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백가합전

NHK 홍백가합전(NHK紅白歌合戦, エヌエイチケイこうはくうたがっせん)은 일본 NHK에서 1951년부터 방송되어 온 남녀 대항 방식의 대형 음악방송이다. 일본의 장수한 프로그램의 하나이다. 흔히 '홍백'으로 불린다.

개요[편집 | 원본 편집]

여성 가수진을 홍조(紅組, あかぐみ), 남성 가수진을 백조(白組, しろぐみ)로 나누어, 조 대항 방식으로 노래와 연주를 피로(披露)하는 방송 프로그램이다. 원래는 새해 벽두에 하는 라디오 방송이었으나, 1953년·제4회부터 12월 31일에 방영되기 시작하면서 한 해를 매듭짓는 방송의 대명사가 되었다.

일본을 대표하는 인기 가수들이 대거 출연하고 게스트 출연진도 그 해 최고의 인기를 누린 사람들로 구성되기 때문에, 방영 초창기인 1950년대부터 높은 시청률을 기록해오고 있다. 1960년대에서 1990년대까지는 매년 연간 시청률 1위를 기록하기도 하였다. 그렇기에 일본 국민들의 홍백가합전에 대한 관심은 뜨겁고, 세모에서 새해에 거쳐 신문과 잡지에서부터 경쟁 상대인 민영 방송사의 프로그램에서까지 홍백에 관련된 화제가 오르내린다.

방송 장소 및 시간[편집 | 원본 편집]

1973년·제24회부터 도쿄 시부야NHK홀에서 개최되고 있다. 그 이전에는 도쿄 다카라즈카극장(東京宝塚劇場)[1], 히비야 공회당(日比谷公会堂), 산케이 홀(サンケイホール) 등지에서 개최되었다.

방송 시작 시간은 1966년·제17회까지는 매회 상이하였으나, 1967년·제18회부터는 오후 9시로 고정되었었다. 그러나 1989년·제40회에 홍백가합전이 1·2부로 나누어지게 되면서 방송 시작 시간이 오후 7시에서 오후 8시 사이로 이동하게 되었다. 방송 종료 시간은 1962년·제13회 이후로 오후 11시 45분으로 고정되어 있고, 또한 이 회 이후로 홍백가합전 다음에 방영되는 프로그램은 'ゆく年くる年(가는 해 오는 해)'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1989년 이후, 1, 2부제로 나뉘어짐에 따라 1부가 끝난 오후 8시 55분부터 2부가 시작되는 오후 9시 사이에는 당해 최후의 NHK 뉴스가 방영된다.

방송 매체[편집 | 원본 편집]

1951년부터 라디오로 방송되기 시작한 것이 그 시초로 현재에도 NHK 라디오 제1방송과 NHK 월드 라디오 일본를 통하여 방송되고 있는데, 객석에 설치된 라디오 중계석에서 방송 내용과 무대 현장의 모습을 중계하는 형식으로 방송이 이루어지고 있다. 거기에, 2011년·제61회부터는 NHK 넷 라디오 《라지루★라지루》(らじる★らじる)를 통하여서도 방송되고 있다.

텔레비전을 통한 방송은 1953년 1월·제3회부터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는데, 제3회의 텔레비전 방송은 텔레비전 시험 방송의 일환으로 이루어진 것이었다. 1953년 2월 1일부터 일본에서 텔레비전 방송이 정식으로 실시됨에 따라, 1953년 12월·제4회부터 'NHK 종합 텔레비전'을 통한 텔레비전 방송이 정식으로 이루어지게 되었다. 거기에 1964년·제15회부터는 컬러로, 1978년·제29회부터는 스테레오로 방송되기 시작하였다. 2003년·제54회부터 지상파에서 디지털 방식으로의 방송이 이루어지기 시작하였고, 2010년·제61회를 끝으로 아날로그 방송 시대가 막을 내리게 되면서 현재는 디지털 방식으로의 방송만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 텔레비전 중계 역시 라디오 중계와 마찬가지로 해외로도 이루어지고 있는데, 1964년·제15회부터 NHK 월드 프리미엄을 통하여 중계되고 있다.

거기에 1980년대에 위성 방송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1984년·제35회부터 BS 2에서 방송이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다. 이후 1989년·제40회부터는 일본이 개발한 아날로그 하이비전 규격의 시험 및 상용화를 위하여 개국된 위성 채널인 BS hi에서도 방송이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일본에서 2010년까지 방송의 완전 디지털화를 이루기로 함에 따라 BS 2와 BS hi의 두 채널이 모두 BS 프리미엄에 정리·통합되면서, 현재 위성 채널을 통한 방송은 이루어지지 아니하고 있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홍백음악시합[편집 | 원본 편집]

홍백가합전은 1945년 12월 31일에 라디오로 방송된 '홍백음악시합(紅白音楽試合)'을 그 시초로 한다. 이 프로그램은 1945년 12월 31일 오후 10시 20분부터 오후 12시 00분(즉, 1946년 1월 1일 자정 0시)까지 방송되었다. 즉, 지금의 홍백가합전과는 다르게 '해를 넘겨서 방영되는 프로그램(年越し番組)'이었던 것이다. 또 이 프로그램이 끝난 다음에는 '제야의 종(除夜の鐘)'이 방영되였다. 이 프로그램 역시 홍백가합전이 끝나고 방송되는 'ゆく年くる年'의 원형이 된다.

홍백음악시합의 경우, 당초 기획된 명칭은 '홍백음악합전(紅白音楽合戦)'이었으나, GHQ에서 '合戦'에 대하여 '패전국에서 이러한 단어를 사용하는 것은 무슨 경우냐?'라는 판단을 내려, 결국 '合戦'을 '試合'이란 말로 바꾸어서 방송되었다고 한다[2]. 이런 이유로, 홍백음악시합은 승패도 가리지 않았고 심사위원도 없었으며 비공개로 진행되어 응원하는 사람도 없었다고 한다.

홍백음악시합은 방송 후 호평을 꽤 받았다. 그렇지만 1946년에 홍백음악시합이 다시 편성되는 일은 없었다. 이는 당시에는 '매년 12월 31일에 같은 프로그램을 방송하자'라는 발상 자체가 없었고, '저번에 했던 내용의 프로그램을 다시 제작하는 것은 무능한 것이다.'이라는 당시의 편견이 작용한 것이었다.

1950~60년대[편집 | 원본 편집]

1951년 1월 3일, '홍백음악시합'의 반향을 잊지 못한 스태프들이 '12월 31일의 프로그램이 아니면 되겠지.'라 생각하여, 신년 특집 프로그램으로 '홍백가합전'을 방송하였다. 방송 전에 따로 피로 곡목과 순서의 결정 없이, 출장 가수의 공표만 이루어졌는데[3], 출장 가수들은 모두 1950년 12월 31일에 방영된 NHK '명성제(明星祭)'에 출연하지 아니한 사람들이었다. 피로 곡목과 순서는 홍조 캡틴이었던 와타나베 하마코(渡辺 はま子)와 백조 캡틴이었던 후지야마 이치로(藤山 一郎)가 상대 조를 의식해 가면서 즉석에서 정하였다. 당시에는 단발성 방송이었으나, 꽤 호평을 얻어 다음 해에도 방송을 하게 되었다.

1953년 1월 2일·제3회부터 실황 중계를 행하는 아나운서가 등장하였다. 방송 초창기의 중계 아나운서에게는 '스포츠'가 하나의 콘셉트로 작용하였기에, 일선급 스포츠 아나운서가 실황 중계를 맡았다. 또 이 회는 텔레비전 시험 방송의 일환으로 텔레비전으로도 중계되었으며[4], 추가로 이 회까지는 무대 상단에 '謹賀新年(근하신년)'이 씌여진 플레이트가 설치되어 있었다. 그러나, 오카 하루오(岡 晴夫), 타바타 요시오(田端 義夫), 오바타 미노루(小畑 実)와 같은 당대 인기가수들은 자신들의 정월 공연 계획과 겹쳤기 때문에 출장할 수 없었다[5].

1953년 12월 31일에 4회가 방송되며 12월 31일에 하는 프로그램이 되었다. 이렇게 된 이유는, 홍백가합전의 공개 방송이 큰 규모로 이루어지게 되면서 이에 적합한 대규모의 회장이 필요해졌는데 이를 충족하는 회장은 스케줄이 오오미소카에나 비어있었고,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인기 가수들의 정월 공연과 일정이 겹치게 되면서 가수의 확보가 어려웠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4회 방송은 1953년 12월 31일에 이루어지게 되었고, 이 회를 기하여 홍백가합전은 전신인 '홍백음악시합'과 같이 12월 31일에 방송하는 프로그램이 되었다. 그러나 이때만 해도 12월 31일 밤에 이루어지는 행사는 잘 되지 않는다는 징크스가 있었기에, 제작진 측에서는 이를 타파하고자 출장 가수를 홍백 각 5명씩 늘리는 조치를 취하였다. 한편 이 회부터 텔레비전 본방송이 시작되었다. 그러나 1950년대만 하더라도 일반 가정에는 텔레비전이 거의 보급되지 않았기에 독자적인 TV 프로그램으로 제작하기에는 타산이 맞지 않았고, 그래서 라디오 중계가 주(主)가 되고 텔레비전 중계는 인기 라디오 프로그램의 현장을 촬영하여 방송하는, 종(從)적인 관계가 되었다. 그래도 텔레비전 방송의 시작으로 인하여 홍조의 가수들이 의상을 중시하기 시작하였다.

1957년과 1958년의 양년(兩年)에 걸쳐 홍백가합전 출장 가수진에 큰 변화가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다. 1957년부터는 첫 번째 세대 교체가 이루어지게 되었으며, 1958년부터는 그룹 가수들의 출장도 가능하게 되었다.

1956년·제7회까지는 전전(戰前)・전중(戰中)파 베테랑 가수들도 단골로 이름을 올렸지만, 1957년·제8회 출장 가수 선출 시에, 전쟁 전부터 가요계의 1인자였던 후지야마 이치로(藤山 一郎)가 '후배들에게 길을 내어주는 형식'으로 가수로써의 출장을 사퇴한 이후 해를 거듭할수록 전전파 가수의 이름이 사라져가며 세대 교체가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다. 이 세대 교체는 1959년·제10회에 신세대 듀오 가수 '더 피너츠(ザ・ピーナッツ)'가, 1960년·제11회에 1960년대의 가요계를 이끈 스타 가수 하시 유키오(橋 幸夫)와 '로커빌리' 붐의 최전선에 있던 히라오 마사아키(平尾 昌章, 現: 平尾 昌晃)가, 1961년·제12회에 NHK의 프로그램 '夢であいましょう(꿈에서 만납시다)' 의 코너인 '今月の歌(이번 달의 노래)'에서 탄생한 '上を向いて歩こう(위를 향하여 걷자)'의 히트로 유명 가수가 된 사카모토 큐(坂本 九)가 출장을 하게 되면서 거의 이루어지게 되었으며, 1962년·제13회 출장 가수 선거에서 전전파 가수 아와야 노리코(淡谷 のり子), 하야시 이사오(林伊 佐緒), 이토 히사오(伊藤 久男)가 낙선하여 홍백가합전에서 전전파 가수는 종적을 감추게 되면서 세대 교체가 완벽히 이루어지게 되었다.

또, 1957년까지는 출장 가수는 솔로 가수로만 한정되어 있었지만, 1958년·제9회에 미즈타니 요시에(水谷 良重)・토고 타마미(東郷 たまみ)・사와 타마키(沢 たまき)의 세 명이 그룹 형식으로 출장하고, 남성 중창단 다크 덕스(ダークダックス)가 출장하면서 그룹 가수의 출장도 가능하게 되었다. 단, 1962년·제13회까지는 그룹 가수는 반드시 그룹 가수와만 대결하여야 했다.

