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도공사 통근형 VVVF 전동차 (현대로템 2.5세대)

한국철도공사 통근형 VVVF 전동차
(현대로템 2.5세대)
Korail vvvf 3rd gen default.JPG
311x73편성[1]
철도차량 정보
운영 한국철도공사
제작연도 2005~2017
구조 1편성 4량, 6량, 8량, 10량
제원
궤간 1,435 mm (표준궤)
최고속도 110 km/h
엔진 WN드라이브
가속도 35 km/h까지 3.0 km/h/s
감속도 3.5 km/h/s (상용)
4.5 km/h/s (비상)
제동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 제동
전기 교류 25 kV, 60 Hz, 팬터그래프
직류 1,500 V, 팬터그래프[2]
제어 AC VVVF 인버터 1C4M
IGBT
보안 ATS, ATC

이 문서에서는 한국철도공사의 VVVF 제어를 사용하는 통근형 전동차 중 2.5세대분을 다룬다. 철도 동호인들이 흔히 뱀눈이삼눈이라고 부르는 계열에 해당된다. 철도청에서 한국철도공사로 전환한 해인 2005년 이후 2017년까지 쭉 같은 디자인으로만 들여왔기 때문에 코레일 전동차의 대명사가 되었다.

2세대와 유사하게 곡선을 사용한 유선형 전두부를 채택하였으나 디자인은 공통점이 없어서 외형상 완전한 세대교체가 나타난다. 철도 동호인들은 전두부에 배치된 전조등과 미등의 배열이 마치 의 머리를 연상시킨다는 이유로 '뱀눈이'라 칭한다. 열차 사양은 전반적으로 제작사인 현대로템이 제시하는 표준형 전동차 설계기준에 맞춰졌다.

후기형은 일명 '삼눈이'라 불리는데 열차 전면부 상단에 LED 전조등을 추가하여 전조등이 3개가 되었기 때문이다.

종류[편집 | 원본 편집]

크게 2005~2006년, 2008년, 2009~2010년, 2011~2013년, 2016~2017년 차량으로 나뉜다.

차량 제작 연도
5000호대 7~8차 2005~2006
6000호대 1차 2006
310000호대 1~2차 2012~2013
310000호대 3차 2016
319000호대 1차 2008
321000호대 1차 2008
321000호대 2차 2009
331000호대 1차 2009
331000호대 2차 2012
351000호대 1~3차 2011~2013
351000호대 4차 2017
361000호대 1차 2010
371000호대 1차 2016
381000호대 1차 2016
391000호대 1차 2017

5000호대 7~8차, 6000호대 1차 (2005~2006)[편집 | 원본 편집]

1호선중앙선 운행을 위해 도입한 차량이다. 5000호대는 생산시기에 따라 2005~2006년에 제작한 7차분과 2006년에 제작한 8차분으로 나뉜다. 철도공사로 전환된 이후 도입되었으므로 빨강과 남색이 조합된 자석도색을 적용한 채로 출고되었다.

586~592편성은 이후 중앙선으로 이적하여 번호가 32101~32107로 변경되었고, 불필요한 교직겸용 컨버터를 교류전용으로 개조하였다.

또한 중앙선 차량들의 8량화가 결정된 이후 기존 10량 1편성으로 운용되던 차량들의 편성을 8량 1편성으로 조정하는 과정에서 잉여차량들이 남게되었고, 부수객차를 조합하여 32115~32117편성으로 재탄생시켰다.

차량 제작연도 설명
567~572 2005년 7차분
573~578 2006년 7차분
579~592 2006년 8차분
601~607 2006년

319 1차, 321 1차 (2008)[편집 | 원본 편집]

각각 1호선중앙선 운행을 위해 도입한 차량이다. 32118편성의 4량만 빼고 모두 기존 객차를 재활용한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출입문 위에 안내 및 광고용 LCD 모니터를 설치했지만 나중에 천장형으로 교체했다. 또한 이 열차부터 객실 통로문이 유리문으로 바뀌었다.[3][4] 원래 자동문은 아니었지만 나중에 자동문으로 교체했다.

2008년에 제작한 32118편성은, 중앙선 차량을 10량에서 8량으로 줄여 남은 객차를 붙였다.

319000호대
31901편성부터 31905편성까지 5편성 20량은 광명셔틀에 투입된다. 과거 영등포-병점 간 급행열차에도 충당되었었다. [5] 이 차량들은 모두 신조된 차량이 아닌 기존 열차를 분리하여 4량 1편성을 개조하였다는 특징이 있다. 전동차로는 유일하게 복합연결기를 채택하고 있다. 내장재는 출입문 상단에 LCD 디스플레이를 설치하고 객차 통로 자동문을 적용하는 등 2.5세대 전기형 개량모델에 준한다.
31906~31907 편성은 전두부 모양이 현대로템 2.5세대 전동차와 동일하기에 동호인들은 뱀작이(뱀눈이 + 납작이)랴고 부르기도 한다.


