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미국 대통령 선거는 2016년 11월 8일 치뤄진 미국의 대통령 선거이다. 버락 오바마는 2012년 선거에서 이미 재선하였기 때문에, 이 선거부터 더 이상 출마가 불가능하다.
22차 수정헌법에 의하면 부통령직의 경우에도 2번까지만 연임할 수 있기에 현직 부통령 조 바이든의 경우는 대통령직에는 출마가 가능하지만, 부통령으로는 다시 출마할 수 없다.
선거 결과 공화당의 도널드 트럼프가 민주당 힐러리 클린턴 등 다른 후보들을 꺾고 제45대 미국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주요 일정[편집 | 원본 편집]
2016년[편집 | 원본 편집]
- 7월 18일 ~ 7월 21일: 공화당 전당대회
- 7월 25일 ~ 7월 28일: 민주당 전당대회
- 9월 26일: 1차 미국 대통령 선거 토론회
- 10월 4일: 양당 부통령 후보 토론회
- 10월 9일: 2차 미국 대통령 선거 토론회
- 10월 19일: 3차 미국 대통령 선거 토론회
- 11월 8일: 일반 유권자에 의한 투표 및 개표
- 12월 19일: 선거인단에 의한 투표
2017년[편집 | 원본 편집]
입후보자[편집 | 원본 편집]
민주당[편집 | 원본 편집]
지명 후보[편집 | 원본 편집]
2016년 미국 대통령 선거 민주당 대통령 · 부통령 후보 | |||||||||||||||||||||||||||||
힐러리 클린턴 | 팀 케인 | ||||||||||||||||||||||||||||
---|---|---|---|---|---|---|---|---|---|---|---|---|---|---|---|---|---|---|---|---|---|---|---|---|---|---|---|---|---|
대통령 후보 | 부통령 후보 | ||||||||||||||||||||||||||||
67대 국무장관 (2009–2013) |
버지니아주 선출 상원의원 (2013–"현직") | ||||||||||||||||||||||||||||
선거 캠프 | |||||||||||||||||||||||||||||
[1][2][3] |
입후보자[편집 | 원본 편집]
2016년 미국 대통령 선거 민주당 예비경선 주요 후보 | |||||||||||||||||||||||||||||
---|---|---|---|---|---|---|---|---|---|---|---|---|---|---|---|---|---|---|---|---|---|---|---|---|---|---|---|---|---|
버니 샌더스 | 마틴 오맬리 | 링컨 체이피 | 짐 웨브 | 로런스 레시그 | |||||||||||||||||||||||||
2016년 2월 1일 후보사퇴 |
2015년 10월 23일 후보사퇴 |
2015년 10월 20일 후보사퇴 |
2015년 11월 2일 후보사퇴 |
공화당[편집 | 원본 편집]
지명 후보[편집 | 원본 편집]
2016년 미국 대통령 선거 공화당 대통령 · 부통령 후보 | |||||||||||||||||||||||||||||
도널드 트럼프 | 마이크 펜스 | ||||||||||||||||||||||||||||
---|---|---|---|---|---|---|---|---|---|---|---|---|---|---|---|---|---|---|---|---|---|---|---|---|---|---|---|---|---|
대통령 후보 | 부통령 후보 | ||||||||||||||||||||||||||||
트럼프그룹 CEO (1971–"현직") |
50대 인디애나 주지사 (2013–"현직") | ||||||||||||||||||||||||||||
선거 캠프 | |||||||||||||||||||||||||||||
[4][5][6] |
입후보자[편집 | 원본 편집]
2016년 미국 대통령 선거 공화당 예비경선 주요 후보 | |||||||||||||||||||||||||||||
---|---|---|---|---|---|---|---|---|---|---|---|---|---|---|---|---|---|---|---|---|---|---|---|---|---|---|---|---|---|
테드 크루즈 | 랜드 폴 | 마르코 루비오 | 벤 카슨 | 칼리 피오리나 | 마이크 허커비 | 릭 샌토럼 | 조지 퍼타키 | ||||||||||||||||||||||
2016년 5월 4일 후보사퇴 |
2016년 2월 3일 후보사퇴 |
2016년 3월 15일 후보사퇴 |
2016년 3월 4일 후보사퇴 |
2016년 2월 10일 후보사퇴 |
2016년 2월 1일 후보사퇴 |
2016년 2월 3일 후보사퇴 |
2015년 12월 29일 후보사퇴 | ||||||||||||||||||||||
린지 그레이엄 | 릭 페리 | 젭 부시 | 보비 진덜 | 크리스 크리스티 | 스콧 워커 | 존 케이식 | 짐 글리모어 | ||||||||||||||||||||||
2015년 12월 21일 후보사퇴 |
2015년 9월 11일 후보사퇴 |
2016년 2월 20일 후보사퇴 |
2015년 11월 17일 후보사퇴 |
2016년 2월 10일 후보사퇴 |
2015년 9월 21일 후보사퇴 |
2016년 5월 4일 후보사퇴 |
2016년 2월 12일 후보사퇴 |
제3당[편집 | 원본 편집]
자유당과 미국 녹색당을 비롯해 양당 이외의 정당(제3당)이나 무소속의 후보도 입후보하고 있다.
