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편집 | 원본 편집]
2년차 징크스, 혹은 소포모어 징크스는 스포츠에서 신인 선수가 프로선수로 데뷔한 지 2년차에 접어들었을 때 첫 해보다 성적이 부진한 현상을 가리키는 말이다. 신인 때 주목을 받아서 열심히 하다가 2년차 때에 긴장이 풀려서 성적이 떨어진다든지 아니면 데뷔 해애 무리해서 2년차에 접어들었을 때 부상 후유증을 겪는 등 이런 저런 이유로 2년차일 때 성적이 떨어지는 현상을 의미한다.
특히 3년차 이상일 때 데뷔할 때 기록했던 우수한 스탯을 회복한 경우에 자주 언급된다. 이 경우는 2년차 때 평균 이하의 스탯을 기록해서 2년차 징크스가 두드러진다.
실체[편집 | 원본 편집]
표본이 워낙 많다보니 2년차에 더 뛰어난 활약을 보이는 선수들도 많이 있으며, 단지 신인 때 데뷔한 선수들은 데뷔 시즌에 활약이 우수하면 주목을 많이 받다보니 2년차 때에 부진한 것이 잘 드러나는 현상일 뿐이다. 실제로 미국 메이저리그의 사례를 연구한 결과 2년차 징크스가 통계적으로 보편적인 현상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1]
유명한 사례[편집 | 원본 편집]
- 박진만 - 데뷔 첫 해인 1996년 평균타율 0.283에 장타율 4할로 유격수 유망주로 부각되었으나 데뷔 2년차인 1997년에 주전 유격수 최저타율인 0.185를 기록했다. 이후 1998년부터 타격지표가 평균적으로 향상되었다.
유사한 용어[편집 | 원본 편집]
스포츠가 아닌 영화 같은 다른 소재에서 첫 편에서 호평을 받다가 속편이 실적상이나 평론상으로 부진한 경우에도 "소포모어 징크스"라고 부른다. 원작 넘어서지 못하는 속편을 가리키는 말로도 간혹 사용된다.
한편 원작과 그 후속작이 성공을 거두었지만 3번째 작품이 실패하는 경우에는 3의 저주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역시 N번째 작품이 실패하는 경우 N의 저주라는 명칭을 붙이기도 한다.
- ↑ 윤영필, 《2년차 징스크의 실체》,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2005년 vol.16, no.2, pp. 103-114 (12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