·김동혁. ““국민인게 부끄러워 매일 저녁 집회”… 촛불, 들불로 번지나”, 2016년 10월 31일 작성. 2016년 10월 31일 확인.
  3. ↑ 이태동·김선엽·김정엽. ““10대부터 60대까지 '최순실 촛불' 켜다”, 2016년 10월 31일 작성. 2016년 10월 31일 확인.
  4. ↑ ​'박근혜 하야' 외칠 촛불집회, 내달 12일까지 매일밤 열린다
  5. ↑ 11월12일 겨눈 ‘촛불집회’…20만 명 목표 채널에이
  6. ↑ 민노총 '12일 민중총궐기' 청와대앞까지 행진 신고(종합),연합뉴스
  7. ↑ 警, 12일 민중총궐기 청와대 앞 행진 사실상 금지,이데일리, 2016년 11월 9일
  8. ↑ 경찰, '청와대 포위 행진' 불허…주최측 "가처분신청 할 것",포커스뉴스,
  9. ↑ "50만~100만 명 모인다"…내일 '역대급' 촛불행진,노컷뉴스
  10. ↑ 법원, 시위대 청와대 주변 행진 허용..경찰 "법원판결 존중"(종합)
  11. ↑ 내일 대규모 주말집회...법원 "청와대 앞 행진 허가",연합뉴스
  12. ↑ 청와대까지 오체투지, 매일노동뉴스
  13. ↑ 오늘 3차 주말 촛불집회 '박근혜 퇴진' 외친다…정국 분수령될듯, 연합뉴스
보기 • 편집
대한민국의 대규모 시위 및 농성
군정기
  • 대구 10·1 사건 (1946년)
  • 제주 4·3 사건 (1947년)
제1공
  • 2·28 대구 학생의거 (1960년)
  • 3·15 마산시위 (1960년)
  • 4·19 혁명 (1960년)
제2공
시위정국
제3공
  • 6·3 항쟁 (1964년)
  • 광주대단지 사건 (1971년)
제4공
  • YH 사건 (1979년)
  • 부마민주항쟁 (1979년)
  • YMCA 위장결혼식 사건 (1979년)
  • 서울역 회군 (1980년)
  • 사북 사건 (1980년)
  • 5∙18 광주 민주화 운동 (1980년)
제5공
  • 5·3 인천 사태 (1986년)
  • 10∙28 건국대 항쟁 (1986년)
  • 6월 항쟁 (1987년)
  • 노동자 대투쟁 (1987년)
제6공
노태우 정부
  • 동의대학교 사건 (1989년)
  • 분신정국 (1991년)
김영삼 정부(문민 정부)
  • 연세대 사태 (1996년)
김대중 정부(국민의 정부)
  • 여중생 압사 사건 촛불 시위 (2002년)
노무현 정부(참여 정부)
  • 노무현 대통령 탄핵 반대 촛불 시위 (2004년)
  • 대추리 사태 (2006년)
이명박 정부(실용 정부)
  • 미국 쇠고기 수입 반대 촛불 시위 (2008년)
  • 쌍용차 사태 (2009년)
  • 용산 참사 (2009년)
  • 한진중공업 희망버스 (2011년)
박근혜 정부
  • 밀양 송전탑 사건 (2013년)
  • 국정원 선거개입 항의 (2013년)
  • 철도노조 파업 (2013년)
  • 민주노총 총파업 (2013년)
  • 민중총궐기 (2015년~2017년)
  • 2016년 이화여자대학교 사태 (2016년)
  • 최순실 국정개입과 부정부패 항의 (2016년)
  • 박근혜 대통령 퇴진 운동 (2016년~2017년)
보기 • 편집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배경 및 관련 사건
  •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선거 한나라당 경선
  • 평창 동계 올림픽 개입 의혹
  • 창조경제 개입 의혹
  • 초이노믹스 개입 의혹
  • 정윤회 국정 개입 의혹
  • 산케이 신문 지국장 명예훼손 혐의 사건
  •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사건
  • 2016년 이화여자대학교 사태
관련 인물
최태민 일가
  • 최태민
  • 최순득
  • 최서원(최순실)
  • 정윤회
  • 장시호
  • 정유라
  • 조순제
청와대 관계자
  • 박근혜
  • 우병우
  • 안종범
  • 김기춘
  • 이재만
  • 정호성
  • 안봉근
  • 윤전추
  • 조응천
  • 박관천
  • 이원종
  • 김상률
정치 관계자
  • 김종
  • 김종덕
  • 정운호
  • 황교안
  • 최경락
  • 김재원
  • 정홍원
  • 김희정
  • 이영선
  • 조윤선
  • 강은희
  • 김수남
  • 유진룡
  • 이석수
  • 김병준
문화예술교육계 관계자
  • 고영태
  • 정현식
  • 린다 김
  • 차은택
  • 정아름
  • 최경희
  • 이경재
연관 단체
  • 미르재단
  • K스포츠재단
  • 더블루K
  • 대한구국선교회
  • 체육인재육성재단
  • 전국경제인연합회
  • 한국동계스포츠영재센터
  • 팔선녀
반응
  • 박근혜 대통령 퇴진 운동
  • 시국선언
  • 풍자
  • #그런데_최순실은
관련 주제
  • 박근혜 정부
    • 박근혜에 대한 비판
    • 지지율
  • 영세교
  • 세월호 7시간 논란
  • 헬조선
  • 2017년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
Wikipedia-ico-48px.png
이 문서는 한국어 위키백과의 2016년 11월 대한민국 민중총궐기 문서 17573905판에서 분기하였습니다.
  • 이 문서는 2018년 4월 11일 (수) 00:5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 모든 텍스트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운영관련 문의 : ops@librewiki.net | 권리침해 문의 : support@librewiki.net
  • 개인정보 정책
  • 리브레 위키 소개
  • 면책 조항
  • 이용약관
  •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 Powered by MediaWiki
  • Designed by Librewiki

로그인

리브레 위키에 가입하세요 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
다른 방법으로 로그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