차량 제작연도 설명
31901~31907 2008년 개조 차량.
32115~32117 2008년 개조 차량.
32118 2008년 4량만 제작.
방향
← 하행
상행 →
호차 1호차 2호차 3호차 4호차 5호차 6호차 7호차 8호차
차량 3210__
Tc
3211__
M
3212__
M'
3213__
T
3214__
T
3215__
M
3216__
M'
3219__
Tc
호차 1호차 2호차 3호차 4호차
차량 3190__
Tc
3191__
M'
3192__
M'
3199__
Tc
  • M: 동력객차, 주변환장치, 견인전동기 장비
  • M': 동력객차, 집전기,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견인전동기 장비
  • Tc: 무동력객차(운전실 설치), 보조전원장치, 공기압축기, 축전기 장비
  • T: 무동력객차

321 2차, 331 1차, 361 1차 (2009~2010)[편집 | 원본 편집]

각각 중앙선, 경의선 그리고 경춘선 운행을 위해 도입한 차량이다. 차체를 알루미늄으로 제작했다. 또한 이 차량부터 객실 통로문이 자동문으로 바뀌었다. 출입문 위에 안내 및 광고용 LCD 모니터를 설치했지만 2010년산 전동차부터 천장형으로 변경했고, 2009년산 전동차 역시 나중에 천장형으로 교체했다.

361000호대는 일률적으로 적용하던 특유의 자석도색을 과감히 탈피, 전반적으로 흰색 바탕에 파란색 띄도색을 적용하여 신선한 느낌을 준다. 선두차 전방 측면에는 물결을 형상화한 프린팅도 적용되어있다. 출퇴근이 주목적인 여타 노선과는 다르게 행락객 수요가 많은 경춘선의 특성을 반영하여 관광열차 느낌을 주는 도색이다.

  • 타 노선으로 이적 및 환원 등 우여곡절
    특이사항으로는 361000호대는 총 15개 편성이 도입되었는데, 2012년부로 ITX-청춘이 도입되면서 자연스럽게 경춘선 급행열차가 폐지되었다. 따라서 급행목적까지 고려하여 도입한 전동차 수량을 감차하는 방안이 실행되었는데, 후기 도입열차인 14편성과 15편성이 감차대상에 포함되어 경춘선 도색을 버리고 자석도색으로 변경되었다. 마침 중앙선 전동차의 8량화 개조로 공백이 생긴 빈틈을 메우고자 중앙선에 임시로 투입되어 운행하였다.
    2013년 연말, 중앙선에서 다시 경춘선으로 복귀한 14,15편성은 또다시 1호선으로 이적이 결정되었고, 교류 전용으로 제작된 특성상 당장 1호선 투입이 어려운 관계로 문산차량사업소에 입고되어 교직겸용 전동차로 개조되었다. 또한 10량 1편성으로 운행되는 1호선에 투입되기 위해서는 모자라는 2량의 객차가 필요한 상황이라 창원에 위치한 현대로템 공장으로 회송되어 2량의 신조객차를 이식받는 개조도 진행되었다. 모든 개조가 완료된 14, 15편성은 1호선 열차로 등록되어 열번이 90, 91편성으로 변경되어 이적이 마무리 되었다. 신조객차를 이식받는 과정에서 알루미늄 일체형 외형이 아닌 스테인레스 차체로 제작[6]하게 되면서 뜻하지않게 알루미늄 4량 + 스테인레스 2량 + 알루미늄 4량이라는 짬뽕편성이 되어버렸다. 모든 개조가 완료된 2015년 부터 안산선 등지에서 시운전을 진행하였고, 검증이 완료된 이후 본격적으로 1호선에 투입되어 영업운행을 개시하였다.
    더이상 떠돌이 신세를 면하나 싶었던 해당 차량들에게 또다시 풍파가 몰려왔는데, 2017년 당시 코레일 사장이었던 홍순만의 지시로 ITX-청춘이 경부선 용산 ~ 대전 구간에 임시열차 형태로 반고정 배차가 이뤄지게 되면서 경춘선 급행열차가 필요한 상황이 되버린 것. 결국 1호선 91편성이 또다시 경춘선 환원차량으로 결정되어 자석도색을 버리고 본래의 경춘선 물결도색으로 환원되었으며, 교직겸용 장비 철거 및 이식받은 2량의 객차를 떼어내고 8량 1편성의 전동차로 복원되어 361000호대 14편성[7]으로 복귀하게 되었다.


