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수 150부터 159까지의 숫자에 관한 문서이다.
1 150[편집]
- 2×3×52로 소인수분해되며 약수는 1,2,3,5,6,10,15,25,30,50,75,150이다.
- 8개의 연속된 소수의 합이다.
- 6(1+5+0)이 150의 약수이므로 하샤드 수이다.
- 150 누와는 소행성대의 소행성이다.
- 5×5×5 큐브의 사각형 수는 150개다.[1]
2 151[편집]
- 36번째 소수이며, 149와 함께 쌍둥이 소수를 이룬다.
- 뒤로 읽어도 수가 같은 회문수(Palind이다.
- 체 이론(Sieve Theory)에서 행운수(Lucky Number) 중 하나이다.
3 152[편집]
- 23×19로 소인수분해되며, 약수는 1,2,4,8,19,38,76,152이다.
- 네 개의 연속된 소수 37+41+43+47의 합이다.
- 어떠한 자연수 n과 오일러 서로소 함수 φ에 대해 φ(n)=152가 없다.(Non-totient Number)
4 153[편집]
- 32×17로 소인수분해되며, 약수는 1,3,9,17,51,153이다.
- 17번째 삼각수이며, 또한 처음 다섯 계승수의 합 (153=1!+2!+3!+4!+5!)이다.
- 3제곱에 대해 나르시스즘 수가 된다. 즉 153=13+53+33.
- 요한복음서 21장에서 예수의 부활 후에 제자들이 예수를 만나기 전에 물고기를 잡은 수가 153마리이다.
- 볼펜 모나미 153 - 실제로 여기서 유래한 이름.
5 154[편집]
- 2×7×11로 소인수분해되며, 약수는 1,2,7,11,14,22,77,154이다.
- 3개의 소인수의 곱이며, 즉 스페닉 수(Sphenic Number)가 된다.
- 구각수이다.
- 0!=1로 놓을 때 처음 여섯 계승의 수의 합이다. 즉 154=0!+1!+2!+3!+4!+5!
6 155[편집]
- 5×31로 소인수분해되며, 준소수(semiprime)로 약수는 1,5,31,155이다.
- 155의 소인수인 5와 31 사이의 모든 소수의 합은 155이다.
7 156[편집]
- 22×3×13으로 소인수분해되며, 약수는 1,2,3,4,6,12,13,26,39,52,78,156이다.
- 진약수의 합이 자기 자신보다 더 커지는 과잉수(abundant number)이며, 연속된 두 자연수(12,13)의 곱(Pronic number)이다.
- 약수의 수(τ(156)=12)가 자신을 나누는 수(Refactorable number)이다.
- 5진법(1111(5))에서 반복수(repdigit)이며, 25,38,51,77,155진법에서도 반복수이다.
8 157[편집]
- 37번째 소수이며, 두 소수 151과 163의 산술평균이다.
- [math]\frac{p^p +1}{p+1}[/math] 또한 소수인 알려진 가장 큰 소수이다.
- 7진법(313)과 12진법(111)에서 회문수이다. 특히 12진법에서는 반복수가 된다.
- O-157 대장균에 붙은 숫자.
9 158[편집]
- 2×79로 소인수분해되며, 준소수(semiprime)로 약수는 1,2,79,158이다.
- P(0)=3, P(1)=0, P(2)=2, P(n)=P(n-2)+P(n-3)으로 정의되는 페린 수이다. 즉, P(19)=158.
10 159[편집]
- 3×53으로 소인수분해되며, 준소수(semiprime)로 약수는 1,3,53,159이다.
- 3개의 연속된 소수 47,53,59의 합이다.
- {Wn}=n·2n-1 로 정의되는 우달 수(Woodall)이다. 즉 W5=1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