한편, 대결을 펼치는 가수들의 경우에는 1960년·제11회까지는 같은 레코드 회사 소속의 가수들을 맞붙게 하는 것이 극히 삼가되었다. 그 후로는 동일한 레코드 회사의 가수들끼리 대결을 펼치는 것도 허용되었지만, 토리 대결에서는 이 관례가 오래 지속되었다. 거기에, 1977년, 당시 테이직 소속이었던 야시로 아키(八代 亜紀)가 토리를 맡기 전까지 紅組 토리는 일본 컬럼비아 소속의 가수가 맡는 것이 관례였기에, 白組 토리는 자동적으로 일본 컬럼비아 이외의 레코드 회사 소속의 가수가 맡아야 하였다. 이는 1983년·제34회에 호소카와 타카시(細川 たかし)가 오오토리를 맡으면서 완전히 깨지게 된다.

1962년·제13회부터 비디오 리서치 사에 의하여 시청률 집계가 시작되고, 1963년·제14회에 시청률이 81.4%를 기록하면서 정점을 찍는다. 이 기록은 홍백가합전 사상 최고 시청률이면서 동시에 비디오 리서치 시에 의하여 집계된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률 중 최고치이기도 하다. 단, 이 시청률이 일본 방송 사상 최고의 시청률은 아닌데, 1955년 5월 30일 니혼 테레비에서 중계한, 파스쿠알 페레스(Pascual Nicolás Perez, 1926-1977)와 시라이 요시오(白井 義男, 1923-2003) 간의 복싱 경기가 96.1%라는 경이로운 시청률을 기록한 바 있기 때문이다.

1963년·제14회부터 미소라 히바리가 10년 연속으로 홍팀의 토리를 맡는다.

1964년·제15회부터 컬러방송이 시작된다. 그러나, 1960년대 방송분 중 컬러 영상이 남아있는 것은 1965년 대회 뿐이다.

1965년 홍백가합전 컬러 영상 "こまどり姉妹"의 "恋に拍手を"

1965년·제16회부터는 당시 미국의 점령을 받고 있던 오키나와에도 본토와 중계용 마이크로 케이블이 연결되면서 텔레비전으로는 오키나와 테레비에서, 라디오로는 라디오 오키나와에서 스폰서를 붙이고 중계가 된다. 스폰서를 붙이고 하는 중계는 NHK 오키나와 방송 총국이 생기고, 오키나와가 일본 본토로 복귀하면서 없어졌다.

1960년대 후반부터는 무대 뒤편에 출장자가 앉아서 관전하는 '가수석'이 설치가 된다. 이 가수석은 1970년대 말까지는 매년 일반적으로 설치되었다.

1969년·제20회부터는 오프닝 입장 행진 시에 가수 이름이 자막으로 흘러나오기 시작하였다.

이 시기의 홍백가합전은 원래는 영상은 물론이고 음성조차 존재하지 않았지만, 아이치 현 나고야 시에 거주하는 어떤 남성이 1954년, 제5회부터 라디오로 중계된 홍백가합전을 녹음하여 둔 오픈 릴 테이프가 1999년 말 발견되어 NHK 측에 제공되었다. 이 덕분에 현재는 제5회부터 제12회까지의 음성이 보존되고 있다. 한편, 현장을 찍은 사진 자료에 대해서는, 현존하는 자료로는 1952年, 제2회 때의 현장을 촬영한 자료가 최고(最古)의 자료로써, 그 이후 모든 회의 현장 촬영 자료가 존재한다. 그러나, 기념비적인 제1회 방송은 사진 자료마저 존재하지 아니하여, 이 회에 대한 내용은 모두 관계자의 증언에만 의존하게 되었다. 이렇게 된 이유로는, 1950년대 초반에는 VTR 자체가 존재하지 아니하였고, VTR이 나왔어도 당시에는 테이프값이 매우 비쌌기 때문에, 한 번 쓰고 보존하기에는 타산이 맞지 않았으며, 음성을 녹화하는 오픈 릴 테이프 역시 고가였기에, 둘 다 방송이 끝나고는 수록된 내용을 지우고 다른 프로그램 제작에 다시 사용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 가장 크다.

1970~90년대[편집 | 원본 편집]

1970년대에 들어서면서, 新三人娘(아마치 마리, 코야나기 루미코, 아마치 마리), 新御三家(고 히로미, 사이조 히데키, 노구치 고로), 花の高一トリオ(야마구치 모모에, 사쿠라다 준코, 모리 마사코)로 대표되는 아이돌이 등장하고, 포크 음악과 더불어 뉴 뮤직, 록 음악이 인기를 끌게 되면서 홍백가합전에서 피로되는 노래도 많이 달라지게 된다.

1972년·제23회부터는 VTR 보관이 시작된다(그 이전의 방송분은 1960년대 후반 미야타 테루가 종합 사회를 볼 때, 그의 부인이 녹화해 둔 자료[6][7]와 그 이전에 보존되고 있던 15회(쇼와 38년, 1963년)와 22회(쇼와 46년, 1971년, 컬러), 16회(쇼와 40년, 1965년, 흑백·컬러 모두 존재)[8], 아르헨티나 대사관에서 우연히 발견된 21회(쇼와 45년, 1970년, 컬러, 전체 165분 中 137분)이 전부[9].).

1978년·제29회부터 스테레오 방송이 실시되기 시작하였다.

1980년·제31회부터 1984년·제35회까지는 '가수에 의한 노래의 제전'이라는, 사실상 이 프로그램의 본 목적에 충실해지기 위한 한 가지 방법으로 특별한 경우(1983년의 이시카와 사유리 정도, 여기는 NHK 측에서 출연을 요청했다.)를 제외하고는, 게스트를 채용하지 아니하였다.

1981년·제32회부터 관객석을 지나 무대에 올라가던 종전의 입장 방식이 무대 뒤쪽에서 입장을 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또 이해는 선술한 '가수에 의한 노래의 제전'이라는 것에 매우 충실하였던 해로, 단 한 명의 게스트도 출연하지 아니하였다.

1982년·제33회부터는 거의 모든 가창곡의 가사 자막이 등장하게 되었다.

1983년·제34회부터는 밴드의 편성이 홍/백 양군의 가창곡을 각 조에서 한 개의 밴드가 맡아서 연주하던 것에서, 하나의 밴드가 모두 연주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또한, 이 회부터 승리한 조의 가수 중에서 한 명에게는 금배(金杯)가, 패배한 조의 가수 중에서 한 명에게는 은배(銀杯)가 각각 수여되었다. 금배·은배는 1985년·제36회까지 수여되었고, 그 이후에는 사라졌다.

1980년대의 홍백가합전은 시청률은 해를 거듭할수록 조금씩 낮아졌지만, 이전보다 주목을 끄는 일이 많아졌다. 특히 1980년대 중반부터는 매년 고바야시 사치코의 의상이 파격적으로 변해감에 따라 그녀의 의상이 최고의 화제가 되기 시작했다. 그녀의 의상은 1985년·제36회 이전까지도 수수한 편은 아니었으나 1985년에 쥬니히토에를, 1986년에 클레오파트라의 의상을 입으면서 엄청나게 화려하게 변한다. 이는 1990년대 중반에 정점을 찍는다.

1989년·제40회부터 지금처럼 1·2부로 나뉘기 시작하였다[10]. 또한, 이해의 2부부터 시험적인 성격이 강하였지만 아날로그 하이비전으로도 중계되기 시작하고, 1993년·제44회부터는 본격적으로 아날로그 하이비전 중계가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다.

1989년 홍백가합전 아날로그 하이비전 시험 방송 당시의 영상. "Wink"의 "淋しい熱帯魚[11]"

2000년대 이후[편집 | 원본 편집]

출연자[편집 | 원본 편집]

가수[편집 | 원본 편집]

그 해 히트곡을 낸 가수들이 출연한다. 출연가수는 제 7회 이후 각 조 20팀에서 30팀정도 출연한다. 홍팀과 백팀의 출장자 수가 다른 경우도 있다. 이 가수 중에서도 각 조에서 1명씩 'リーダー'나 'キャプテン'이라는 포지션을 부여한 회도 있다. 대전에 참여한 정규 가수의 출연은 '出場'으로 부르고 그 횟수를 '出場回数'라고 부르고 정식으로 카운트한다.

방송초기에는 '홍팀하면 여성. 벡팀하면 남성'이라는 풍습이 있었으나, 남녀혼성 그룹은 여성보컬은 홍팀 소속으로 출연하고, 남성 보컬이 여성 보컬의 파트를 겸해서 남성들만은 백팀에 출연하는 경우가 있었다. 그러나 요즈음에는 상황에 따라 다르다.

솔로 가수와 그룹, 또는, 솔로별 명의, 타 아티스트와의 콜라보레이션 등으로 활동을 하는 가수도 많이 있다만, 홍백에서는 솔로 가수와 그룹 아티스트중 1명이 복수 출장하는 경우는 2000년대 이전에는 89년도의 沢田研二가, 솔로 명의와 'ザ・タイガース'의 일원으로 출연한 사례밖에 없었으나, 2000년대 후반에는, 같은 계열의 그룹 관련으로 여러 그룹이나 유닛에 참가하는 사람이 복수출장하는 경우도 많아졌다.

미성년[12], 그 중에서도 너무 이른 나이의 가수의 출장은, 80년대 들어서는 89년 이전까지는 21시부터 시작하였으므로, 근로기준법에 위배되었고, 그것으로 인하여 사실상은 불가능하였으나, 89년 이후부터는 19시대에 시작을 하게 되어서, 가능하게 되었다. 물론 그 이전에도 열 몇살의 나이로도 출연하던 가수는 있었다. 대표적으로 모리 마사코(73년도 15세의 나이에 첫 출장), 야마구치 모모에(74년도, 16세의 나이에 첫 출장) 등이 있다.

외국인 가수의 출장은 1970년대부터 있어 왔다. 물론 그 가수들도 일본에서 곡을 발표하고 히트를 친 사람들이다. 1970년대에는 '欧陽菲菲(어우양 페이페이)' 그 해 히트곡을 낸 가수들이 출연한다. 출연가수는 제 7회 이후 각 조 20팀에서 30팀정도 출연한다. 홍팀과 백팀의 출장자 수가 다른 경우도 있다. 이 가수 중에서도 각 조에서 1명씩 'リーダー'나 'キャプテン'이라는 포지션을 부여한 회도 있다. 대전에 참여한 정규 가수의 출연은 '出場'으로 부르고 그 횟수를 '出場回数'라고 부르고 정식으로 카운트한다.

방송초기에는 '홍팀하면 여성. 벡팀하면 남성'이라는 풍습이 있었으나, 남녀혼성 그룹은 여성보컬은 홍팀 소속으로 출연하고, 남성 보컬이 여성 보컬의 파트를 겸해서 남성들만은 백팀에 출연하는 경우가 있었다. 그러나 요즈음에는 상황에 따라 다르다.

솔로 가수와 그룹, 또는, 솔로별 명의, 타 아티스트와의 콜라보레이션 등으로 활동을 하는 가수도 많이 있다만, 홍백에서는 솔로 가수와 그룹 아티스트중 1명이 복수 출장하는 경우는 2000년대 이전에는 89년도의 沢田研二가, 솔로 명의와 'ザ・タイガース'의 일원으로 출연한 사례밖에 없었으나, 2000년대 후반에는, 같은 계열의 그룹 관련으로 여러 그룹이나 유닛에 참가하는 사람이 복수출장하는 경우도 많아졌다.

