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바뀜
  • 임의 문서
  • 게시판
    위키방자유게시판이슈 트래커
  • 도구
    특수 문서 목록업로드
  • 도움말
    개요위키 문법TeX 문법이슈 트래커
  • 최근 바뀜
  • 최근 토론
  •  
  •  
  •  
  •  
  •  
  •  
  •  
  •  
  •  
  •  
더 보기
  • 신규 사용자분께서는 리브레 위키:환영합니다 필독해주세요.
  • 가입 후 지속적인 기여는 위키에 큰 도움이 됩니다.
  • 로그인이 잘 되지 않을 경우 여기에서 로그인해주세요.
편집토론기록
새로 고침주시여기를 가리키는 문서정보

한글 낱자

분류:
  • 한글 낱자
숨은 분류:
  • 퍼온 문서

한글 낱자 또는 한글 자모(子母)는 한글의 닿소리와 홀소리를 같이 이르는 말이다.

훈민정음이 지어졌을 때에는 모두 28자와 중국의 잇소리를 쓰기 위한 글자 10개가 있었다. 1527년에 쓰인 훈몽자회에서는 ㆆ(여린히읗)이 빠지고, 1933년 한글 맞춤법 통일안에서는 ㆁ(옛이응), ㅿ(반시옷/반시읏), ㆍ(아래아)가 빠졌다. 지금은 다음 24자가 쓰인다.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일반적으로 한 낱자는 한 소리를 나타내고, 두 낱자를 합쳐서(한글 겹낱자) 다른 소리를 나타낸다. 단, 음성학적으로는 거센소리 ㅊ, ㅋ, ㅌ, ㅍ는 각각 ㅈ, ㄱ, ㄷ, ㅂ과 ㅎ이 합쳐진 겹닿소리이며, ㅑ, ㅕ, ㅛ, ㅠ는 이중 모음이다.

목차

  • 1 낱자의 차례
  • 2 겹낱자
    • 2.1 조합 원리
    • 2.2 자소 수
  • 3 각주

1 낱자의 차례[편집]

훈민정음(1446)에서는 닿소리의 순서를 종류에 따라 정했다.

  • ㄱ, ㅋ, ㆁ, ㄷ, ㅌ, ㄴ, ㅂ, ㅍ, ㅁ, ㅈ, ㅊ, ㅅ, ㆆ, ㅎ, ㅇ, ㄹ, ㅿ
  • ㆍ, ㅡ, ㅣ, ㅗ, ㅏ, ㅜ, ㅓ, ㅛ, ㅑ, ㅠ, ㅕ,ㅖ,ㅒ

훈몽자회(1527)에서는 주요 여덟 닿소리를 처음에 놓고 나머지를 그 낱자가 파생한 글자에 따라 배열했다. 예를 들어 ㅋ은 ㄱ에서 왔으므로 ㄷ에서 온 ㅌ보다 앞에 놓이는 식이다.

  •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ㆁ, ㅋ, ㅌ, ㅍ, ㅈ, ㅊ, ㅿ, ㅇ, ㅎ
  •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ㆍ

삼운성휘(홍계희, 1751)

  •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ㆁ, ㅈ, ㅊ, ㅌ, ㅋ, ㅍ, ㅎ
  •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ㆍ

국문연구의정안(국문연구소, 1907)

  • ㆁ,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ㅈ, ㅊ, ㅌ, ㅋ, ㅍ, ㅎ
  •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ㆍ

한글 맞춤법 통일안(1933)

  •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ㅌ, ㅋ, ㅍ, ㅎ
  •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오늘날의 낱자 순서는 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대한민국과 북한이 같지만, 세부적인 점에서 서로 다르다.

대한민국에서는 글자의 모양에 따라서 그 순서를 정하는데, ㄱ 바로 다음에 ㄲ이 오고, ㅏ 다음에 ㅐ가 오는 식이다. 과거에는 글자의 순서를 가-까-각-깍-··· 식으로 했는데, 지금은 가-각-···-깋-까-깍-··· 식으로 바뀌었다. 현재 국어사전에서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실려 있다.