차량 제작연도 설명
31190 2010년 2014년 현대로템에서 생산한 객차를 달아 10량으로 증량하고 36114~36115편성에서 차적을 변경했다.
31191편성은 36114편성으로 다시 차적을 변경했다.
31191 2010년
32119~32121 2009년
33101~33113 2009년
36101~36115 2010년
36101~36113 2010년
36114~36115 2010년 31190~31191편성으로 차적을 변경했다.
36114 2010년 원래 36115편성이었던 31191편성이 다시 차적을 변경했다.
방향
← 하행
상행 →
호차 1호차 2호차 3호차 4호차 5호차 6호차 7호차 8호차
차량 3310__
3610__
Tc
3311__
3611__
M
3312__
3612__
M'
3313__
3613__
T
3314__
3614__
T
3315__
3615__
M
3316__
3616__
M'
3319__
3619__
Tc
호차 1호차 2호차 3호차 4호차
차량 3310__
Tc
3312__
M'
3314__
M'
3319__
Tc
  • M: 동력객차, 주변환장치, 견인전동기 장비
  • M': 동력객차, 집전기,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견인전동기 장비
  • Tc: 무동력객차(운전실 설치), 보조전원장치, 공기압축기, 축전기 장비
  • T: 무동력객차

310 1~2차, 331 2차, 351 1~3차 (2011~2013)[편집 | 원본 편집]

각각 1호선, 경의선, 분당선수인선 운행을 위해 도입한 차량이다. 차체가 다시 스테인리스로 변경되었다.

2012년산 전동차는 2010년에 세운, 경의선중앙선 전동차를 8량에서 6량으로 줄이고 남는 객차를 재활용하는 계획에 따라 아래와 같은 량수로 도입되었다.

  • 310000호대(31183~31189): 6량, 10-4.
  • 351000호대(35134~35140): 4량, 6-2.
  • 331000호대(33114~33126): 4량, 6-2.
  • 331000호대(33127): 6량.

2011년부터 중앙선 차량을 6량으로 줄이고 남은 객차를 310000호대 및 351000호대 전동차에 부착했으나, 연선 주민의 반발이 심해 2014년에 중앙선 차량을 8량으로 복구하기로 결정하고 객차를 원래 자리로 돌려보냈다. 따라서 객차가 모자란 31183~31189 및 35134~35140편성은 일단 휴차한 뒤에 같은 해 현대로템에서 추가 생산한 객차를 달고 영업에 복귀했다. 이와 함께 33123~33127편성 역시 2014년 현대로템에서 추가 생산한 객차를 달고 8량으로 증량되었다.

2013년에 도입한 351000호대 차량은 ATS/ATC 개조를 한 이전 차량과 달리, 분당선과 수인선 직결을 염두에 두고 ATS/ATC 겸용으로 출고되었다.

차량 제작연도 설명
35129~35133 2011년
35161~35168 2011년
31183~31189 2012년 8량 편성으로 도입.
33114~33122 2012년 4량 편성으로 도입.
33123~33126 2012년 4량 편성으로 도입. 8량으로 증량.
33127 2012년 6량 편성으로 도입. 8량으로 증량.
35134~35140 2012년 4량 편성으로 도입.
31192~31194 2013년
35141~35143 2013년
35169~35172 2013년
방향
← 하행
상행 →
호차 1호차 2호차 3호차 4호차 5호차 6호차 7호차 8호차 9호차 10호차
차량 3110__
Tc
3111__
M
3112__
M'
3113__
T
3114__
M'
3115__
T1
3116__
T
3117__
M
3118__
M'
3119__
Tc
호차 1호차 2호차 3호차 4호차 5호차 6호차 7호차 8호차
차량 3310__
Tc
3311__
M
3312__
M'
3313__
T
3314__
T
3315__
M
3316__
M'
3319__
Tc
호차 1호차 2호차 3호차 4호차 5호차 6호차
차량 3510__
Tc
3511__
M
3512__
M'
3513__
T
3514__
M'
3519__
Tc
호차 1호차 2호차 3호차 4호차
차량 3310__
Tc
3312__
M'
3314__
M'
3319__
Tc
  • M: 동력객차, 주변환장치, 견인전동기 장비
  • M': 동력객차, 집전기,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견인전동기 장비
  • Tc: 무동력객차(운전실 설치), 보조전원장치, 공기압축기, 축전기 장비
  • T: 무동력객차
  • T1: 무동력객차, 보조전원장치, 공기압축기, 축전기 장비

310 3차, 351 4차, 371 1차, 381 1차, 391 1차 (2016~2017)[편집 | 원본 편집]

각각 1호선, 수인·분당선, 경강선, 동해선, 서해선 운행을 위해 도입한 차량이다. 운영노선이 다르지만 비슷한 시기에 발주되어 제작된 동일한 차량으로 볼 수 있다. 앞선 차량과 다르게 전두부 상단 열차번호 표시기와 행선지 표시기 사이에 전조등이 하나 더 들어가면서 삼눈이라는 별명으로 부른다.