미성년[13], 그 중에서도 너무 이른 나이의 가수의 출장은, 80년대 들어서는 89년 이전까지는 21시부터 시작하였으므로, 근로기준법에 위배되었고, 그것으로 인하여 사실상은 불가능하였으나, 89년 이후부터는 19시대에 시작을 하게 되어서, 가능하게 되었다. 물론 그 이전에도 열 몇살의 나이로도 출연하던 가수는 있었다. 대표적으로 모리 마사코(73년도 15세의 나이에 첫 출장), 야마구치 모모에(74년도, 16세의 나이에 첫 출장) 등이 있다.

외국인 가수의 출장은 1970년대부터 있어 왔다. 물론 그 가수들도 일본에서 곡을 발표하고 히트를 친 사람들이다. 1970년대에는 '欧陽菲菲(어우양 페이페이)'[14](1972·1973, 1991 출장), '쥬디 옹그(ジュディ・オング)'[15](1979·1980 출장) 등이 출장하였고, 1980년대부터는 한국인 가수도 출장하기 시작하였다. 대표적으로 조용필(1987-1990 출장), 계은숙(1988-1994 출장), 김연자(1989, 1994, 2001 출장) 등이 있다. 그 외의 가수들은 테레사 텐(1985-86, 1991 출장), 알란 탐(1989 출장)등이 있다. 2000년대 초, 한류 붐이 일고 한일관계도 좋아짐에 따라 한국 가수들도 많이 출장하였는데, 대표적으로 BoA(2002-2007 출장), 이정현(2004 출장), 동방신기(2008·2009, 2011 출장) 등이 있다. 그러나 2012년부터 한일관계가 나빠지게 되면서 5년간은 한국 가수의 출장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하지만 2017년에 트와이스가 출장하기로 결정되면서 6년만에 한국 가수가 홍백가합전에 얼굴을 비추게 되었다.

출장 가수 선출[편집 | 원본 편집]

출장 가수의 선출은 기본적으로 당년 히트곡을 낸 가수를 대상으로 이루어지는데, 먼저 가수 본인과 소속 레코드 회사, 소속 사무소에게 선출 후보가 된 것을 알리고 출장할 의사가 있는지 당사자들의 의견을 확인하는 작업을 거친 후, 11월 초에 열리는 선출 회의를 통하여 최종적으로 이루어진다. 선출 결과는 11월 중순에서 12월 상순 사이에 열리는 기자 회견에서 첫 출장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발표되며, 결과 발표 후에는 첫 출장자들이 자신들의 소회와 앞으로의 다짐 등을 밝히기도 한다. 이 회견에는 타 민영 방송사부터 온라인 신문에 이르기까지 여러 매체에서 취재진이 모여들어 취재를 행하고, 기자 회견의 내용 역시 'NHK 뉴스'에서부터 온라인 신문에 이르기까지 여러 매체를 통하여 보도된다. 또, 2010년·제61회부터는 기자 회견의 전 과정이 인터넷 스트리밍으로 중계되고 있다.

홍백가합전 측에서는 기본적으로 선출 과정과 이유를 상세히 밝히지 않으며, 비출장자에 대한 기자 회견의 질의응답 중에 최소한으로 밝히는 정도이다. 최근 5년간의 선출 기준에는 '당해의 활동, 여론의 지지, 프로그램의 연출·기획에 적합한지의 여부'가 제시되었다. 그리고 2017년·제68회 선출 과정에 이하의 자료들을 참고하였다고 한다.

  1. 7세 이상의 전국 3,000명을 대상으로 NHK가 실시한 랜덤 디지트 다이얼링(Random Digit Dialing, 무작위 전화 걸기) 방식에 의한 조사 결과
  2. 7세 이상의 전국 8,000명을 대상으로 NHK가 실시한 웹 앙케이트 조사 결과
  3. 'NHKのど自慢'의 예선 출장자의 곡목
  4. CD·카세트 테이프·DVD의 매상고
  5. 유선·노래방의 리퀘스트 등에 대한 조사
  6. 인터넷이나 다운로드 (횟수) 등에 대한 조사


또, 예전의 선출 과정을 살펴보면 1972년·제23회의 출장 가수 선출 시부터 'ご意見を伺う会(고견(高見)을 구하는 모임)'라는 단체가 발족되어, 1987년·제 38회까지는 그 단체의 회원에게 당해의 출장 가수 선출에 대하여 의견을 구하는 제도가 있었고, 또 NHK 측에서 매년 시청자를 대상으로 출장 가수 선출에 대하여 앙케이트를 진행하는데, 1986년·제37회까지는 그 결과가 중시되었고, 그 이후에는 참고 자료 정도로 사용되고 있다. 원칙적으로 이 결과는 공개되지 않지만, 1980년대 초반의 몇 년 동안은 신문 매체를 통하여 공개되기도 하였다.

이외에도 매 해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중요 선출 기준이 있는데, 보통은 다음 일곱 가지가 꼽힌다.

  1. 폭력단(야쿠자 등)과의 관계가 없는 사람
  2. NHK가 내거는 그 해의 테마에 대해 기여한 사람
  3. NHK에 기여하는 사람(NHK 제작 프로그램의 고정 출연자, 올림픽이나 월드컵의 주제가를 담당한 자 등)
  4. 싱글, 앨범, DVD, Blu-ray, 사진집 등 서적의 총 매상고
  5. (엔카 가수 한정) 'NHK 노도지망(NHK のど自慢)', '우타콘(うたコン)', 'SONGS'의 출연 여부
  6. 가족이나 친척 중 정치인이 있지 아니한 사람
  7. 여성 아이돌 그룹은 여성의 지지를 받고, 오리지널 멤버와 가족, 친척, 선배 또는 후배 아이돌 그룸이 불상사를 범하지 않은 그룹


위의 선출 기준 중에서도 1번이나 7번 기준에 위배되는 사람은 아무리 엄청난 인기를 얻는 가수라 할지라도 출장할 수 없다. 이는 NHK가 국민들에게 수신료를 걷어서 방송을 운영하는 공영 방송사이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자면, 공영 방송사인 NHK가 제작하는 홍백가합전 역시 NHK가 국민들로부터 걷은 수신료로 제작되고, 그 수신료로 출연자에게 출연료 등도 지급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국민들로부터 받는 지지 역시 출장자의 선출에 중요한 기준 중 하나가 되는 것이다. 또 그래서 폭력단 관계자 등과 부적절한 관계, 금전으로 인한 트러블 등의 스캔들, 불상사가 발생하여, '출장을 희망하였지만 불상사를 이유로 낙선'이 되기 전에, 선거에서 사퇴를 하고, 더 이상의 출장을 단념하는 케이스가 많이 있는 것이다.

특히 폭력단, 야쿠자 등의 반사회적 세력과의 스캔들은 홍백 출장에 지목된 사람에게는 아주 큰 금기로써, 선출에도 결정적인 악영향을 미친다. 그것은 중견 가수, 베테랑 가수에게도 가차없다. 가장 큰 예로, 1972년까지, 10회 연속 토리를 맡은 '미소라 히바리'는, 1973년, 폭력단의 단원이던 동생 카토 테츠야(かとう 哲也)의 체포를 계기로, 3대 야마구치구미 타오카 카즈오와의 관계가 드러나서 이미지가 저하, 앙케이트 시에도 지지가 저하하고, 'ご意見を伺う会'에서 비판이 뒤따른 것을 이유로 낙선되었다. 그 이후 미소라 측에서는 '자발적인 사퇴'라는 입장을 고수하였으나, 실제로는 홍백에서 과장 더 보태서 쫓겨난 것이고, 그 이후로 정식 출장은 없었다(다만, 1979년에 특별출장은 하였다). 또, 37회 때는, 키타지마 사부로와 야마모토 죠지가 폭력단이 주최하는 연회에 참석한 것이 드러나서 본방 직전인 12월 29일 사퇴하였고, 대역으로 카도카와 히로시와 토바 이치로가 선출되었으나, 이번에는 토바가 자신도 과거에 폭력단에 관련되었다는 것을 폭로하고, 이 사건에 대하여 NHK의 위선적인 입장을 비판하며 사퇴하여, 12월 30일, 31일 밤에 스케줄이 비던 'シブがき隊'를 대신 출장시키기로 결정하는 사례도 있었다.

그 다음으로 홍백가합전 출장을 좌우하는 것은, '가수의 NHK에의 기여도'와 '각 소속사에 가해지는 출장자 수의 제한'이 있다. NHK가 제작한 프로그램에 출연하거나, 프로그램의 제작 등에 관여하거나, 프로그램의 주제가를 부르는 것과 같이 NHK에 기여를 하는 것은 선거에 결코 적지 않은 비율을 차지한다. 특히 연속 텔레비전 소설과 대하 드라마(사극)의 주제가를 부르거나 올림픽(패럴림픽)・월드컵의 NHK 중계 테마 송, NHK 전국 학교 음악 콩쿠르의 과제곡(중등부)를 담당한 사람에게는 홍백의 출장이 비교적 쉬운 면이 있다. 이 때문에, 히트곡이나 화제성이 없어도, NHK의 각종 프로그램에 적극적으로 출현하거나 테마 송을 부르는 등의 악곡 제공 등이 높이 평가되어서 선출이 되고, 홍백가합전 무대에서는 NHK 프로그램의 주제곡이나, 과거의 히트곡을 부르는 사람도 볼 수 있다.

또, 소속사에 대해서는 각 소속사 별로 출장 가능한 가수의 수를 제한하는 것이 관례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이에 대하여 홍백가합전 측에서는 물론 부인하고 있지만, 쟈니스의 사장이던 쟈니 키타가와(ジャニー 喜多川)가 'NHK가 '2팀 출장'의 고정을 말하는 외고집이 있었다.'라는 말과 함께 제약의 존재를 폭로하면서 이 제약의 존재는 공공연한 비밀이 되었다.

하지만 2부제 시행 이전인 1980년대 중반까지는 '소속사에 제약이 가해진다'라는 개념이 없었다. 이 때문에, 1974년·제25회의 경우, 출장 가수 50팀 중 열 팀이 당시 최전성기였던 와타나베 프로덕션(渡辺プロダクション)의 가수들로 꾸려지기도 하였으나, 1980년대 후반부터 일정한 제약이 만들어지게 되면서 1970년대와 같은 상황은 보기 어려워졌다. 이렇게 되면서 대히트곡이 있더라도 사무소의 홍백 출장 가수 수의 제약으로 인해 출장 기회를 잃어버리는 경우도 있다. 당장, 1980년대부터 연예계에 큰 영향력을 행사해 오던 쟈니스도 출장 가수는 제48회 이후 장기간 동안 SMAP와 TOKIO의 2개 조의 출장만으로 고정되어 있던 것이 그 예이다. 그러나, 이와 반대로, 대형 사무소에서, 다른 음악 프로그램 등과 같이, 사무소 중역(사장 등)이 마음에 들어 하는 가수가, 대중에의 지명도가 더 높은 가수를 제치고 출장하는 경우도 있다.

출장 사퇴[편집 | 원본 편집]

후술하겠지만, 어떠한 가수가 NHK 홍백가합전에 출연하면, 인지도와 싱글·앨범 등의 판매량이 상승하는 등 그에게 좋은 일이 다수 발생한다.(이를 '홍백 효과'라고 한다.) 그러나 몇몇 가수는 출장 가수로 선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출연하지 아니하겠다고 선언하는 경우도 있다. 이를 '출장 사퇴'라고 한다.

NHK 홍백가합전 출장을 사퇴하는 이유는 다양하다. '홍백가합전 출장 자체에 흥미 없음', '홍백가합전에 출장하여 얻는 메리트 없음'부터 시작해서 '원래 연말은 가족과 함께 보내기 위해 일을 안 해왔음', '카운트다운 콘서트를 이미 계획해 둠'[16], '당일 해외에서 레코딩 계획 있음' 등 당일에 다른 계획이 이미 잡혀 있어서 사퇴하는 경우도 많다. 또 생방송 중의 가창에 난색을 표하거나, 홍백가합전에 출장하는 것이 장시간 구속되어있는 것 같은 느낌이 든다는 이유로 사퇴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1980년대부터는 뮤지선계에서의 사퇴도 잇따랐다. 당시에는 '사퇴하는 것이 감투', '나가며는 진다' 같은 분위기도 있었고, 지명도가 있었을 때 몇 번 출장하고 사퇴하거나, NHK와의 불화가 원인으로 작용되어 출장을 사퇴, 홍백의 콘셉트에 동참하지 않는 등의 여러 가지 경위가 있었다.

