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급 초계함

(포항급에서 넘어옴)

개요[편집 | 원본 편집]

포항급 초계함울산급의 염가판인 동해급의 양산형 형식인 초계함으로 27척이 생산되었다. 대한민국 해군의 대형 함정 중 가장 많은 수가 생산된 배. 통상 PCC라는 약칭[1]으로 부른다. 이전 동해급 초계함에서 쌓인 노하우로

역시 울산급과 마찬가지로 함포 위주의 무장을 운용하는데, 함포 운용은 울산급이랑 동일하며 함수,함미에 각각 76미리와 40미리 포(4개)를 운용한다. 초기형에는 대함미사일 체계를 도입하지 않아 함포가 주 대함공격 수단이였으나 후기형부터는 엑조세와 백구급의 퇴역으로 남은 하푼을 각 4기씩 운용한다.

주 방공 체계로는 함포 위주의 대공방어인데 정확도가 높아 항공기에 대한 대응체계로 효과를 발휘하지만 레이더와 연동되는 자동포가 아닌 수동식 함포라서 제한적이며 이 문제는 육군에서 사용하던 휴대형 지대공미사일인 미스트랄을 장착해서 전투기(특히 북한의 구식 미그기)의 내습을 방어한다 . 원래는 레이더 연동식 함포로 개수가 이루어지려 했지만 어차피 퇴역할 함이라 이루어지진 않고 대신 미스트랄로 대처했다고 한다.

대잠 체계는 상당히 부족한 편인데 몇몇 포항급들은 소나 체계를 확보하지 않은 상태이며 이중 침몰한 천안함도 포함된다. 울산급의 염가형인 포항급은 비용 절감을 위해 소나 체계를 포기했으며 이에는 대한민국 해군의 대잠체계에 대한 안일함도 작용되었다 결국 이 결과는 천안함 폭침사건이란 비극이 되었다.

포항급 초계함은 선체 피로도가 높은 상태로 벌써 선체 보강공사가 이루어 졌거나 진행중이며 퇴역하거나 퇴역을 준비중인 상태로 가고 있다. 워낙 작은 함체에 포켓전함이라 할 정도로 과무장을 때려박은 것에 과도한 운용으로(이거 몰고 태평양을 왔다갔다 했다) 노후화가 빠르게 진행되었고 이제 곧 인천급과 대구급에 자리를 내줄 예정이다.

목록[편집 | 원본 편집]

대한민국 해군[편집 | 원본 편집]

2차선[편집 | 원본 편집]

  • PCC-756 포항함

3차선[편집 | 원본 편집]

4차선[편집 | 원본 편집]

5차선[편집 | 원본 편집]

  • PCC-778 속초함
  • PCC-779 영주함
  • PCC-781 남원함
  • PCC-782 광명함
  • PCC-783 신성함 : 유일하게 도시명을 붙이지 않은 PCC이다.
  • PCC-785 공주함

페루 해군[편집 | 원본 편집]

베트남 해군[편집 | 원본 편집]

이집트 해군[편집 | 원본 편집]

콜롬비아 해군[편집 | 원본 편집]

기타[편집 | 원본 편집]

  • 통상 약칭으로 PCC를 사용하는데 이 약칭을 사용하는 함급이 포항급밖에 없는지라 그냥 PCC라고 하면 포항급 초계함의 통칭이라 봐도 무방하다. 실무에서는 이걸 타면 하도 개고생을 해서 피철철이라 카더라
  • 기존 동해급을 1차선 PCC라고 부르고 초도함인 포항급부터 2차선이라고 부른다. 물론 공식 명칭은 아니고 해군 내에서 부르는 속칭인데 그냥 다들 그렇게 써먹다 보니 일부 밀덕들 사이에서 그냥 굳어지다시피 한 표현이기도 하다.(특히 해군 출신들) 일단 동해급을 포함해서 751~759
  • PCC-769 원주함의 경우 2002년 림팩 훈련 참가를 위해 태평양을 건너갔다 오기도 했다. 당시 해군에서는 PCC의 원양항해능력을 보여주었다고 말하지만 막상 갔다온 수병들은 죽을 맛이었다고(...) 그 전에는 울산급이랑 포항급 몰고 잘도 갔다왔는데?
  • PCC의 경우 지방 시급 도시들의 명칭을 붙인다. 단, 신성함 1척은 예외로 도시명이 붙지 않았다.
  • 페루, 콜롬비아 등지에 무상공여나 헐값 매각(사실상의 공여)으로 팔려가기도 하였다.
  • 멀리서 보면 울산급과 포항급이 매우 유사해 보인다. 가까이서 보면 크기 차이 덕에 확연히 구분이 가지만 멀리서는 식별이 쉽지 않다. 이 경우 구분 포인트는 두 곳에 있는다. 하나는 포항급의 마스트는 일자형으로 쭉 뻗은 마스트인데 비해 울산급은 마스트가 뿔 형태로 약간 경사가 져 있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포항급의 1층은 현측과 1층 구조물이 완전히 붙어있어 외부로 노출된 통로가 없는데 비해 울산급은 상대적으로 폭이 넓다 보니 1층 구조물과 현측 사이에 통행공간을 외부로 노출시켜 놓은 점이다.

각주

  1. Patrol Combat Corvet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