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수 170부터 179까지의 숫자에 관한 문서이다.
1 170[편집]
- 2×5×17로 소인수분해되며 약수는 1,2,5,10,17,34,85,170 모두 8개이다.
- 오일러 피 함수값(φ(170)=64)과 약수의 합(σ(170)=324) 모두 제곱수가 되는 가장 작은 자연수이다. 하지만 φ(n)=170인 자연수 n은 존재하지 않는다.
- 수도권 전철 1호선 봉명역(P170)의 역번호이다.
2 171[편집]
- 32×19으로 소인수분해되며, 약수는 1,3,9,19,57,171 모두 6개이다.
- 뒤로 읽어도 수가 같은 회문수(Palindrome)이다.
- 18번째 삼각수이며, 13각수이다.
- 수도권 전철 1호선 쌍용역(P171)의 역번호이다.
- 일본 재해용 전언판의 ARS 단축번호다.
3 172[편집]
- 22×43으로 소인수분해되며, 약수는 1,2,4,43,86,172 모두 6개이다.
- 6진법으로 표현하면 444로 렙디지트가 된다.
- 수도권 전철 1호선 아산역(P172)의 역번호이다.
4 173[편집]
- 40번째 소수이며, 또한 앞 뒤의 소수(167,179)의 중간값(balanced prime)이다.
- 소피 제르멩 소수로 173×2+1=347 역시 소수이다.
- 가우스 환 [math]\mathbb{Z}[i][/math]상에서는 (2+13i)(2-13i)로 인수분해되나 아이젠스타인 환[math]\mathbb{Z}[\zeta_3][/math] 상에서는 소수가 된다.
- 3진법으로는 20102, 9진법으로는 212로 회문수가 된다.
5 174[편집]
- 2×3×29로 소인수분해되며, 약수는 1,2,3,6,29,58,87,174 모두 8개이다.
- φ(n)=174를 만족하는 자연수 n은 없다.
- 병무청 신체검사에서 대한민국 남성들의 평균키는 85년생 이후 대략 174cm로 측정된다.
6 175[편집]
- 52×7로 소인수분해되며, 약수는 1,5,7,25,35,175 모두 6개이다.
- 십각수이다.
- 7×7 마방진에서 가로/세로/대각선 7개 숫자의 합이다.
- 175=11+72+53 공식이 성립한다.
7 176[편집]
- 24×11로 소인수분해되며, 약수는 1,2,4,8,11,16,22,44,88,176으로 모두 10개이다.
- 반완전수(semiperfect number)이다. 정확히 말하자면 1+2+8+11+22+44+88=176.
- 오각수이자 팔각수이다.
- 숫자 15의 파티션의 갯수는 176가지이다.
8 177[편집]
- 3×59로 소인수분해되며, 약수는 1,3,59,177 3개이다.
- 레이랜드 수(Leyland Number, ab+ba)로, 177=27+72이다.
- 이진법에서 0의 개수와 1의 개수가 같은 수이다. 177=10110001(2)
- 소수로 구성된 마방진에서 변의 합이 177이다.
[math]\begin{bmatrix} 17&89&71 \\ 113&59&5 \\ 47&29&101\end{bmatrix}[/math]
9 178[편집]
- 2×89로 소인수분해되며, 약수는 1,2,89,178 모두 4개이다.
- 제곱수의 합이다. 즉 178=132+32
- 6,7,8진법에서 회문수(palindromic)이다. 즉, 178=4546=3437=2628.
10 179[편집]
- 41번째 소수이다. 또한 가우스 환 [math]\mathbb{Z}[i][/math]상에서나 아이젠스타인 환[math]\mathbb{Z}[\zeta_3][/math] 상에서나 소수가 된다.
- 181과 함께 쌍둥이 소수(twin prime)를 형성한다.ㅏ
- 10진법에 대해 1/179의 순환마디가 정확히 178이 되는 Full-rephend 소수이다.
- 89*2+1=179이므로 안전소수(Safe Prime, 소피 제르멩 소수의 역)가 되면서 또한 소피 제르멩 소수가 된다.
- 그레고리 력에서 1년 365일(혹은 366일) 중 179일의 날짜가 짝수이다. (15*11+14=179)
- 2진법부터 177진법까지 어느 진법으로도 회문수(palindromic number)가 되지 않는 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