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자연수 · 정수 · 실수(유리수 · 무리수) · 복소수 | → 51-100 |
13(십삼, 十三), thirteen
13번째 자연수로서 12보다 크고 14보다 작은 자연수이다.
수학적 특성[편집 | 원본 편집]
- 7번째 홀수이자 6번째 소수이다.
- 변이 12개인 다각형을 십삼각형이라고 부른다. 13은 페르마 소수(Fermat Prime)가 아니기에 자와 컴퍼스로 작도할 수 없다. 다만 각 삼등분기를 이용하면 정십삼각형을 작도할 수 있다.
과학적 특성[편집 | 원본 편집]
천문학에서[편집 | 원본 편집]
- 미국의 아폴로 13호는 달착륙에 실패했다. 11호~17호 중 실패한 케이스.
기타[편집 | 원본 편집]
- 13은 이스가리옷 유다를 상징하는 숫자이기도 하다. 이외에 12+1의 수로 서양에서 여러 가지 의미로 불길함을 상징하는 숫자이다. 대표적인 사례가 13일의 금요일.
- 보통 케이블 사업자나 위성 사업자들은 13번 채널에 EBS를 배정하는 경우가 많다.
- 영어에서 12까지의 철자법과 13부터의 철자법이 상이하다. 11은 eleven, 12는 twelve, 13은 thirteen. 이러한 특성 때문에 13살부터의 10대들을 teenager라는 말이 나왔다.
- 독일의 음악가 리하르트 바그너와 관련된 이야기거리가 몇 개 있다. 우선 그의 이름(Richard Wagner)는 13자의 알파벳으로 표현 가능하며, 서기1813년생인데 자릿수를 모두 더하면 13이 나온다. 홍난파의 《바그너와 13의 수》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