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성씨

한국에는 현재 약 250개[1](姓)이 있으며, 본(本)[2] 을 필수 요소로 한다. 한국의 성씨삼국시대 이후 중국의 성씨 제도를 차용한 것이 많고, 고려 시대부터 족보를 만들면서, 귀족 계급의 성씨 제도가 확립되기 시작했다. 이후 조선 시대를 거쳐서 평민들도 성씨를 갖게 되었다. 일제 강점기 말기에는 일본제국창씨개명(創氏改名)[3] 정책을 표면적으로는 선택, 사실상으로는 강제로 추진하면서 일본식의 성씨를 쓰다가 해방 후에 한반도 고유의 성씨로 환원되었다.

전반적인 특징[편집 | 원본 편집]

한국의 성씨는 대부분 한 음절로 이루어져 있으나, 두 음절로 된 복성(複姓)[4] 도 있다. 성씨의 종류가 4천 개가 넘는 중국이나 성씨가 10만이 넘는 일본과 비교할 때 한국에서는 성씨의 종류가 다양하지 않고, (金)씨, (李)씨, (朴)씨인 사람이 전체 인구의 44.9%를 차지하여 특정 성씨가 차지하는 인구 비중이 매우 높다.

또한 같은 성씨라도 혈족을 따질 경우에 기원이 전혀 다른 경우도 많다. 예를 들면 김해 김씨(金海 金氏)는 김수로 왕을 시조로 하는 씨족과 임진왜란 때 한국으로 귀화한 장군 김충선(金忠善)을 시조로 하는 씨족이[5] 있다. 따라서 한국인은 단순히 성씨의 이름만으로 혈족을 구별할 수 없으며, 본관까지 따져서 혈족을 찾는 경우가 많다. 한때 동성동본인 두 남녀는 결혼이 금지되었을 정도로 동성 동본이 보통 혈족의 단위로 여겨지는 경우가 많다.

복성(複姓)[편집 | 원본 편집]

한국, 중국의 대부분의 성씨는 한자 하나로 되어있는데 복성은 2글자 이상으로 되어있다. 복성 자체가 중국에서 유래한 것은 아니다. 백제의 성씨에도 흑치, 부여 등의 복성이 많았다. 하지만 현대에도 남아있는 복성들은 중국계가 많다.[4] 중국에는 유목민들의 성씨에서 유래한 5글자의 복성도 존재한다.

일본의 성의 대부분은 한자만 따지면 복성인데 원래도 두 글자가 흔하기 때문에 굳이 복성이라고 하지 않는다. 또한 중국, 한국은 일본의 성씨 문화와 매우 상이해서 일본의 복성을 복성이라고 하기에도 애매하다. 도쿠가와 이에야스(徳川家康)의 씨(氏)[6] 인 도쿠가와(徳川)를 덕천이라고 하지는 않는다. 국왕이 내린 씨(氏), 관직명과 국왕과의 관계로 지어진 성(姓), 천황과는 상관없는 묘자(苗字)가 통폐합된 것이 지금의 씨(氏)이다. 기존의 성과 묘자가 두 글자 이상이 많고 씨가 한국, 중국의 성씨처럼 한 글자가 많다. 씨는 한국의 것과 유사하지만 훈독한다는 점이 다르다. 예를 들면 다이라(平), 미나모토(源). 더 알아보기

한국의 성씨 목록[편집 | 원본 편집]

관련 문서[편집 | 원본 편집]

외부 참조[편집 | 원본 편집]

각주

  1. 귀화한 사람의 성씨는 제외하고
  2. 본관
  3. 씨를 만들고 이름을 바꿔라
  4. 4.0 4.1 남궁, 황보, 제갈, 사공, 서문, 선우, 독고, 동방
  5. 보통 전자와 구별하기 위해 우록 김씨(友鹿 金氏) 혹은 사성 김씨(賜姓 金氏)라고 부른다.
  6. 성씨 통폐합 이후 기준
Wikipedia-ico-48px.png
이 문서의 일부는 한국어 위키백과한국의 성씨와 이름 문서 15813951판을 원출처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