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바뀜
  • 임의 문서
  • 게시판
    위키방자유게시판이슈 트래커
  • 도구
    특수 문서 목록업로드
  • 도움말
    개요위키 문법TeX 문법이슈 트래커
  • 최근 바뀜
  • 최근 토론
  •  
  •  
  •  
  •  
  •  
  •  
  •  
  •  
  •  
  •  
더 보기
  • 신규 사용자분께서는 리브레 위키:환영합니다 필독해주세요.
  • 가입 후 지속적인 기여는 위키에 큰 도움이 됩니다.
  • 로그인이 잘 되지 않을 경우 여기에서 로그인해주세요.
편집토론기록
새로 고침주시여기를 가리키는 문서정보

180-189

분류:
  • 수
⇦
170-179
180-189
190-199
⇨

자연수 180부터 189까지의 숫자에 관한 문서이다.

목차

  • 1 180
  • 2 181
  • 3 182
  • 4 183
  • 5 184
  • 6 185
  • 7 186
  • 8 187
  • 9 188
  • 10 189

1 180[편집]

  • 22×32×5로 소인수분해되며 약수는 1, 2, 3, 4, 5, 6, 9, 10, 12, 15, 18, 20, 30, 36, 45, 60, 90, 180 모두 18개이다.
  • 자신보다 작은 어떤 수보다 약수가 많은 고등 합성수(highly composite number)이다.
  • 여섯 개의 연속된 소수의 합이며(180=19+23+29+31+37+41) 또한 여덟 개의 연속된 소수의 합이다(11+13+17+19+23+29+31+37).
  • 반원의 중심각은 180도이다.
  • 1부터 24까지 오일러 피 함수 φ(x)의 합은 180이다.
  • 다트 경기에서 1회(3개 회살) 최대로 득점할 수 있는 점수이다. 20 트리플(60)을 3회 맞추면 180점이 얻어진다.
  • 양궁 집중 종목(clout archery, 멀리 떨어진 바닥에 깃발을 꽂고 깃발에서 가깝게 쏘면 점수를 추가하는 방식)남자부에서 표적의 거리가 사수로부터 180야드이다.

2 181[편집]

  • 42번째 소수이며, 179와 쌍둥이 소수(twin prime)를 이룬다.
  • 뒤로 읽어도 수가 같은 대칭수(Palindrome)이다.
  • 글자체에 따라 위에서 읽어도 181이 되는 스트로보그래마틱 수(strobogrammatic number)이다.
  • 중심오각수(Central Pentagonal Number)이다.
  • 두 연속된 제곱수의 합(92+102)이자 다섯 연속된 소수의 합(181=29+31+37+41+43)이다.

3 182[편집]

  • 2×7×13으로 소인수분해되며, 약수는 1,2,7,13,14,26,91,182 모두 8개이다.
  • 연속된 두 수 13,14의 곱이다.
  • φ(n)=182인 n은 없다.

4 183[편집]

  • 3×61로 소인수분해되며, 약수는 1,3,61,183 모두 4개이다.
  • 원소 13인 유한체 [math]\mathbb{F}_13[/math]에 대해 사영평면(Projective Plane)을 만들 경우 점의 갯수는 183개가 된다.
  • 오일러 피 함수 φ(n)에 대해 i번 합성 φi(n)=φ˚φ˚...˚φ(n)에 대해 [math]n=\sum_{i=1}^{c+i}\phi^i(n)[/math] ([math]\phi^c(n)=2[/math]) 조건이 성립하는 완전 토션트 수(Perfect totient number)이다.

5 184[편집]

  • 23×23으로 소인수분해되며, 약수는 1,2,4,8,23,46,92,184 모두 8개이다. 즉 약수의 숫자가 자신을 나누는 수이다.
  • 4개의 연속된 소수의 합(184=41+43+47+53)이다.

6 185[편집]

  • 5×37로 소인수분해되며, 약수는 1,5,37,185 모두 4개이다.
  • 두 가지 방법으로 두 제곱수의 합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또 두 가지 방법으로 두 제곱수의 차로 표현할 수 있다. 즉 185=132+42=112+82=212-162=932-922

7 186[편집]

  • 2×3×31로 소인수분해되며, 약수는 1,2,3,6,31,62,93,186으로 모두 8개이다.
  • φ(n)=186인 n은 없다.
  • 평년의 경우 그레고리 력에서 날짜가 홀수인 날은 1년 365일 중 186(=7×16+4×15+14)일이다.

8 187[편집]

  • 11×17로 소인수분해되며, 약수는 1,11,17,187 4개이다.
  • Self Number로 어떠한 n에 대해서도 n과 n의 각 자리수의 합이 187인 숫자 n은 존재하지 않는다.
  • 3개의 연속된 소수(187=59+61+67)의 합이자 9개의 연속된 소수(187=7+11+1317+19+23+29+31+37)의 합이다.
  • 윤년의 경우 그레고리 력에서 날짜가 홀수인 날은 1년 366일 중 187일이다.
  •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 경찰들이 살인 사건이 일어났을시 사용하는 암호이다.
Ambox move.png
이 문서의 전체 혹은 일부는 187 문서의 541161판에서 가져왔습니다.


9 188[편집]

  • 22×47로 소인수분해되며, 약수는 1,2,4,47,94,188 모두 6개이다.
  • 쾌락수(Happy number)로 각 자리수의 제곱의 합의 함수를 이용해서 반복할 경우 최종적으로 1이 유도된다.
  • 불가촉 수로 어떤 자연수 n에 대해 n의 진약수의 합이 188인 수는 존재하지 않는다.

10 189[편집]

  • 33×7로 인수분해되며, 약수는 1,3,7,9,21,27,63,189 모두 8개이다.
  • 중심 정육면체수(Centered Cube Number, 189=43+53)이다. 즉 연속된 세제곱수의 합.
  • 칠각수(Heptagonal Number)이다.
  • 이진법(101111012), 이십진법(9920), 26진법(7726), 그리고 62진법(3362)에서 대칭수가 된다.
  • 이 문서는 2020년 2월 17일 (월) 09:3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 모든 텍스트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운영관련 문의 : ops@librewiki.net | 권리침해 문의 : support@librewiki.net
  • 개인정보 정책
  • 리브레 위키 소개
  • 면책 조항
  • 이용약관
  •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 Powered by MediaWiki
  • Designed by Librewiki

로그인

리브레 위키에 가입하세요 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
다른 방법으로 로그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