켈트 신화

켈트 신 이교주의의 문양 중 하나

켈트 신화(Celtic mythology)는 고대 켈트족이 신앙하던 다신교신화 체계를 통틀어서 가리키는 말이다. 현대에 들어서 '켈트 신화'라고 하면 거의 에린 지방의 신화, 요컨대 아일랜드 신화를 가리킨다. 게일어로 기록된 아일랜드 신화는 그나마 자료가 많기 때문.

구분[편집 | 원본 편집]

사실 켈트족이라고 해도 부족별로 신앙에 차이가 있었다. '켈트 신화'라고 뭉뚱그려 말하지만 부족이 사는 지역에 따라, 또 신화를 기록한 언어에 따라 켈트 신화도 몇 가지로 세분화된다. 다만 켈트족이 원체 문헌 기록을 남기지 않는 민족에다가 로마 제국이 팽창하면서 밀려나가는 바람에 알 수 없는 점이 많다. 특히 갈리아로 대표되는 대륙의 켈트 신화는 로마 측 기록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형편이다.

이러한 켈트 신화는 대략 세 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

고대 켈트 종교
갈리아브리타니아 등지에 살던 켈트인들의 고대 종교. 사료는 거의 남아있지 않고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갈리아 전기》 등 고대 그리스인 및 고대 로마인의 기록을 바탕으로 고고학적으로 추정할 수밖에 없다.
게일계 신화
켈트족의 분파인 게일족이 사용하던 언어, 게일어로 기록 및 구전된 신화. 아일랜드 신화와 스코틀랜드 신화가 여기에 속하며, 일반적으로 켈트 신화라고 하면 이 게일계 신화를 가리킨다.
브리타닉어 신화
도서 지역의 켈트족들이 사용하던 언어인 브리타닉어(브리소닉어라고도 표기한다)로 기록 및 구전된 신화. 웨일즈 신화가 여기에 속한다. 게일계 신화와 서로 영향을 받았다.

[편집 | 원본 편집]

켈트족의 신 중에서 고유명이 가장 많이 남은 것은 투아하 데 다난으로 대표되는 아일랜드 신화의 신들이다. 고대 켈트 종교, 특히 고대 로마의 기록에 남은 켈트족들의 신들은 그 이름을 알기가 어려운데, 왜냐하면 로마인(그리고 그리스인)의 버릇대로 다른 민족의 신을 자기네 신들 이름에 빗대어서 기록했기 때문이다.

대중문화 속의 켈트 신화[편집 | 원본 편집]

그리스 신화·북유럽 신화와 함께 서양 판타지 장르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21세기에도 켈트 신화(특히 아일랜드 신화)에서 소재를 빌린 수많은 작품들이 창작되고 있는데, 대한민국에서 친근한 예를 들자면 MMORPG마비노기》가 있을 것이다. 《마비노기》는 제목부터 아일랜드 신화의 문헌 이름을 따왔으며, 극중 등장인물을 비롯한 많은 요소가 아일랜드 신화에서 유래했다.

참고 문헌[편집 | 원본 편집]

외부 참조[편집 | 원본 편집]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