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타지 소설(Fantasy novel)은 판타지를 장르로 삼는 소설군을 말한다.
한국의 판타지 소설[편집 | 원본 편집]
대한민국에서 '판타지 소설'은 무협 소설과 함께 장르 소설계를 양분하는 장르다. 다만 2000년대 이후 한국에서 주류가 되고 있는 판타지 소설은 웹 소설과 밀접한 관련이 있고, 포맷상으로도 어느 정도 규격화되어 있다. 국내에서는 반지의 제왕을 기준으로 삼는 사람도 있고, 라이트 노벨과 만화/영화 산업의 부흥을 시기로 잡는 사람이 있다.
일본에서 수입된 라이트 노벨 중에도 판타지를 배경으로 삼은 작품들(《슬레이어즈》 등)은 여럿 존재하지만, 제반 사정으로 미루어 라이트 노벨 포맷의 판타지 작품들은 한국에서 '판타지 소설'이라고 지칭되지 않는 경향이 있다.
2000년대까지는 인터넷에 투고된 판타지 소설들이 도서로 출간되어야만 수익을 얻을 수 있는 구조에만 달려 있었다. 소설 투고 사이트들이 그 당시에도 있었으나, 스마트폰과 같은 언제 어디서나 소설을 읽을 수 있는 기기들이 보급되지 않았기 때문에 시장이 주목 받지 못 했다. 물론, 이 시절에도 흔히 양판소라고 부르는 작품들은 널리고 널렸으며 인터넷에서는 이들 작품을 비판하기도 했다.
2010년대에 와서 스마트폰의 보급과 함께 웹툰 시장의 부흥이 일어나면서, 웹 소설 시장 역시 주목 받기 시작했다. 싼 값에 내가 보고 싶은 만큼의 분량을 볼 수 있다는 점, 스마트폰으로도 충분히 읽을 수 있다는 점, 누구나 작가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각광 받기 시작한다. 이에 판타지 소설도 클리셰의 변화가 일어났으며, 그동안 각광 받지 못하던 클리셰들이 등장했다. 무협과 판타지의 융합, 판타지와 라이트 노벨의 융합, 이세계 판타지와 어반 판타지의 융합 등등 수요층이 있는 클리셰들의 융합도 일어났다. 결국 이러한 3-4세대의 판타지하고 격을 두는 정통 판타지라는 장르까지 생기면서 판타지 소설은 폭 넓게 발전하고 있다.
양판소 및 한국내 판타지 소설의 평가[편집 | 원본 편집]
한국에선 양산형 판타지 소설이란 별명이 있다. 줄여서 양판소.
대다수의 한국의 판타지 소설들은 비슷한 세계관에 비슷하고 형편없는 클리셰를 남발하는 줄거리가 넘쳐서 얻게 된 오명. 하지만 시장의 트렌드를 따라가려고 하다 보니 너도나도 독자들에게 쉽게 먹히는 방식을 선택했고 결과적으로는 이야기의 내용만 조금 다를 뿐 구조는 거의 흡사한 작품들이 넘치게 되었다.
실제로 판타지 소설 시장도 몇몇 잘팔리는 작품들을 빼면 시장 자체가 거의 붕괴했고 그 몇몇 잘 팔리는 작품들 대부분이 "잘 쓴 대리만족물" 정도의 평가로 좋지만은 않은 편.
그나마 양판소 팬들도 "그냥 심심풀이로 보는 것." 따위로 취급하지, 높게 평가해주지 않는다. 그러면서 팬이 아닌 사람이 양판소라 무시하면 화낸다.
양판소에 참여하는 작가들의 역량도 부족한 것이 한 몫하는데 그간 소설이라 불리는 작품들은 몇 번의 습작은 기본이고 내용 자체를 뜯어 고치는 한이 있더라도 완벽에 가까운 작품을 그려내기 위해 고군분투 했었지만 양판소라 불리는 장르에서는 모두 부정되는 상황이다. 그나마도 다른 부분에서 정석을 챙기고 내용이 문제라면 크게 문제는 없겠지만 문체, 가독성, 맞춤법, 상식 등 하나의 책이라고 부르기에는 너무한 수준의 작품이 즐비하게 나오고 있는 상황이라 그에 대한 평가는 당연 좋지 못한 상황이다.
여기에 과거에는 피드백이 책을 출간하고 나서 시간이 지나야 천천히 들어오는 것이 보편적이었는데 현재는 인터넷의 보급으로 인해 단 몇 분만에 피드백이 들어오는 매우 빠른 상황이 보편적이 되어버렸다. 따라서 이 피드백을 당장 다음화에 적용시키지 못하면 당연 평가가 절하되기도 하고 불만이 쌓이는 문제가 도래해버린다. 따라서 작가들은 독자의 눈치를 쉽게 뿌리 칠 수가 없게 되어버렸고, 그것은 곧 독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이야기가 전개되는 강제성을 갖게 되어 버렸다. 이는 결국 독자에게 즐거움, 흥미 유발 등을 위하여 작가가 원하는 방향으로 설계된 설계도를 지우기까지 하면서 다른 작품의 내용과 클리셰들을 카피하면서 문제를 낳게 되고, 그 문제는 양판소/웹 소설의 평가를 떨어뜨리게 되니 부정 평가가 순환하게 되는 문제점을 안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