미국 자유당[편집 | 원본 편집]
2016년 미국 대통령 선거 자유당 대통령 · 부통령 후보 | |||||||||||||||||||||||||||||
게리 존슨 | 윌리엄 웰드 | ||||||||||||||||||||||||||||
---|---|---|---|---|---|---|---|---|---|---|---|---|---|---|---|---|---|---|---|---|---|---|---|---|---|---|---|---|---|
대통령 후보 | 부통령 후보 | ||||||||||||||||||||||||||||
29대 뉴멕시코 주지사 (1995–2003) |
68대 매사추세츠 주지사 (1991–1997) | ||||||||||||||||||||||||||||
선거 캠프 | |||||||||||||||||||||||||||||
- 둘 모두 공화당 출신의 정치가다.
미국 녹색당[편집 | 원본 편집]
2016년 미국 대통령 선거 녹색당 대통령 · 부통령 후보 | |||||||||||||||||||||||||||||
질 스타인 | 아자무 바라카 | ||||||||||||||||||||||||||||
---|---|---|---|---|---|---|---|---|---|---|---|---|---|---|---|---|---|---|---|---|---|---|---|---|---|---|---|---|---|
대통령 후보 | 부통령 후보 | ||||||||||||||||||||||||||||
메사추세츠주 렉싱턴의 내과의사 | 워싱턴 D.C.의 인권운동가 | ||||||||||||||||||||||||||||
선거 캠프 | |||||||||||||||||||||||||||||
[9][10] |
미국 헌법당[편집 | 원본 편집]
2016년 미국 대통령 선거 헌법당 대통령 · 부통령 후보 | |||||||||||||||||||||||||||||
대럴 캐슬 | 스콧 브래들리 | ||||||||||||||||||||||||||||
---|---|---|---|---|---|---|---|---|---|---|---|---|---|---|---|---|---|---|---|---|---|---|---|---|---|---|---|---|---|
대통령 후보 | 부통령 후보 | ||||||||||||||||||||||||||||
테네시주 멤피스의 변호사 | 유타주의 사업가 | ||||||||||||||||||||||||||||
선거 캠프 | |||||||||||||||||||||||||||||
[11] |
독립 후보[편집 | 원본 편집]
에번 맥뮬린[편집 | 원본 편집]
2016년 미국 대통령 선거 미국 하원 공화당 의원총회 독립 후보 | |||||||||||||||||||||||||||||
에번 맥뮬린 | 민디 핀 | ||||||||||||||||||||||||||||
---|---|---|---|---|---|---|---|---|---|---|---|---|---|---|---|---|---|---|---|---|---|---|---|---|---|---|---|---|---|
대통령 후보 | 부통령 후보 | ||||||||||||||||||||||||||||
미국 하원 공화당 의원총회 최고정책이사(2015–2016)[12] | 권한 위임 여성 대통령 | ||||||||||||||||||||||||||||
선거 캠프 | |||||||||||||||||||||||||||||
[12] |
로런스 코틀리코프[편집 | 원본 편집]
2016년 미국 대통령 선거 대학교 교수 독립 후보 | |||||||||||||||||||||||||||||
로런스 코틀리코프 | 에드워드 리머 | ||||||||||||||||||||||||||||
