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능력검정시험은 국사편찬위원회에서 주관하는 한국사 능력 검정 시험이다. 통용되는 약칭은 한능검.
시험 요강[편집 | 원본 편집]
등급제이지만 한자능력검정시험처럼 등급별로 시험을 따로 두지 않는다. 정확히는 난이도로 구분된 시험 종류에 따라 획득 가능한 등급이 달라지며, 거기서 또 수험자가 획득한 점수에 맞추어 인증등급을 부여하는 방식이다. 자세한 것은 표에서 후술.
시험 종류와 상관없이 객관식 50문제, 배점은 100점 만점이다. 각 문제당 배점은 1점~3점이다.
시험 종류 | 심화 | 기본 |
---|---|---|
난이도 | 상대적으로 어려움 | 상대적으로 쉬움 |
객관식 유형 | 5지 택1 | 4지 택1 |
인증등급 | 1급(80점 이상) 2급(70~79점) 3급(60~69점) |
4급(80점 이상) 5급(70~79점) 6급(60~69점) |
즉 3급 이상의 등급을 얻으려면 무조건 심화를 선택해서 시험을 치러야 하며, 최소 60점 이상은 되어야 한다.
혜택[편집 | 원본 편집]
공무원시험[1]과 각종 공기업채용에 가산점이 있어서 많은 사람들이 응시한다.
지원자격
- 행정고시: 2급 이상
- 외교관후보자선발시험: 2급 이상
접수 방법[편집 | 원본 편집]
상단의 한국사능력검정시험 홈페이지에 들어가 인터넷으로 접수할 수 있다.
시험은 약 2개월마다 한 번, 1년에 6번 있다.
기타[편집 | 원본 편집]
가급적이면 심화 유형을 보는 것을 추천한다. 3급 이상 등급과 4급 이하 등급의 혜택 격차가 상당하기 때문. 물론 4급 이하 등급이 꼭 필요하고 심화 시험은 어렵게 느낀다면, 무리해서 심화를 택할 필요까지는 없다.
인증등급이 필요해서 시험을 쳤는데 한 번 떨어지면 2개월을 기다려야 하므로, 딱히 필요성을 못 느낄 때에도 미리 따 놓는 것을 추천한다.
- ↑ 7급부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