홍백가합전에 매년 출장해 오던 가수가 '홍백 졸업'을 표명하고, 그 이후에는 기본적으로 선출 과정에서부터 사퇴하는 경우가 있다. 대표적으로는 시마쿠라 치요코, 미야코 하루미, 키타지마 사부로 등이 있다.

출장이 정식으로 결정된 후에 불상사나 스캔들 이외의 사건으로 인해 출장을 사퇴하여(혹은 결장하여), 출장 가능성이 출장 가수보다 비교적 낮던 가수가 대신 출장하는 경우가 있다. 그 예는 아래와 같다.

  • 제2회 - 마츠시마 우타코(松島 詩子) - 방송 당일 교통사고를 당하여 부상을 당하여 결장함. 대역은 코이지 후부키(越路 吹雪).
  • 제6회 - 샌디 심스(サンディー・シムス) - 비행기의 결항으로 방송 당일까지 홍콩에서 동경으로 건너오지 못하여 결장함. 대역은 아시노 히로시(芦野 宏).
  • 제7회 - 유키무라 이즈미(雪村 いづみ) - 방송 당일 위경련이 발병하여 결장함. 대역은 없었으나 유키무라의 친구이던 에리 치에미(江利 チエミ)가 출연자의 표시인 붉은 꽃을 가슴에 2개 달고 유키무라의 가창곡도 피로함.
  • 제21회 - 에리 치에미(江利 チエミ) - '히트곡이 없음'의 이유와 함께 가수측의 의향. 대역은 히요시 미미(日吉 ミミ).
  • 제22회 - 우치야마다 히로시와 쿨 파이브(内山田洋とクール・ファイブ) - 보컬 마에카와 키요시(前川 清)의 급병(急病). 대역은 포 리브스(フォーリーブス).
  • 제39회 - 타하라 토시히코(田原 俊彦) - 원래는 레코드 회사, 소속사의 동의를 얻어 출연이 결정되었지만, 본인이 '홍백 졸업'을 선언하며 사퇴 표명. 대역은 오토코구미.
  • 제42회 - HOUND DOG - 가창곡 선정 과정에서 발생한 NHK 측과의 갈등으로 인하여 사퇴함. 대역은 버블검 브라더즈(バブルガム・ブラザーズ).

이 중에서 샌디 심스와 HOUND DOG은 이후에도 홍백가합전에 출장하지 아니하였다.

그룹 출장의 경우에는, 일부가 병, 불상사 등으로 전체가 결장하거나 사퇴하는 경우도 있고, 남은 멤버만 출장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단골로 출장하던 가수 등의 공로자가 낙선된 경우에는 NHK 측에서 해당 가수가 '사퇴했다'라고 발표하는 것을 허가하는 경우도 있다. 대표적인 예가 미소라 히바리이다.

홍백 효과[편집 | 원본 편집]

어떠한 가수가 홍백가합전에 출장하면, 다음 해 연초에 그의 음반의 매상고와 인지도가 적지 않은 영향을 받게 되는데, 이를 '홍백 효과(紅白効果)'라고 한다. 이는 공식적인 용어는 아니고 민간에서 사용되는 말이다.

이 효과의 최대 수혜자는 미야코 하루미(都 はるみ)이다. 1975년·제26회에 피로한 '北の宿から(북녘의 숙소에서)'는 1975년 연말에만 해도 발매된 지 한 달밖에 되지 아니한[17], 그저 그런 노래 중 하나였다[18]. 그러나 홍백가합전에서의 피로를 계기로 인기를 얻으면서, 피로 반년 후인 1976년 6월에 주간 오리콘 차트 10위 내에 진입하였고, 그 반년 후인 1976년 12월 첫째 주에는 1위를 차지하였으며, 1976년 12월 섯째 주부터 1977년 1월 첫째 주까지 3주간 그 자리를 지키기에 이르렀다. 이러면서 143만장이라는 경이로운 판매고를 올리고[19], 제18회 일본 레코드 대상·대상과 제7회 일본 가요 대상·대상, 제5회 FNS 가요제·그랑프리 등 여러 음악제의 대상을 휩쓸며 1976년 가장 히트한 가요곡[20]이 되었다. 가창자인 미야코 하루미도 가수 인생 최초로 홍백가합전 오오토리의 자리에 서게 되었다.

이 밖에 홍백 효과를 본 곡에는 요시 이쿠조(吉 幾三)의 '雪國(설국)', 나카지마 미유키(中島 みゆき)의 '地上の星(지상의 별)', 아키카와 마사후미(秋川 雅史)의 '千の風になって(천 개의 바람이 되어)[21]' 등이 있다.

토리[편집 | 원본 편집]

토리(取り)란 본래 요세(よせ, 사람을 모아 돈을 받고 재담·만담·야담 등을 들려 주는 대중적 연예장)에서 최후에 출연하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홍백가합전에서 토리라 하면 홍백 양 조의 마지막 가창자를 의미한다. 또한 그 두 명 중에서도 모든 출장자 중 마지막으로 가창을 하게 되는 출장자를 오오토리라고 한다. 홍백가합전에서 토리를 맡는다는 것은 가수에게 있어 대단히 영광스러운 일로, 토리를 맡기 위해서는 인기는 물론이거니와 경력과 품격도 갖추고 있어야 한다. 그렇기에 토리는 1990년대 중반까지는 중견급 엔카 가수들이 주로 맡았다[22]. 그러나 요즘에는 아이돌 가수도 토리를 맡는다. 토리 시 피로되는 곡은 1980년대 말까지만 해도 대부분 그해의 최고 히트곡이 되었으나, 요즘에는, 특히 엔카가수가 토리를 맡는 경우에는 과거 자신의 히트곡을 부르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이 토리를 맡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조건에 부합해야 하는 만큼 웬만큼 인기가 있는 가수라 할지라도 한 번도 토리를 맡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이러한 토리를 2년 이상 연속으로 맡는 경우가 있고, 더 나아가서 오오토리를 2년 이상 연속으로 맡는 경우가 있기도 하는데, 그 수는 매우 적다. 홍조에서는 오오토리를 2년 연속으로 맡은 사람이 후술할 미소라 히바리와 야시로 아키(1979·1980년), 그리고 마츠다 세이코(2014·2015년)의 3명 뿐이다.

토리를 많이 맡은 가수에는 미소라 히바리, 키타지마 사부로, 이츠키 히로시(각 13회), 모리 신이치, 이시카와 사유리(각 9회), 와다 아키코(7회), SMAP(6회) 등이 있다.

오오토리를 가장 많이 맡은 가수는 미소라 히바리로, 1957년[23]부터 1959년까지, 1963년, 1965년[24], 1967년부터 1972년까지 총 10회 오오토리를 맡았다. 그러나 말기에는 히트곡도 별로 없었지만, (1950년대부터 이어진 대인기를 누리던 미소라 히바리와 그녀의 가족 등으로부터 오는) 압력 등의 요인에 의하여 그녀는 다른 인기 가수들[25]을 제치고 자동적으로 오오토리를 맡았다(특히, 1970년~1972년에 이런 경향이 심했다.).

대부분 토리는 그해의 인기 가수 중에서도 홍백가합전에 두 번 이상 출장한 사람들에게 돌아가는 경우가 많으나, 예외적으로, 첫 출장만에 토리를 맡은 가수가 있으니, 아와야 노리코였다. 그녀를 제외한 토리를 맡았던 가수는 적어도 미소라 히바리, 모리 신이치와 같이 두 번째 출장에 토리를 맡거나, 스이젠지 키요코와 같이 출장 19회 만에 토리를 맡거나 아니면 그 사이의 횟수에 첫 토리를 맡는 것을 보면 아주 예외적인 경우였다.

사회자[편집 | 원본 편집]

사회자에는 '홍조 사회(紅組司会)', '백조 사회(白組司会)', '종합 사회(総合司会)'가 있다. 홍조 사회와 백조 사회는 각 조의 곡을 소개하는 역할을, 종합 사회는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양 조의 사회자를 서포트하는 역할을 맡는다. 홍조 사회는 몇 번의 예외를 제외하면 여성이 맡아 왔고, 백조 사회는 예외 없이 남성이 맡아 왔다. 양 조의 사회도 출장자로 생각되어 '캡틴(キャプテン)'이나 '리더(リーダー)'라 불리는 경우도 있다.

사회자는 다른 음악 방송과 비교해서, 특정 인물이 사회를 몇 회 연속해서 맡는 경우가 적다. 그래서, 사회자의 선정에도 관심이 집중되고, 정식 발표와 동시에 기자회견이 열린다. 이 기자회견은 보통 NHK 방송 센터 내의 스튜디오에서 이루어진다.

많은 경우, 양 조의 사회는 연예인이, 종합 사회는 NHK 아나운서, 그 중에서도 도쿄의 아나운서가 담당한다. 어느 경우든 사회자 중 아나운서는 적어도 한 명이 포함되는데, 이는 홍백가합전 중계 중 사고가 발생하거나, 홍백가합전 중계 직전에 다른 사회자가 출연할 수 없게 되는 등의 돌발 상황에 대응하기 위함이다.

양 조의 사회의 본업은 배우, 가수, 개그맨, 프리 아나운서, 라쿠고가 등 다양하다. 또, 꼭 사회에 익숙한 사람만이 맡는 것도 아니어서, '홍백이 첫 사회'라는 사회자도 있다. 홍백의 대본은, 생방송이라는 이유로 매우 세세하게 설정해놓아서, 진행을 하면서 애드립이 별로 필요없고, 사회자도 '사회자'라는 역할을 맡은 배우의 성질이 강하고, 사회에 익숙치 않은 사회자는 종합 사회 측에서 도와주면 되는 식이기 때문이다.

출장 가수가 사회를 겸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자신의 가창곡 소개는 자신이 직접 하거나 공동 사회자나 다른 출연자가 대신 해주는 식으로 이루어진다. 양 조의 사회자 모두 당해 홍백가합전 출장자인 경우도 있었고, 사회가 토리[모리 마사코(1985년·제36회), 와다 아키코(1987년·제38회) 등]나 오오토리[미소라 히바리(1970년·제21회)가 유일]를 맡은 출장자였던 경우도 있다.

이외에도 후루타치 이치로(古舘 伊知郎)나 미노 몬타(みの もんた)와 같이 민영 방송사 아나운서 출신의 프리 아나운서가 사회자를 맡는 경우도 있고, 한 조의 사회를 복수명이 담당(1987년·제38회)하거나 그룹이 담당하는 경우(2010년·제61회-2014년·제65회)도 있다.

게스트[편집 | 원본 편집]

게스트에는 2종류가 있다. 심사원과 심사 이외의 목적으로 출연한 게스트가 있다.