---|---|---|---|---|---|---|---|---|---|---|---|---|---|---|---|---|---|---|---|---|---|---|---|---|---|---|---|---|---|
대통령 후보 | 부통령 후보 | ||||||||||||||||||||||||||||
보스턴 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 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 경제학과 교수 | ||||||||||||||||||||||||||||
선거 캠프 |
미국 개혁당[편집 | 원본 편집]
2016년 미국 대통령 선거 개혁당 대통령 · 부통령 후보 | |||||||||||||||||||||||||||||
로키 드 라 푸엔테 | 마이클 스타인버그 | ||||||||||||||||||||||||||||
---|---|---|---|---|---|---|---|---|---|---|---|---|---|---|---|---|---|---|---|---|---|---|---|---|---|---|---|---|---|
대통령 후보 | 부통령 후보 | ||||||||||||||||||||||||||||
캘리포니아주의 비즈니스맨 | 플로리다주의 변호사 | ||||||||||||||||||||||||||||
선거 캠프 | |||||||||||||||||||||||||||||
![]() | |||||||||||||||||||||||||||||
[13] [14] |
기타 정당[편집 | 원본 편집]
정당 | 후보 | 경력 | 지역기반 |
---|---|---|---|
미국당 | 톰 호플링 | 활동가 | 아이오와주 |
독립미국당 | 팔리 앤더슨 | 활동가 | 유타주 |
영양당 | 로드 실버 | 레스토랑 경영자 | 뉴저지주 |
사회주의 해방당 | 글로리아 라 리바 | 활동가 2008년 사회주의 해방당 대통령 후보 |
뉴멕시코주 |
금주당 | 제임스 헤지스 | 전 펜실베이니아주 풀턴 카운티 톰슨 과세조정인 | 펜실베이니아주 |
미국 재향 군인당 | 크리스 케이스턴 | 신뢰성 공학자 | 텍사스주 |
무소속[편집 | 원본 편집]
전 뉴욕시장으로 블룸버그 L.P.사 창업자 마이클 블룸버그가 무소속 입후보를 검토했었지만 2016년 3월 7일에 입후보를 단념했음을 표명했다. 블룸버그는 2016년 7월 27일에 클린턴 지지를 선언했다.
민주당 예비경선 입후보를 표명했었던 하버드 대학 교수 로런스 레시그, 자유당 입후보를 검토했었던 전 미네소타 주지사 제시 벤투라의 무소속 입후보도 여러 매체에서 평판받았다.
후보자 | 경력 | 지역 기반 | 출마표명 |
---|---|---|---|
![]() 댄 빌저리언 |
프로 포커 선수 | 캘리포니아 | 2015년6월 25일 |
![]() 켄 필즈 |
기업가, 환경 활동가 | 뉴욕주 | 2015년 11월 30일 |
![]() 테리 존스 |
도브 월드 아웃리치 센터 목사 | 2013년 7월 | |
![]() 에반 맥멀린 |
전 CIA 직원 | 유타 | 2016년 8월 8일 |
멜린 밀러 |
영화감독 | 테네시 | 2015년 7월 |
![]() 조 슈라이너 |
화가 | 오하이오 | 2014년 10월 |
![]() 가이 슈워츠 |
음악가 | 텍사스 | 2015년 8월 18일 |
![]() 론 화이트 |
희극 배우 배우 |
2015년 11월 11일 | |
로비 웰스 |
전 서배너 주립 대학교 축구 스포츠 감독 | 노스캐롤라이나 | 2012년 12월 2016년 3월 9일 |
이외에도 래퍼 와카 플로카 플레임, 성우 테드 윌리엄스도 입후보했었지만 각각 사퇴했다. 또한 존 맥아피는 “사이버 정당”을 결성해 무소속 입후보를 표명했었다. 그 후 자유당 출마를 모색하는데 지명은 얻지 못했다.