  • 초성: ㄱ, ㄲ, ㄴ, ㄷ, ㄸ, ㄹ, ㅁ, ㅂ, ㅃ, ㅅ, ㅆ, ㅇ, ㅈ, ㅉ, ㅊ, ㅋ, ㅌ, ㅍ, ㅎ
  • 중성: ㅏ, ㅐ, ㅑ, ㅒ, ㅓ, ㅔ, ㅕ, ㅖ, ㅗ, ㅘ, ㅙ, ㅚ, ㅛ, ㅜ, ㅝ, ㅞ, ㅟ, ㅠ, ㅡ, ㅢ, ㅣ
  • 종성: ㄱ, ㄲ, ㄳ, ㄴ, ㄵ, ㄶ, ㄷ, ㄹ, ㄺ, ㄻ, ㄼ, ㄽ, ㄾ, ㄿ, ㅀ, ㅁ, ㅂ, ㅄ, ㅅ, ㅆ, ㅇ, ㅈ, ㅊ, ㅋ, ㅌ, ㅍ, ㅎ

북한에서는 겹낱자를 항상 모든 홑낱자 뒤에 두고 있다. 북한 사전에는 ㅇ으로 시작하는 낱말 페이지가 따로 없는데, ㅇ으로 시작하는 낱말은 닿소리가 아닌 홀소리로 시작하는 것으로 여기기 때문에 닿소리로 시작하는 낱말이 끝나고 난 다음에 홀소리로 실려 있다. 현재 조선어사전에는 다음과 같이 실려 있다.

  • 초성: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ㅈ, ㅊ, ㅋ, ㅌ, ㅍ, ㅎ, ㄲ, ㄸ, ㅃ, ㅆ, ㅉ, ㅇ
  • 중성: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ㅐ, ㅒ, ㅔ, ㅖ, ㅚ, ㅟ, ㅢ, ㅘ, ㅝ, ㅙ, ㅞ
  • 종성: ㄱ, ㄳ, ㄴ, ㄵ, ㄶ, ㄷ, ㄹ, ㄺ, ㄻ, ㄼ, ㄽ, ㄾ, ㄿ, ㅀ, ㅁ, ㅂ, ㅄ,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ㄲ, ㅆ

2007년 대한민국과 북한의 언어학자들이 합의한 낱자 순서[1]

  •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ㄲ, ㄸ, ㅃ, ㅆ, ㅉ

옛한글을 실을 때에 ㅿ은 ㅅ 다음에, ㆁ은 ㅇ 다음에, ㆆ은 ㅎ 다음에 위치한다. ㆍ는 대한민국에서는 ㅣ 다음에, 북한에서는 ㅏ 다음에 위치한다.

2 겹낱자[편집]

한글 겹낱자는 같은 종류의 한글 낱자 둘 이상이 합쳐져서 만들어진 글자를 이른다. 겹낱자는 각 낱자들이 합쳐진 소리를 나타낸다.

현대 한글에 남아 있는 한글 겹낱자는 각각 다음과 같다.

  • 첫소리: ㄲ, ㄸ, ㅃ, ㅆ, ㅉ
  • 가운뎃소리: ㅐ, ㅔ, ㅘ, ㅙ, ㅚ, ㅝ, ㅞ, ㅟ, ㅢ, ㅒ, ㅖ
  • 끝소리: ㄲ, ㄳ, ㄵ, ㄶ, ㄺ, ㄻ, ㄼ, ㄽ, ㄾ, ㄿ, ㅀ, ㅄ, ㅆ

과거에는 쓰였으나 현대 한글에는 없는 낱자들.

  • ㆉ, ㆎ 등

2.1 조합 원리[편집]

한글 겹낱자는 그 조합 원리에 따라서 몇 가지로 나눌 수 있다.

  • 합용 병서(合用竝書): 다른 낱자를 가로로 조합하는 경우 (ㄳ, ㄶ, ㄻ 등)
  • 각자 병서(各自竝書): 같은 낱자를 가로로 조합하는 경우 (ㄲ, ㅉ 등)
  • 연서(連書): 낱자를 위아래로 조합하는 경우 (ㅸ, ㅱ 등)

2.2 자소 수[편집]

  • 옛한글 자소 수(현대 한글자소 포함) : 355자
    • 초성 124자
    • 중성 94자
    • 종성 137자
  • 조합으로 구현 가능한 총 한글 음절 수 :
    • 1608528 자 = 초성 124자 * 중성 94자 * 종성 (137 + 1 )자

3 각주

  1. ↑ ‘남북 단일 어문규범 얼개 잡기’ 학술 발표회
Wikipedia-ico-48px.png
이 문서는 한국어 위키백과의 한글 낱자 문서 12657248판에서 분기하였습니다.
  • 이 문서는 2020년 11월 13일 (금) 16:5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 모든 텍스트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운영관련 문의 : ops@librewiki.net | 권리침해 문의 : support@librewiki.net
  • 개인정보 정책
  • 리브레 위키 소개
  • 면책 조항
  • 이용약관
  •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 Powered by MediaWiki
  • Designed by Librewiki

로그인

리브레 위키에 가입하세요 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
다른 방법으로 로그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