게스트 심사원은 그 해를 대표햔 저명 인사(예능인, 스포츠 관계자, 음악관계자 등)이 10인 정도 기용되어, 객석의 맨 앞줄에 앉아, 방송 초반에 소개되는 사람으로, 심사에만 참여하는 것이 아니라 방송 중에 사회자 등과도 대화를 나누고, 방송의 진행에도 관여한다. 55회 까지는 '特別審査員'으로 불렸다. 이 게스트 심사원이 누구인지는, 12월 하순에 발표된다. 게스트 심사원에 기용될 가능성이 가장 높은 사람은, 그 후년의 대하 드라마의 주연이고, 매해, 그 다음 해의 대하 드라마의 주연은 그가 사회자 등으로 기용되지 않은 이상은 매년 심사원이 된다. 스포츠 관계자는, 프로 야구의 우승 팀의 감독과 주력 선수, 스모 선수 중 그 해 유명했던 선수가 많이 기용된다. 올림픽의 메달 획득자는, 경기와 관계 없는 곳에 나가는 것을 좋지 않게 도았던 일본체육협회의 의향에 따라 원래는 선출되지 않았으나, 84년, 로스엔젤레스 올림픽 여자 배구 동메달리스트의 에가미 유미(江上由美) 이후로는 출연이 관례가 되었다. 이 게스트 심사원이 되기 위해서는 가족이나 친척 중에 정치가가 있으면 안 된다.

위의 게스트 심사원 이외에도, 다양한 저명인이 게스트로 출연한다. 출연 목적이도 여러 가지가 있는데, 출장 가수나 악곡에 관련되어 있는 사람이 응원차 출연하거나, 악곡제공자 등이 연주에 참가하거나, 회장 밖에서 중계를 해주는 진행역으로서의 출연 등등이 있다. 또, 오오미소카의 축제라는 것에서, 민방의 현직 아나운서가 NHK에 출연하는, 평소에는 있을 수 없는 협업도 실현된다.

시청률[편집 | 원본 편집]

NHK 홍백가합전의 시청률 조사는 1962년·제13회부터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다. 바로 다음 해인 1963년에 방영된 제14회의 경우 81.4%(비디오 리서치 조사)라고 하는 시청률을 기록하였다[26].

1960년대 중반부터 1980년대 초중반까지는 매년 70%대의 매우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였고(1962년부터 1969년까지의 시청률의 평균이 76.15%, 1970년부터 1979년까지의 시청률의 평균이 75.86%), 1980년대 중후반에는 시청률이 떨어지기 시작하기는 하였지만 그래도 60%대, 50%대 후반의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였다. 그러나 1989년·제40회에 시청률이 처음으로 50% 밑으로 내려갔고, 1990년대에는 시청률을 조금 회복하여 50%대 중반의 시청률을 꾸준히 기록하였지만, 2000년대 들어서 다시 시청률이 낮아지기 시작하여 현재에는 30%대 후반에서 40%대 초반 사이를 왔다갔다하고 있다. 한편 1989년에 2부제로 나뉘고 나서는 2부가 1부보다 시청률이 더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70%대를 기록하던 시청률이 30%대 후반까지 떨어지면서, 2000년대 들어 매년 정월에 발행된 신문에는 '홍백, 최저 시청률 기록'이라는 기사가 많이 실리게 되었다. 그러나 이는 어찌 보면 1970~80년대의 시청률이 이상하리만치 높았던 것이라고도 볼 수 있다. 그렇다면 1970~80년대의 홍백가합전이 경이로운 시청률을 기록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인가? 당시에는 현재와 같이 즐길 거리가 많지 않았고 연말이 되면 즐길 거리가 그나마 있는 상점가가 문을 닫는 등 온 가족이 모여 텔레비전을 보는 것 이외에는 즐길 거리가 없었다. 타 민영 방송사에서 하는 프로그램 중에는 별로 볼 것이 없었고, 홍백가합전은 당해 최고의 가수들을 모아서 공연을 하는, 온 가족이 모여서 보기에 최고의 프로그램이었던 것이다. 그러나 타 민영 방송사에서 연말에 재미있는 프로그램을 많이 방영해 주기 시작하였고, 컴퓨터, TV 게임 등 텔레비전 시청 이외의 즐길 거리도 늘어나게 된 1980년대 후반부터 홍백가합전의 시청률이 떨어지게 되었다.

각 회 시청률[편집 | 원본 편집]

회차 방영년도 평균 시청률 가수별 최고 시청률 순간 최고 시청률 타 방송사의 최고 시청률 프로그램(홍백 방영 전) 타 방송사의 최고 시청률 프로그램(홍백 방영 시)
1회 1951년 기록 없음
2회 1952년
3회 1953년 1월
4회 1953년 12월
5회 1954년
6회 1955년
7회 1956년
8회 1957년
9회 1958년
10회 1959년
11회 1960년
12회 1961년
13회 1962년 80.4%
14회 1963년 81.4% 사츠키 미도리(85.4%) 프로 레슬링 '역도산 對 데스트로여'(니혼 TV, 64.0%)
15회 1964년 72.0% 1964 동경 올림픽 여자 발레 '일본 對 소련'(NHK, 66.8%)
16회 1965년 78.1% 프로 복싱 'F하라다 對 루드킨'(후지 TV, 60.4%)
17회 1966년 74.0% 프로 복싱 'F하라다 對 조프레'(후지 TV, 63.7%)
18회 1967년 76.7% 프로 복싱 'F하라다 對 호세 카라바로'(후지 TV, 57.0%)
19회 1968년 76.9% 아침의 연속 테레비 소설 '旅路(여로)'(NHK, 56.7%)
20회 1969년 69.7% 아침의 연속 테레비 소설 'あしたこそ(내일이야말로)'(NHK, 55.5%)
21회 1970년 77.0% 뉴스 'よど号ハイジャック事件(요도 호 하이잭 사건)'(NHK, 46.2%)
22회 1971년 78.1% 아침의 연속 테레비 소설 '虹(무지개)'(NHK, 48.8%)
23회 1972년 80.6% 1972 뮌헨 올림픽 하이라이트(NHK, 58.7%)
24회 1973년 75.8% 8時だヨ!全員集合(8시라구! 전원집합)(TBS, 50.5%)
25회 1974년 74.8% 아침의 연속 테레비 소설 '北の家族(북녘의 가족)'(NHK, 51.8%)
26회 1975년 72.0% 아침의 연속 테레비 소설 '鳩子の海(하토코의 바다)'(NHK, 53.3%)
27회 1976년 74.6% 아침의 연속 테레비 소설 '雲のじゅうたん(구름의 융단)'(NHK, 48.7%)
28회 1977년 77.0% 제19회 일본 레코드 대상(TBS, 50.8%)
29회 1978년 72.2% 제60회 고교 야구 개회식(NHK, 50.8%)
30회 1979년 77.0% 아침의 연속 테레비 소설 'マー姉ちゃん(마네짱)'(NHK, 49.9%)
31회 1980년 71.1% 아침의 연속 테레비 소설 '鮎のうた(은어의 노래)'(NHK, 49.1%)
32회 1981년 74.9% 大相撲初場所千秋楽(오즈모 하츠바쇼 센슈라쿠)[27](NHK, 52.2%)
33회 1982년 69.9% 뉴스 '태풍 18호 정보'(NHK, 50.0%)
34회 1983년 74.2% 아침의 연속 테레비 소설 'おしん(오싱)'(NHK, 62.9%)[28]
35회 1984년 78.1% 미야코 하루미[29](84.4%) 1984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남자 마라톤'(NHK, 48.8%)
36회 1985년 66.0% 아침의 연속 테레비 소설 '澪つくし(미오츠쿠시)'(NHK, 55.3%) 연말시대극 스페셜 '忠臣蔵(추신구라)'(니혼 TV, 15.3%)
37회 1986년 59.4% 아침의 연속 테레비 소설 'はね駒(하네코마)'(NHK, 49.7%) 연말시대극 스페셜 '白虎隊(백호대)'(니혼 TV, 17.2%)
38회 1987년 55.2% 대하 드라마 '独眼竜正宗(독안룡 마사무네)'(NHK, 47.8%)
39회 1988년 53.9% 아침의 연속 테레비 소설 'ノンちゃんの夢(논짱의 꿈)'(NHK, 50.6%)
40회 1989년 1부 38.5%
2부 47.0%
이시카와 사유리(56.5%) 뉴스 '昭和天皇大喪の礼(쇼와 천황 대상의 예)'(NHK, 44.5%)
41회 1990년 1부 30.6%
2부 51.5%
우에키 히토시(56.6%) 아침의 연속 테레비 소설 '京、ふたり(쿄, 두사람)'(NHK, 41.6%)
42회 1991년 1부 34.9%
2부 51.5%
타니무라 신지(58.5%) '101回目のプロポ-ズ(101번째의 프로포즈)'(후지 TV, 36.7%)
43회 1992년 1부 40.2%
2부 55.2%
DREAMS COME TRUE(62.0%) 아침의 연속 테레비 소설 'おんなは度胸(여자는 배짱)'(NHK, 45.4%)
44회 1993년 1부 42.4%
2부 50.1%
코바야시 사치코(55.6%) 월드컵-아시아 지구 최종 예선 '일본 對 이라크'(TV 도쿄, 48.1%)
45회 1994년 1부 40.1%
2부 51.5%
마에카와 키요시(56.2%) 프로야구 '주니치 對 요미우리'(후지 테레비, 48.8%) ダウンタウンの裏番組[30]をブッ飛ばせ
(다운타운의 경쟁 프로그램을 힘차게 날려)
(니혼 TV, 15.3%)
46회 1995년 1부 44.9%
2부 50.4%
코메코메 CLUB(60.3%) 大相撲初場所千秋楽(오즈모 하츠바쇼 센슈라쿠)(NHK, 38.3%) '裏番組をブッ飛ばせ!!'95大晦日スペシャル