선거 결과[편집 | 원본 편집]
후보 | 소속 정당 | 총득표 | 총득표율 | 선거인 득표 | 선거인 득표율 | 결과 |
---|---|---|---|---|---|---|
힐러리 클린턴 |
민주당 | |||||
도널드 트럼프 |
공화당 | |||||
대럴 캐슬 |
헌법당 | |||||
게리 존슨 |
자유당 | |||||
질 스타인 |
녹색당 | |||||
에번 맥뮬린 |
무소속 |
공화당 후보로 출마한 도널드 트럼프가 민주당 후보로 출마한 힐러리 클린턴을 꺾고 당선되었다. 그러나, 도널드 트럼프는 총 득표수에서는 힐러리 클린턴보다 260만 표가량 뒤졌으나, 트럼프가 306명의 선거인단을 확보하면서 승리해 대통령에 당선됐다.[15] 힐러리는 아무래도 많은 선거인단이 배정된 캘리포니아주에서 승리한 반면, 트럼프는 선거인단 수가 적게 배정된 중부 지역에서 대거 승리하며 이 지역의 선거인단을 독식한 것이 승패에 영향을 끼쳤다는 분석이 많다.
주(州)별 통계[편집 | 원본 편집]
선거인 투표 비례[편집 | 원본 편집]
같이 보기[편집 | 원본 편집]
- 샤이 토리 팩터 VS 브래들리 효과
- 침묵의 나선(이론)
- 정치적 올바름(PC) - 미국 기득권 언론들이 과도하게 PC를 강조해, '아웃사이더 정치인'에 불과했던 도널드 트럼프의 지지율이 급등하는 계기가 되었다. 한국언론에서는 고의적으로 거의 보도하지 않았었다.
각주
- ↑ Chozick, Amy. “Hillary Clinton Announces 2016 Presidential Bid”. 2015년 4월 12일 확인.
- ↑ Karni, Annie (2015년 4월 12일). Hillary Clinton formally announces 2016 run. 《Politico》. 2015년 4월 18일에 확인.
- ↑ Hillary Rodham Clinton FEC filing. 《FEC》 (2015년 4월 13일). 2015년 4월 13일에 확인.
- ↑ Donald Trump is running for president. Business Insider (2015년 6월 16일). 2015년 6월 16일에 확인.
- ↑ Donald Trump announces presidential bid. 《The Washington Post》 (2015년 6월 16일). 2015년 6월 16일에 확인.
- ↑ Donald Trump FEC filing. FEC.gov (2015년 6월 22일). 2015년 6월 24일에 확인.
- ↑ Collins, Eliza (2016년 1월 6일). Libertarian Gary Johnson launches presidential bid. 《Politico》. 2016년 1월 6일에 확인.
- ↑ "Gary Johnson FEC filing", FEC.gov.
- ↑ Exclusive: Green Party's Jill Stein Announces She Is Running for President on Democracy Now!. Democracy Now! (2015년 6월 22일). 2016년 5월 18일에 확인.
- ↑ Green Party candidate Jill Stein announces VP running mate (2016년 8월 1일). 2016년 8월 1일에 확인.
- ↑ Constitution Party Nominates Darrell Castle and Scott Bradley (2016년 4월 16일). 2016년 8월 23일에 확인.
- ↑ 12.0 12.1 Anti-Trump Republican Launching Independent Presidential Bid. BuzzFeed. 2016년 8월 8일에 확인.
- ↑ Winger, Richard (2016년 9월 1일). As Expected, Rocky De La Fuente’s American Delta Party Nominates Him for President. Ballot Access News. 2016년 10월 21일에 확인.
- ↑ Winger, Richard (2016년 8월 9일). Reform Party Nominates Rocky De La Fuente for President. 《Ballot Access News》. 2016년 9월 30일에 확인.
- ↑ 美대선 '선거인단 배신투표'에 촉각…트럼프 불복 선언 잇따라, 연합뉴스, 2016.1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