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파이낸싱

개요[편집 | 원본 편집]

Project Financing. 프로젝트 파이낸스라고 부르기도 한다. 은행과 같은 금융기관이 투자 대상이 되는 사업의 미래 현금흐름을 보고 자금을 지원하는 것. 주로 대규모의 자금이 필요한 전력, 항만 및 유료도로, 석유화학플랜트 등을 대상으로 한다.

공공 인프라 사업이 민영화되는 추세에 따라 과거에 비해 프로젝트 파이낸싱도 활성화됐다. 민영화 사업은 보통 대규모의 장기 프로젝트인데, 사업주의 직접적인 지급 보증 없이 대규모의 신규투자를 촉진할 수 있는 프로젝트 파이낸싱은 민영화 사업에 적합하다고 판단되어 많이 활용되고 있다.

특성[편집 | 원본 편집]

사업주는 프로젝트 진행을 위해 프로젝트 회사를 설립하며, 소요자금을 프로젝트 회사를 통해 조달하게 된다.

사업주의 직접적인 지급보증 없이 자금조달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며 기존의 금융기법에 비해 이해 당사자 간 프로젝트 위험을 합리적으로 배분한다는 장점도 있다. 쉽게 이야기하여 사업주 입장에서는 사업 위험이 분산되나 금융 기관 입장에서는 프로젝트 투자에 따른 위험이 증대된다. 다만 사업 추진 비용과 기간이 상당히 늘어나는 측면도 존재한다.

채권처럼 원리금을 상환할 의무가 없으며 아닌 프로젝트 자체의 미래 현금흐름을 투자 대가로 받는다.[1] 담보권은 프로젝트에서 창출되는 현금 흐름과 프로젝트 자산에만 한정되며, 기업의 기존 사업과 자산에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2] 따라서 사업주의 신용도보단 프로젝트 자체의 미래 현금흐름이 투자 시 분석 대상이 된다.

다만 수익성이 날 가능성이 없는 인프라 건설에 이걸 결합하고 수익이 날 것 처럼 과대포장하여 대규모 투자를 유치할 경우 단체로 망했어요 테크를 탈 위험성이 상당히 높다. 실제로 투자유치와 재원조달이 다른 금융상품에 비해 상대적으로 쉬워 무리한 출자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른 상당한 손실이 예상되는 상황이다.[3]

사례[편집 | 원본 편집]

유료 도로 등 교통·수송 분야 프로젝트[편집 | 원본 편집]

장기간에 걸쳐 거액의 건설자금이 소요되는 고위험사업이다. 반면 수익에 대한 예측이 어렵고 별다른 헤지 수단이 없기 때문에 정부가 위험을 일부 분담하는 형태로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다. 유로 터널 프로젝트가 실패한 이후로 검증되지 않은 도로 사업 초기에 거액을 투자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발전소[편집 | 원본 편집]

기타[편집 | 원본 편집]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