(경쟁 프로그램을 힘차게 날려!! '95 오오미소카 스페셜)'
1부(니혼 TV, 13.2%)
47회 1996년 1부 41.6%
2부 53.9%
타마키 코지(59.9%) 일본 시리즈 제2전 '요미우리 對 오릭스'(니혼 TV, 43.3%)
48회 1997년 1부 40.2%
2부 50.7%
아무로 나미에(59.1%) 월드컵 아시아지역 최종예선 '일본 對 이란'(후지 TV, 47.9%)
49회 1998년 1부 45.4%
2부 57.2%
아무로 나미에(59.1%) 1998 FIFA 월드컵 프랑스 '일본 對 크로아티아'(NHK, 60.9%)[31]
50회 1999년 1부 45.8%
2부 50.8%
고 히로미(56.6%) 금요 로드 쇼 'もののけ姫(모노노케 히메)'(니혼 TV, 35.1%)
51회 2000년 1부 39.2%
2부 48.4%
코야나기 유키・코바야시 사치코・SMAP(51.8%) 시드니 하계 올림픽 축구 준준결승 '일본 對 미국'(NHK, 42.3%)
52회 2001년 1부 38.1%
2부 48.5%
CHEMISTRY・히카와 키요시(52.4%) 2001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결승 '일본 對 프랑스'(후지 TV, 38.2%) INOKI BOM-BA-YE 2001(TBS, 14.9%)
53회 2002년 1부 37.1%
2부 47.3%
나카지마 미유키(53.8%)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일본 對 러시아'(후지 TV, 66.1%) INOKI BOM-BA-YE 2002(TBS, 16.7%)
54회 2003년 1부 35.5%
2부 45.9%
SMAP(57.1%) 피날레 전원 합창 '蛍の光(반딧불이의 빛)'(59.3%) 금요 로드 쇼 '千と千尋の神隠し(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니혼 TV, 46.9%) K-1 PREMIUM 2003 Dynamite!!(TBS, 19.5%)
55회 2004년 1부 30.8%
2부 39.3%
코바야시 사치코・텐도 요시미(46.0%) 뉴스 '태풍 22호 정보'(NHK, 37.7%) K-1 PREMIUM 2004 Dynamite!!(TBS, 20.1%)
56회 2005년 1부 35.4%
2부 42.9%
SMAP(48.6%) 최종 심사 발표(50.1%) 월드컵 아시아지역 최종 예선 '일본 對 북한'(TV 아사히, 47.2%) PRIDE 男祭り 2005 頂-ITADAKI-
(PRIDE 남자의 축제 2005 이타다키-ITADAKI-)
(후지 테레비, 17.0%)
57회 2006년 전반 30.6%
후반 39.8%
SMAP(48.8%) 2006 FIFA 월드컵 독일 '일본 對 크로아티아'(TV 아사히, 52.7%) 'K-1 PREMIUM 2006 Dynamite!!' 2부(TBS, 19.9%)
58회 2007년 전반 32.8%
후반 39.5%
SMAP(43.9%) 피날레 전원 합창 '世界に一つだけの花(세계에 하나뿐인 꽃)'(46.1%) 2007 세계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여자 프리 부문(후지 TV, 38.1%) 'K-1 PREMIUM 2007 Dynamite!!' 2부(TBS, 14.7%)
59회 2008년 전반 35.7%
후반 42.1%
슈치신 with Pabo(47.8%) 최종 심사 발표와 하이라이트(50.0%) 2008 베이징 올림픽 개회식(NHK, 37.3%) 'ダウンタウンのガキの使いやあらへんで!! 大晦日年越しスペシャル 絶対に笑ってはいけない新聞社24時
(다운타운의 가키노츠카이 야아라헨데!! 오오미소카 새해맞이 스페셜 절대로 웃으면 안 되는 신문사 24시)'
(니혼 TV, 15.4%)
60회 2009년 전반 37.1%
후반 40.8%
DREAMS COME TRUE(50.1%) WBC 세계 플라이급 타이틀 매치 '나이토 다이스케 對 카메다 코키'(TBS, 43.1%) 'Dynamite!! 〜勇気のチカラ2009〜
(Dynamite!! ~용기의 힘 2009~)'
2부(TBS, 16.7%)
61회 2010년 전반 35.7%
후반 41.7%
SMAP(48.9%) 엔딩(49.7%)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공화국 '일본 對 파라과이'(TBS, 57.3%) '大晦日年末スペシャル ダウンタウンのガキの使いやあらへんで!! 絶対に笑ってはいけないスパイ24時
(오오미소카 연말 스페셜 다운타운 가키노츠카이 야아라헨데!! 절대로 웃으면 안 되는 스파이 24시)'
1부(니혼 TV, 15.3%)
62회 2011년 전반 35.2%
후반 41.6%
SMAP(48.2%) 결과 발표 전(49.7%) '家政婦のミタ(가정부 미타)'(니혼 TV, 40.0%) 'ダウンタウンのガキの使いやあらへんで!! 絶対に笑ってはいけない空港24時
(다운타운의 가키노츠카이 야아라헨데!! 절대로 웃으면 안 되는 공항 24시)'
1부(니혼 TV, 18.7%)
63회 2012년 전반 33.2%
후반 42.5%
SMAP(49.4%) 결과 발표 전(50.8%) 월드컵 아시아지역 최종 예선 '일본 對 오스트레일리아'(TV 아사히, 35.1%) 'ダウンタウンのガキの使いやあらへんで!! 絶対に笑ってはいけない熱血教師24時
(다운타운의 가키노츠카이 야아라헨데!! 절대로 웃으면 안 되는 열혈 교사 24시)'
1부(니혼 TV, 16.8%)
64회 2013년 전반 36.9%
후반 44.5%
키타지마 사부로(50.7%) 일요극장 '半沢直樹(한자와 나오키)'(TBS, 42.2%) 'ダウンタウンのガキの使いやあらへんで!! 大晦日年越しスペシャル 絶対に笑ってはいけない地球防衛軍24時
(다운타운의 가키노츠카이 야아라헨데!! 오오미소카 새해맞이 스페셜 절대로 웃으면 안 되는 지구방위군 24시)'
1부(니혼 TV, 19.8%)
65회 2014년 전반 35.1%
후반 42.2%
마츠다 세이코(47.5%)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 '일본 對 코트디부아르'(NHK, 46.6%) 'ダウンタウンのガキの使いやあらへんで!! 絶対に笑ってはいけない大脱獄24時
(다운타운의 가키노츠카이 야아라헨데!! 절대로 웃으면 안 되는 대탈옥 24시)'
1부(니혼 TV, 18.7%)
66회 2015년 전반 34.8%
후반 39.2%
AKB48, EXILE(43.4%) 결과 발표 전의 다이제스트(45.1%) 第91回東京箱根間往復大学駅伝競走復路
(제91회 동경 하코네 간 왕복 대학 역전 경주 복로)(니혼 TV, 28.3%)
'ダウンタウンのガキの使いやあらへんで!! 大晦日年越しスペシャル 絶対に笑ってはいけない名探偵24時
(다운타운의 가키노츠카이 야아라헨데!! 오오미소카 새해맞이 스페셜 절대로 웃으면 안 되는 명탐정 24시)'
1부(니혼 TV 17.6%)
67회 2016년 전반 35.1%
후반 40.2%
아라시(43.7%) 우승 결정 순간(44.8%) SMAP×SMAP(후지 TV, 31.2%)[32] 'ダウンタウンのガキの使いやあらへんで!! 大晦日年越しスペシャル 絶対に笑ってはいけない科学博士24時
(다운타운의 가키노츠카이 야아라헨데!! 오오미소카 새해맞이 스페셜 절대로 웃으면 안 되는 과학 박사 24시)'
1부(니혼 TV, 17.7%)
68회 2017년 전반 35.8%
후반 39.4%
아무로 나미에(48.4%) 第93回東京箱根間往復大学駅伝競走復路
(제93회 동경 하코네 간 왕복 대학 역전 경주 복로)(니혼 TV, 28.4%)
24時間テレビ40 「愛は地球を救う」PART10
(24시간 테레비 40 '사랑은 지구를 구한다' PART10)(니혼 TV, 28.4%)
'ダウンタウンのガキの使いやあらへんで! 大晦日年越しスペシャル! 絶対に笑ってはいけないアメリカンポリス24時
(다운타운의 가키노츠카이 야아라헨데!! 오오미소카 새해맞이 스페셜! 절대로 웃으면 안 되는 아메리칸 폴리스 24시)'
1부(니혼 TV, )
69회 2018년 전반 37.7%
후반 41.5%
사잔 올 스타즈(45.3%) 최종 심사 결과 발표(45.5%)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일본 對 콜롬비아'(NHK, 48.7%) 'ダウンタウンのガキの使いやあらへんで! 大晦日年越しスペシャル! 絶対に笑ってはいけないトレジャーハンター24時
(다운타운의 가키노츠카이 야아라헨데! 오오미소카 새해 맞이 스페셜! 절대로 웃으면 안 되는 트레저 헌터 24시)'
1부(니혼 TV, 14.3%)
  • 시청률은 관동(関東) 지역에서 비디오 리서치가 조사한 것을 기술한다.
  • 1951년·제1회부터 1961년·제12회까지의 시청률은 비디오 리서치나 여타의 전문적인 조사처가 생기기 이전이므로 기록하지 아니한다.
  • 홍백가합전 방영 시 최고 시청률을 기록한 프로그램과 그 해의 홍백가합전을 제외한 가장 높은 시청률을 기록한 프로그램을 적는 이유는 시청률의 비교를 위함이다.