또한 기존 전동차와 달리 고속주행에 적합한 싱글암 팬터그래프를 사용하며, 교통약자배려석 창문을 기존 상부개폐형에서 통유리로 변경하였다. 또한 절연구간 운행시 객실등 일부와 냉난방장치가 꺼지던 현상이 사라졌고, 객실 내부에 설치한 LCD 디스플레이 상단에 현재시간이 표출되는 등 소소한 개량도 적용되었다. 객실 내 보안을 위하여 CCTV도 설치되었다.

차량 제작연도 설명
31195~31203 2016년 10량 편성.
37101~37112 2016년 4량 편성.
38101~38110 2016년 4량 편성.
35173~39178 2017년 6량 편성.
39101~39107 2017년 4량 편성.
방향
← 하행
상행 →
호차 1호차 2호차 3호차 4호차 5호차 6호차 7호차 8호차 9호차 10호차
차량 3110__
3120__
Tc
3111__
3121__
M
3112__
3122__
M'
3113__
3123__
T
3114__
3124__
M'
3115__
3125__
T1
3116__
3126__
T
3117__
3127__
M
3118__
3128__
M'
3119__
3129__
Tc
호차 1호차 2호차 3호차 4호차 5호차 6호차
차량 3510__
Tc
3511__
M
3512__
M'
3513__
T
3514__
M'
3519__
Tc
호차 1호차 2호차 3호차 4호차
차량 3710__
3810__
3910__
Tc
3711__
3811__
3911__
M'
3712__
3812__
3912__
M'
3719__
3819__
3919__
Tc
  • M: 동력객차, 주변환장치, 견인전동기 장비
  • M': 동력객차, 집전기,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견인전동기 장비
  • Tc: 무동력객차(운전실 설치), 보조전원장치, 공기압축기, 축전기 장비
  • T: 무동력객차
  • T1: 무동력객차, 보조전원장치, 공기압축기, 축전기 장비

같이 보기[편집 | 원본 편집]

이야깃거리[편집 | 원본 편집]

  • 경기도 민원전철
    2010년 말엽부터 약 2년 정도 서동탄성북(현 광운대)를 운행하던 특수열차.[8] 당시 경기도지사인 김문수가 추진한 정책의 일환으로 1일 4회 민원전철 내부에 경기도청 소속 공무원이 파견되어 주민들의 민원업무를 처리했다. 또한 민원실로 개조한 객차 내부에는 수유실, 무인민원발급기 등을 갖춰 좋은 반응을 얻었다. 그러나 예상만큼 시민들의 이용률이 높지 않았고, 이용객이 몰리는 경부선 열차의 객차 1량에 승객들을 많이 수용할 수 없었기에 현실적인 이유로 운행이 중단되었고, 개조되었던 객차는 일반실로 환원되었다.

각주

  1. 당시 5x74편성
  2. 수도권 전철 1호선 계통
  3. 광역전철 신설노선에 '웰빙 전동열차' 달린다., 한국철도공사 보도자료
  4. 광역전철 신설구간에 신형열차 투입, 서울신문
  5. 06편성과 07편성은 VVVF 1세대 전동차중 영등포역에서 추돌사고로 파손된 구 5000호대 19편성을 분리하고 무동력차를 선두차로 개조하여 각각 4량 2편성 분리하였으므로 2.5세대에 속하지는 않는다.
  6. 당시 현대로템에서 생산중이던 전동차들은 모두 스테인레스로 제작하고 있었기에 14, 15편성 개조를 위해 4량만 따로 알루미늄으로 라인을 교체하기가 어려웠던 상황이다.
  7. 이적 이전에는 15편성으로 등록되었었다.
  8. 경기도 민원전철 운행 시작, 경기도청, 2010년 11월 29일
한국철도공사 소속 철도차량
고속철도 100 KTX 110·140 KTX-산천 120 SRT 대여 150 KTX-이음 160 KTX-청룡
간선형 전동차 200 누리로 210 ITX-새마을 220 ITX-마음 368 ITX-청춘
통근형 전동차 3000 3x1 VVVF 1세대 3x1 VVVF 2세대 3x1 VVVF 2.5세대 3xx VVVF 3세대
전기기관차 8000 8100 · 8200 8500
디젤기관차 4400 7x00 특대형 7600
퇴역한 차량은 한국철도공사 문서를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