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관계

한국중국 사이의 관계에 대한 문서.

역사[편집 | 원본 편집]

한국과 중국의 최초의 왕국인 고조선하나라는 엇비슷한 시기에 형성되었다.[1] 고대에 한국과 중국은 서로 멀리 떨어져 있었기에 한동안 이렇다고 할 접촉은 없었다. 이후 고조선의 영토가 거대해지면서 고조선은 연나라와 비등한 수준으로 강력해졌다. 고조선이 철기 문화를 받아들이고 중계무역으로 이득을 보자 위협감을 느낀 한나라가 고조선을 멸망시켰다.

이후 한나라도 멸망하고 위진남북조 시대라는 혼란기가 이어지면서 중국은 한국에 간섭할 수 없었다. 수나라가 중국을 통일하고 고구려 원정을 무리하게 추진했으나 고구려의 저항으로 실패해 결국 멸망했고 이후 당나라가 중국을 다시 통일했다. 당나라는 일단 신라와 동맹을 맺고 백제와 고구려를 멸망시켰다. 이후 당나라는 신라를 배신하고 한반도를 정복하려고 했으나 실패했고 한참 뒤에야 양국 간 교류가 재개됐다.

신라와 당나라가 비슷한 시기 멸망하고 한국과 중국에는 각각 고려송나라가 세워졌다. 이 시기 고려와 송나라는 요나라를 비롯한 북방민족들과 대립하고 있었기에 교류가 활발했다. 그러나 몽골이 나타나 고려와 송나라를 침공하면서 고려와 송나라 사이의 교류가 중단되었다. 이후 송나라가 원나라에 의해 멸망하면서 원나라는 고려에 간섭했으나 한편으론 양국 간 문화교류도 이루어졌다. 이후 명나라가 몽골을 북쪽으로 몰아내고 고려에 무리한 조공을 요구했다. 이에 고려는 요동정벌을 추진했으나 위화도 회군으로 인해 고려 왕조가 멸망하고 조선이 건국되었다.

조선은 초기에 명나라에 부정적이었으나 태종 때 국교가 정상화되었다. 이후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명나라는 일본에 맞서 조선을 도왔다. 이후 청나라가 조선과 명나라를 침공하면서 조선과 명나라 사이의 교류가 중단되었다. 청나라가 명나라를 멸망시키자 조선에서는 북벌운동이 추진되는 한편 중화주의가 유행했었다. 얼마 안 가 북벌운동이 무산됐고 조선과 청나라는 다시 교류를 시작했다.

근대[편집 | 원본 편집]

이후 청나라가 영국, 프랑스서양 열강에게 참패하며 중국 중심의 국제정세가 흔들리자 조선은 서양 열강과 수교하기 시작했다. 이후 조선에서 임오군란, 동학농민운동이 발발하자 청나라는 군대를 파병해 이를 진압했다. 그러나 동학농민운동 때에는 일본이 조선에 간섭하면서 청일전쟁으로 번지게 되었고 전쟁 후 청나라는 조선에 대한 영향력을 포기했다. 몇 년 뒤 대한제국이 일본과 강제 병합조약을 승인하여 병합되고 이듬해 청나라가 신해혁명으로 멸망했다.

현대[편집 | 원본 편집]

제1차 세계대전 이후 한국에서 3.1 운동이 벌어지자 중국에서도 영향을 받아 5.4 운동이 일어나 국민당이 결성되었고, 3.1 운동으로 인해 수립된 대한민국 임시정부중화민국을 중심으로 활동했다. 국민정부는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냉소적이었으나 홍커우 공원 의거 이후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적극적으로 지원했다. 이후 중일전쟁이 발발하자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일본에 맞서 한국광복군을 창설했다. 일본의 패색이 짙어지자 중화민국은 종전 후 한국의 즉각독립을 주장했으나 영국, 미국 등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중일전쟁 후 한국이 미국, 소련에 점령당할 사이 국민정부는 내전으로 인해 공산당에 본토를 빼았겼다. 이후 중국 공산당은 북한 정권을 지원했고 북한은 이후 6.25 전쟁을 일으켰다. 남한과 UN군이 북한을 수세에 넣자 중국 공산당은 이를 저지했고 전선이 고착화된 채 휴전이 이루어졌다. 이후 35년 가까이 이어진 대한민국의 반공정권은 중화민국과 교류를 이어나갔으나, 노태우 정부 때 북방외교의 일환으로 대한민국은 중화인민공화국과 수교를 맺고 중화민국과 단교하게 되었다. 이는 중화민국의 반한세력을 키우는 원인이 되었다.


중국이 급속도로 경제성장을 이루고 있는 만큼 대한민국 정부는 중국과 경제적 협력을 중시해왔다. 박근혜 정부 시절에는 대통령이 직접 전승절에 참석하기도 하는 등 한중관계는 나쁘지는 않았다. 그러나 주한미군의 THAAD 배치 이후 중국이 한한령등을 남발하면서 중국에 의존하던 업계들은 타격을 입었고 당시 중국의 망언으로 중국에 대한 여론이 악화되었는데 당시 정부의 무책임한 태도는 이를 더 악화시켰다. 이후로도 홍콩 민주화시위, 중국 발생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사태 등으로 중국의 만행이 계속되어 여론은 갈수록 악화되는 상황이다. 정부에서도 중국 시장에 대한 의존도를 줄여볼 목적으로 신남방정책 등 정책을 추진하였지만 동남아시아의 경제력이 아직 중국 시장을 대체할 수준이 아니라 얼마나 효과가 있을지는 알 수 없다.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에서 편파 판정 논란이 일어나면서 다시금 반중정서가 상승하고 있다.

각주

  1. 외국, 일부 국내 학계에서는 기원전 2333년 건국을 신화의 영역으로 보고 1000년 미만을 건국 시기로 잡고 있기는 하다. 일본도 마찬가지로 진무천황도 신화의 영역으로 보고 실제 건국조로 보고 있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