각 회 요약[편집 | 원본 편집]

각 회의 기본 방송 사항[편집 | 원본 편집]

횟수 방영일 홍팀사회 백팀사회 종합사회 우승 기타
제1회 1951년 1월 3일 카토 미치코
(加藤 道子)[33]
후지쿠라 슈이치
(藤倉 修一)[34]
타나베 마사하루
(田辺 正晴)[35]
백팀 첫 방송
제2회 1952년 1월 3일 탄게 키요코
(丹下 キヨ子)[36]
백팀
제3회 1953년 1월 2일 혼다 스가
(本田 寿賀)[37]
미야타 테루
(宮田 輝)[38]
시무라 세이쥰
(志村 正順)[39]
백팀 텔레비전 방송 실시
제4회 1953년 12월 31일 미즈노에 타키코
(水の江 瀧子)[40]
타카하시 케이조
(高橋 圭三)[41]
키타데 세이고로
(北出 清五郎)[42]
홍팀
제5회 1954년 12월 31일 후쿠시 나츠에
(福士 夏江)[43]
이시이 쇼자부로
(石井 鐘三郎)[44]
홍팀
제6회 1955년 12월 31일 미야타 테루
(宮田 輝)
홍팀
제7회 1956년 12월 31일 백팀
제8회 1957년 12월 31일 미즈노에 타키코
(水の江 瀧子)
홍팀
제9회 1958년 12월 31일 쿠로야나기 테츠코
(黒柳 徹子)[45]
홍팀
제10회 1959년 12월 31일 나카무라 메이코
(中村メイコ)
홍팀
제11회 1960년 12월 31일 백팀
제12회 1961년 12월 31일 호사카 토시아키
(穂坂 俊明)
백팀
제13회 1962년 12월 31일 모리 미츠코
(森 光子)[46]
미야타 테루
(宮田 輝)
이시이 쇼자부로
(石井 鐘三郎)
백팀 시청률 집계 실시
제14회 1963년 12월 31일 에리 치에미
(江利チエミ)[47]
홍팀
제15회 1964년 12월 31일 백팀 컬러 방송 실시
제16회 1965년 12월 31일 하야시 미치코
(林 美智子)[48]
백팀
제17회 1966년 12월 31일 페기 하야마
(ペギー葉山)[49]
홍팀
제18회 1967년 12월 31일 코코노에 유미코
(九重 佑美子)
홍팀
제19회 1968년 12월 31일 스이젠지 키요코
(水前寺 清子)[50]
사카모토 큐
(坂本 九)
백팀
제20회 1969년 12월 31일 이토 유카리
(伊藤 ゆかり)[51]
미야타 테루
(宮田 輝)
홍팀
제21회 1970년 12월 31일 미소라 히바리
(美空 ひばり)[52]
미야타 테루
(宮田 輝)
키타데 세이고로
(北出 清五郎)
홍팀
제22회 1971년 12월 31일 스이젠지 키요코
(水前寺 清子)
스즈키 분야
(鈴木 文彌)[53]
백팀
제23회 1972년 12월 31일 사가라 나오미
(佐良 直美)[54]
야마카와 시즈오
(山川 静夫)[55]
홍팀
제24회 1973년 12월 31일 스이젠지 키요코
(水前寺 清子)
홍팀
제25회 1974년 12월 31일 사가라 나오미
(佐良 直美)
야마카와 시즈오
(山川 静夫)
도몬 마사오
(土門正夫)
나카에 요조
(中江 陽三)
홍팀
제26회 1975년 12월 31일 아이카와 히로시
(相川 浩)
백팀
제27회 1976년 12월 31일 백팀
제28회 1977년 12월 31일 백팀
제29회 1978년 12월 31일 모리 미츠코
(森 光子)
백팀 스테레오 방송 실시
제30회 1979년 12월 31일 스이젠지 키요코
(水前寺 清子)
나카에 요조
(中江 陽三)
홍팀
제31회 1980년 12월 31일 쿠로야나기 테츠코
(黒柳 徹子)
홍팀
제32회 1981년 12월 31일 우부카타 케이이치
(生方 恵一)[56]
백팀
제33회 1982년 12월 31일 홍팀
제34회 1983년 12월 31일 스즈키 겐지
(鈴木 健二)[57]
타모리
(タモリ)[58]
백팀
제35회 1984년 12월 31일 모리 미츠코
(森 光子)
우부카타 케이이치
(生方 恵一)
홍팀
제36회 1985년 12월 31일 모리 마사코
(森 昌子)[59]
센다 마사호 홍팀
제37회 1986년 12월 31일 사이토 유키
(斉藤 由貴)[60]
메카타 요리코
(目加田 賴子)[61]
센다 마사호
(千田 正穂)
카야마 유조
(加山 雄三)
요시카와 세이이치
(吉川 精一)[62]
백팀
제38회 1987년 12월 31일 와다 아키코
(和田 アキ子)[63][64]
카야마 유조
(加山 雄三)
홍팀
제39회 1988년 12월 31일 스기우라 케이코
(杉浦 圭子)[65]
백팀
제40회 1989년 12월 31일 미타 요시코
(三田 佳子)[66]
타케다 데츠야
(武田 鉄矢)[67]
마츠다이라 사다토모
(松平 定知)[68]
홍팀 1·2부제 실시
제41회 1990년 12월 31일 니시다 토시유키
(西田 敏行)
백팀
제42회 1991년 12월 31일 아사노 유코 사카이 마사아키
(堺 正章)
야마카와 시즈오
(山川 静夫)
홍팀
제43회 1992년 12월 31일 이시다 히카리
(石田 ひかり)[69]
백팀
제44회 1993년 12월 31일 모리타 미유키(森田 美由紀)[70] 백팀
제45회 1994년 12월 31일 카미누마 에미코
(上沼 恵美子)
후루타치 이치로
(古舘󠄁 伊知郎)
미야카와 야스오
(宮川 泰夫)
홍팀
제46회 1995년 12월 31일 미야모토 류지
(宮本 隆治)
쿠사노 미츠요
(草野 満代)
백팀
제47회 1996년 12월 31일 마츠 타카코
(松 たか子)
백팀
제48회 1997년 12월 31일 와다 아키코
(和田 アキ子)
나카이 마사히로
(中居 正広)
미야모토 류지
(宮本 隆治)
백팀
제49회 1998년 12월 31일 쿠보 준코
(久保 純子)
홍팀
제50회 1999년 12월 31일 고다이메 나카무라 칸쿠로
(五代目 中村 勘九郎)
백팀
제51회 2000년 12월 31일 이즈미 모토야
(和泉 元彌)
홍팀
제52회 2001년 12월 31일 우도 유미코
(有働 由美子)
아베 와타루
(阿部 渉)
미야케 타미오
(三宅 民夫)
백팀
제53회 2002년 12월 31일 홍팀
제54회 2003년 12월 31일 우도 유미코
(有働 由美子)
젠바 타카코
(膳場 貴子)
아베 와타루
(阿部 渉)
타카야마 테츠야
(高山 哲哉)
타케우치 토코
(武内 陶子)
백팀
제55회 2004년 12월 31일 오노 후미에
(小野 文惠)
아베 와타루
(阿部 渉)
호리오 마사아키
(堀尾 正明)
홍팀
제56회 2005년 12월 31일 나카마 유키에
(仲間 由紀恵)
야마모토 코지
(山本 耕史)[71]
미노 몬타
(みの もんた)
야마네 모토요
(山根 基世)
백팀
제57회 2006년 12월 31일 나카이 마사히로
(中居 正広)
미야케 타미오
(三宅 民夫)
쿠로사키 메구미
(黒崎 めぐみ)
백팀
제58회 2007년 12월 31일 나카이 마사히로
(中居 正広)
쇼후쿠테이 츠루베
(笑福亭 鶴瓶)
마츠모토 카즈야
(松本 和也)
스미요시 미키
(住吉 美紀)
백팀
제59회 2008년 12월 31일 나카마 유키에
(仲間 由紀恵)
나카이 마사히로
(中居 正広)
마츠모토 카즈야
(松本 和也)
오노 후미에
(小野 文惠)
백팀
제60회 2009년 12월 31일 아베 와타루
(阿部 渉)
홍팀
제61회 2010년 12월 31일 마츠시타 나오
(松下 奈緒)
아라시
(嵐)
백팀
제62회 2011년 12월 31일 이노우에 마오
(井上 真央)
홍팀
제63회 2012년 12월 31일 호리키타 마키
(堀北 真希)
우도 유미코
(有働 由美子)
백팀
제64회 2013년 12월 31일 아야세 하루카
(綾瀬 はるか)
백팀
제65회 2014년 12월 31일 요시타카 유리코
(吉高 由里子)
백팀
제66회 2015년 12월 31일 아야세 하루카
(綾瀬 はるか)
이노하라 요시히코
(井ノ原 快彦)
쿠로야나기 테츠코
(黒柳 徹子)
우도 유미코
(有働 由美子)
홍팀
제67회 2016년 12월 31일 아리무라 카스미
(有村 架純)
아이바 마사키
(相葉 雅紀)
타케다 신이치
(武田 真一)
홍팀
제68회 2017년 12월 31일 니노미야 카즈나리
(二宮 和也)
우치무라 테루요시
(内村 光良)
쿠와코 마호
(桑子 真帆)
백팀
제69회 2018년 12월 31일 히로세 스즈
(広瀬 すず)
사쿠라이 쇼
(櫻井 翔)
백팀
제70회 2019년 12월 31일 아야세 하루카
(綾瀬 はるか)
우치무라 테루요시
(内村 光良)
와쿠다 마유코
(和久田 麻由子)
백팀
제71회 2020년 12월 31일 니카이도 후미
(二階堂 ふみ)
오이즈미 요
(大泉 洋)
우치무라 테루요시
(内村 光良)
쿠와코 마호
(桑子 真帆)
백팀

각 해의 토리 가수와 그 곡목[편집 | 원본 편집]

횟수 방영년도 홍조 토리 백조 토리
가수 곡목 가수 곡목
제1회 1951년 와타나베 하마코 桑港のチャイナ街
(샌프란시스코의 차이나 타운)
후지야마 이치로 長崎の鐘
(나가사키의 종)
제2회 1952년 와타나베 하마코 火の鳥
(불의 새)
후지야마 이치로 オリンピックの歌
(올림픽의 노래)
제3회 1953년 1월 카사기 시즈코 ホームラン・ブギ
(홈런 부기)
하이다 카츠히로 野球小僧
(야구소승)
제4회 1953년 12월 아와야 노리코 アデュー
(아듀)
후지야마 이치로 丘は花ざかり
(언덕은 꽃이 한창이다)
제5회 1954년 와타나베 하마코 東京の薔薇
(동경의 장미)
키리시마 노보루 石狩エレジー
(이시카리 엘레지)
제6회 1955년 후타바 아키코 バラのルンバ
(장미의 룸바)
후지야마 이치로 ニコライの鐘
(니콜라이의 종)
제7회 1956년 카사기 시즈코 ヘイ・ヘイ・ブギ
(헤이 헤이 부기)
하이다 카츠히로 白銀の山小舎で
(산 속 은백의 작은 집에서)
제8회 1957년 미소라 히바리 長崎の蝶々さん(나가사키의 나비씨) 미하시 미치야 リンゴ花咲く故郷へ(사과 꽃이 피는 고향에)
제9회 1958년 미소라 히바리 白いランチで十四ノット
(하얀 론치로 14노트)
미하시 미치야 おさらば東京
(잘 있거라 도쿄)
제10회 1959년 미소라 히바리 御存知弁天小僧 카스가 하치로 東京の蟻
(도쿄의 개미)
제11회 1960년 시마쿠라 치요코 他国の雨
(다른 나라의 비)
미하시 미치야 達者でナ
제12회 1961년 시마쿠라 치요코 襟裳岬
(에리모 곶)
미나미 하루오 文左たから船
(분자 보물선)
제13회 1962년 시마쿠라 치요코 さよならとさよなら
(안녕과 안녕)
미하시 미치야 星屑の街
제14회 1963년 미소라 히바리 哀愁出船 미나미 하루오 佐渡の恋唄
(사도의 사랑 노래)
제15회 1964년 미소라 히바리
(유술)
미나미 하루오 俵星玄蕃
(타와라보시 겐바)
제16회 1965년 미소라 히바리
(유술)
하시 유키오 あの娘と僕
(저 처녀와 나)
제17회 1966년 미소라 히바리 悲しい酒
(슬픈 술)
미나미 하루오 紀伊國屋分左衛門
(키노쿠니야 분자에몬)
제18회 1967년 미소라 히바리 芸道一代
(예도 일대)
미나미 하루오 赤垣源蔵
(아카가키 겐조)
제19회 1968년 미소라 히바리 熱禱
(열도[72])
하시 유키오 赤い夕陽の三度笠
(붉은 석양의 삿갓)
제20회 1969년 미소라 히바리 別れてもありがとう
(헤어져도 고마워)
모리 신이치 港町ブルース
(항구 도시 블루스)
제21회 1970년 미소라 히바리 人生将棋
(인생 장기)
모리 신이치 銀座の女
(긴자의 여인)
제22회 1971년 미소라 히바리 この道をゆく
(이 길을 가겠다)
모리 신이치 おふくろさん
(어머니)
제23회 1972년 미소라 히바리 ある女の詩
(어느 여인의 노래)
키타지마 사부로 冬の宿
(겨울의 여관)
제24회 1973년 시마쿠라 치요코 からたち日記
(탱자나무 일기)
키타지마 사부로 帰ろかな
(돌아갈까)
제25회 1974년 시마쿠라 치요코 襟裳岬
(에리모 곶)
모리 신이치 襟裳岬
(에리모 곶)
제26회 1975년 시마쿠라 치요코 悲しみの宿
(슬픔의 여관)
이츠키 히로시 千曲川
(치쿠마 강)
제27회 1976년 미야코 하루미 北の宿から
(북녘의 여관에서)
이츠키 히로시 愛の始発
(사랑의 시발[73])
제28회 1977년 야시로 아키 おんな港町
(여자의 항구 도시)
이츠키 히로시 灯りが欲しい
(밝은 빛을 원하오)
제29회 1978년 야마구치 모모에 プレイバックPart2
(플레이 백 파트 2)
사와다 켄지 LOVE (抱きしめたい)
[LOVE(끌어안고 싶어)]
제30회 1979년 야시로 아키 舟唄
(뱃노래)
이츠키 히로시 おまえとふたり
(너와 둘이서)
제31회 1980년 야시로 아키 雨の慕情
(비의 모정)
이츠키 히로시 ふたりの夜明け
(두 사람의 새벽녘)
제32회 1981년 모리 마사코 哀しみ本線日本海 키타지마 사부로 風雪ながれ旅
제33회 1982년 미야코 하루미 涙の連絡船
(눈물의 연락선)
모리 신이치 影を慕いて
(그림자를 그리워하여)
제34회 1984년 스이젠지 키요코 あさくさ物語
(아사쿠사 이야기)
호소카와 타카시 矢切の渡し
(야기리의 나루터)
제35회 1984년 미야코 하루미 夫婦坂
(부부 고개)
+
好きになった人
(좋아하게 된 사람)
모리 신이치 北の螢
(북녘의 반딧불)
제36회 1985년 모리 마사코 愛傷歌
(애상가)
모리 신이치 女もよう
제37회 1986년 이시카와 사유리 天城越え
(아마기 고개)
모리 신이치 ゆうすげの恋
(원추리꽃의 사랑)
제38회 1987년 와다 아키코 抱擁
(포옹)
이츠키 히로시 追憶
(추억)
제39회 1988년 고바야시 사치코 雪椿 키타지마 사부로 年輪
(연륜)

관련 영상[편집 | 원본 편집]

1969년 홍백가합전

각주

  1. 다카라즈카가극단의 전용 극장
  2. 合戦(かっ‐せん)은 '격렬히 싸우는' 모습을 나타내는 말이고(작은 따옴표 부분이 문제가 됨), 試合(し‐あい)는 스포츠, 무예 등의 기술을 겨루는 것이다.
  3. 방송 전인 1951년 1월 1일자 朝刊 '毎日新聞' 8면의 프로그램 소개 기사에 출장 가수들의 이름이 기재되어 있다.
  4. 일본의 텔레비전 방송은 1953년 2월 1일부터 시작되었다.
  5. 여기 언급된 가수들은 홍백가합전이 12월 31일에 방영되면서 모두 출장하였다.
  6. 1965년·제16회~1969년·제20회, 1971년·제22회
  7. 미야타의 부인은 오픈 릴 데크 두 대를 이용하여, 한 대가 녹화를 마치면 바로 다른 한 대를 가지고 녹화하는 방식으로 녹화를 하였다고 한다. 개인이 한 것치고는 깨끗하게 녹화가 되어 있다. 그러나 개인이 한 것이니만큼 빠져있는 부분도 일부 있다.
  8. 그 중, 컬러 필름은 NHK 창고에 나뒹굴고 있던 자료로, 전체 2시간 30분의 내용 중 1시간 40분이 남아 있다.
  9. 이렇게 1960년대~70년대 초의 자료를 개인에게 제공받게 된 이유는 그때 당시의 방송용 VTR인 2인치 VTR이 고가였기 때문에 재사용해서 그렇다. 본격적으로 방송 프로그램을 녹화하여 보존하는 것은 1980년대부터 시작되었다.
  10. 1989년 홍백가합전 1부는 쇼와의 홍백, 2부는 헤이세이의 홍백이라는 부제가 있었다
  11. 참고로 이 곡은 1989년 일본 레코드 대상 수상곡이다. 그래서 당시 사회자가 レコード大賞おめでとう!(레코드 대상 축하해요)라고 아나운스하였다.
  12. 일본에서의 미성년자라 함은 만 20세 미만의 자를 말한다.
  13. 일본에서의 미성년자라 함은 만 20세 미만의 자를 말한다.
  14. 1971년, 일본 데뷔곡인 雨の御堂筋(비 내리는 미도스지)가 크게 히트하고 그 후에 낸 곡도 연달아 히트하면서 높은 인기를 구가하였고, 그 영향으로 홍백가합전에 출장
  15. 1979년, 魅せられて의 대히트(오리콘 추산 120만장 판매)로 1979년 일본 레코드 대상을 수상하는 등 그해 최고 인기 가수 중 한 명이었고, 그 영향으로 홍백가합전에도 출장한다.
  16. 이 이유로 출장을 사퇴하는 것은 1980년대까지는 빈번한 일이었으나, 2부제 시행 등으로 인하여 시간이 비교적 널널해진 2000년대 이후에는 홍백가합전 측에서 카운트다운 콘서트장을 연결해서 출장하는 경우도 많다.
  17. 1975년 12월 1일에 발매되었다.
  18. 1975년 12월 첫째 주 주간 오리콘 차트에서 84위를 기록하였다.
  19. 오리콘 차트 기준
  20. 1976년 연간 오리콘 차트 3위 기록. 이해 연간 오리콘 차트 1위는 'およげ! たいやきくん(헤엄쳐! 붕어빵 군)'이라는 동요였고, 2위는 Beautiful Sunday라는 영국 곡이었다.
  21. 이전에도 많은 가수들의 앨범에 수록된 곡이었으나, 아키카와 마사후미가 홍백가합전에서 피로하게 된 것을 계기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22. 1978년에는 예외적으로 야마구치 모모에(山口 百恵)와 사와다 켄지(沢田 研二)가 토리를 맡았다.
  23. 두 번째 출장이자 3년만의 출장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오오토리를 맡았다.
  24. 이 해에 부른 노래인 柔(야와라)는 전년도인 1964년·제15회 홍조 토리곡이었다. 또한 이 노래는 1965년 레코드 대상 수상작이기도 하다.
  25. 대표적으로 1970년 남녀가수 인기 No.1이었던 아오에 미나(1970년 홍조 토리 유력 후보였으나 결국 토리마에로 그치었다.)와 모리 신이치, 스이젠지 키요코(1971년 홍조 토리 유력 후보, 그녀 역시 토리마에로 그치었다.) 등이 있다.
  26. 닐슨의 조사에 의하면, 89.8%의 시청률을 기록하였다.
  27. 1월에 개최되는 오즈모(大相撲, 프로 스모) 대회[통칭 初場所(하츠바쇼)라 함.]의 마지막 날[千秋楽(센슈라쿠)라 일컬음.]에 열리는 경기
  28. 일본 드라마 사상 최고 시청률을 기록한 드라마이다. 총 297회.
  29. 한창 인기 절정[1980년과 1983년에 각각 大阪しぐれ(오사카에 내리는 가을비)와 浪花恋しぐれ(나니와에 내리는 사랑의 가을비)라는 음반이 밀리언셀러가 되었다.]에 있던 이해 3월에 은퇴 선언을 하였으며, 이해의 홍백가합전 무대가 그녀의 마지막 무대가 되면서 그녀는 물론이거니와 이해의 홍백가합전 자체가 예년보다 더 많은 관심을 받게 되었다. 본래의 가창곡이던 夫婦坂(부부 고개, 오리콘 차트 최고 5위, 1984년 연간 오리콘 차트 27위 기록)를 열창한 후 관객들로부터 앙코르를 받고 好きになった人(좋아하게 된 사람, 미야코의 1969년 히트곡)을 피로하였고, 홍백가합전이 끝남과 동시에 가요계를 은퇴하였다.
  30. 우라방구미, 어떠한 인기 프로그램에 대항하여 같은 시간대에 내보내는 다른 방송국의 프로그램을 일컫는 말.
  31. 당시 일본은 이 대회에 처음 월드컵 본선에 진출하였다.
  32. 15분 이상의 프로그램 중 1위. 홍백 제외 모든 프로그램 중에서는 2016년 NHK의 최후의 뉴스인 'ニュース'(20:55-21:00)가 40.4%(순간 시청률은 41.3%)로 1위를 차지하였다(홍백의 후반부 시청률보다도 0.2% 높다). 그러나 비디오 리서치는 15분 이하의 방송 프로그램은 조사를 행하지 않으므로 후술되는 원칙에 따라 SMAP×SMAP를 적었다.
  33. 1919년(大正 8年) - 2004년(平成 16年)(향년 84세). 일본의 여배우, 성우
  34. 1914년(大正 3年) - 2008년(平成 20年)(향년 93세). 일본의 아나운서, 방송평론가
  35. 前 NHK 아나운서
  36. 1920년(大正 9年) - 1998년(平成 10年)(향년 78세). 일본의 가수, 성우
  37. 前 NHK 아나운서
  38. 1921년(大正 10年) - 1990년(平成 2年)(향년 68세). 일본의 아나운서. 昭和 49年(1974년)부터 平成 2年(1990년)까지 참의원을 지냈다.
  39. 1913년(大正 2年) - 2007년(平成 19年)(향년 94세). 일본의 아나운서. 주로 NHK에서 스모, 프로 야구 등의 스포츠 실황 중계를 맡았다.
  40. 1915년(大正 4年) - 2009년(平成 21年)(향년 94세). 일본의 여배우, 영화 프로듀서
  41. 1918년(大正 7年) - 2002년(平成 14年)(향년 84세). 일본의 아나운서. 일본 최초의 프리 아나운서이다. 昭和 52年(1977년)부터 昭和 58年(1983년)까지 참의원을 지냈다.
  42. 1922년(大正 11年) - 2003년(平成 15年)(향년 80세). 前 NHK 아나운서.
  43. 前 NHK 아나운서
  44. 일본의 아나운서. 홍백 종합 사회 연속 담당 및 통산 담당 횟수 최장·최다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45. 1933年(昭和 8年) - (現 85세). 일본의 유명 MC이자 배우. 일본의 오프라 윈프리라고 불린다.
  46. 1920년(大正 9年) - 2012년(平成 24年)(향년 92세). 일본의 배우, 가수. 주요 출연작으로는 시간 다 됐어요(時間ですよ, 1970년작, 마츠노 마츠(松野まつ, 주인공) 역), 모노노케 히메(히이사마 역으로 출연) 등이 있다.
  47. 1937년(昭和 12年) - 1982년(昭和 57年)(향년 45세). 일본의 가수, 여배우.
  48. 1939년(昭和 14年) - (現 80세). 일본의 여배우. 출연한 대표작으로는 北の国から, 昔の男 등이 있음
  49. 1933년(昭和 8年) - 2017년(平成 29年)(향년 83세). 일본의 가수, 텔런트. 대표곡으로는 南国土佐を後にして(1959년), 学生時代(1964년) 등이 있다.
  50. 1945년(昭和 20年) - (現 74세). 일본의 가수, 여배우
  51. 1947년(昭和 22年) - (現 72세). 일본의 가수, 여배우
  52. 당초 이 해의 홍조 사회는 쿠로야나기 테츠코로 내정이 되어 있었으나, 미소라 히바리가 맡게 되었다.
  53. 1925년(大正 14年) - 2013년(平成 25年)(향년 88세). 일본의 프리 아나운서, 스포츠 평론가.
  54. 1945년(昭和 20年) - (現 75세). 일본의 가수, 여배우, 작곡가.
  55. 1933년(昭和 8年) - (現 86세). 일본의 프리 아나운서이자 예능평론가(특히 가부키), 에세이스트.
  56. 1933년(昭和 8年) - 2014년(平成 26年)(향년 81세). 前 NHK 아나운서. 1984년·제35회 NHK 홍백가합전에서의 미소라 발언(당시 오오토리를 맡았던 미야코 하루미의 이름을 미소라(일본의 유명 엔카가수 美空ひばり 지칭)라고 말한 사건. 당시 순간 시청률이 80%가 넘어 85%까지 나오던 상황에서 이런 실수를 저질렀다.)으로 널리 알려짐.
  57. 1929년(昭和 4年) - (現 92세). NHK 아나운서. 사회를 본 대표작으로는 '歴史への招待(역사에의 초대)' 등이 있다.
  58. 1945년(昭和 20年) - (現 76세). 일본의 개그맨. NHK 홍백가합전 역사상 최초로 NHK 아나운서가 아닌 사람이 종합 사회를 맡았다.
  59. 이 해가 은퇴 전 마지막 출연이자(은퇴 후인 2001년에 출연, 복귀 후 2006년에 출연한 적이 있다.),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사회를 맡은 해였다.
  60. 일본의 가수. 당해 홍백가합전에도 출장하였다.
  61. 前 NHK 수석 아나운서. 현재는 NHK 월드 국제기획부 수석 디렉터로 활동하고 있다.
  62. 1941년(昭和 16年) - (現 80세). 前 NHK 아나운서. 현재는 엔카 가수로도, 에세이스트로도 활동하고 있다.
  63. 1950년(昭和 25年) - (現 71세). 일본의 가수, 탤런트, 사회자, 라디오 진행자.
  64. 처음 선출되었을 때는 유키 사오리, 마츠다 세이코, 사쿠라다 준코와 경쟁하여 뽑혔고, 다음 회에는 87년의 실적으로 한번 더 선출되었다. 10년 후 한 번 더 선출되었다.
  65. 1958년(昭和 33年) - (現 62세). 前 NHK 히로시마 방송국 이그제큐티브 아나운서(エグゼクティブ アナウンサー).
  66. 1941년(昭和 16年) - (現 79세). 일본의 여배우. 대표작으로는 NHK 대하드라마 『いのち(목숨)』『花の乱(꽃의 난)』 등이 있다.
  67. 1949년(昭和 24年) - (現 72세). 일본의 가수, 배우, 사회자. 포크 그룹 '카이엔타이(海援隊)'의 리드 보컬이다. 대표곡으로는 『贈る言葉』 등이 있다. 출연한 대표작으로는 NHK 대하드라마 『徳川家康(도쿠가와 이에야스)』 등이 있다.
  68. 1944년(昭和 19年) - (現 76세). 前 NHK 이그제큐티브 아나운서.
  69. 1972년(昭和 47年) - (現 46세). 일본의 여배우.
  70. 1959년(昭和 34年) - (現 61세). NHK 아나운서.
  71. 1976년(昭和 51年) - (現 44세). 일본의 배우, 가수.
  72. 열심히 기도함.
  73. 일이 처음으로 시작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