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바뀜
  • 임의 문서
  • 게시판
    위키방자유게시판
  • 도구
    특수 문서 목록업로드이슈 트래커
  • 도움말
    개요위키 문법TeX 문법이슈 트래커
  • 최근 바뀜
  • 최근 토론
  •  
  •  
  •  
  •  
  •  
  •  
  •  
  •  
  •  
  •  
더 보기
  • 신규 사용자분께서는 리브레 위키:환영합니다 필독해주세요.
  • 가입 후 지속적인 기여는 위키에 큰 도움이 됩니다.
편집토론기록
새로 고침주시여기를 가리키는 문서정보

서울과학기술대학교/다산관

< 서울과학기술대학교(창학관에서 넘어옴)
분류: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 등록문화재
서울대학교 구 공과대학 본관과 교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다산관, 창학관)
종목 등록문화재 제12호
분류 등록문화재 / 기타/ 교육시설/
수량 2개동
면적 다산관 : 연면적 10,193㎡
창학관 : 8,853㎡
지정일 2002년 5월 31일
소재지 서울 노원구 공릉로 232 (공릉동)
시대 일제강점기
소유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관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다산관, 붕어방.JPG
붕어방 방향에서 바라본 다산관의 모습. 이 방향은 뒤쪽을 찍은 모습이다.

목차

  • 1 개요
  • 2 상세
  • 3 이야깃거리
  • 4 각주

1 개요[편집]

'ㅁ'자형의 전형적인 교육시설의 특징을 갖고 있는 한국 근대공업교육의 최고학부(경성제국대학)건물로서 경성제국대학 이공학부 교사 및 대학 본관으로 이용하였다. 광복후 경성제국대학의 간판을 서울대학교로 바꿔달면서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본관으로 사용하다가 관악캠퍼스 이전후 서울산업대(현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의 본관이 되었다.

2 상세[편집]

서울과학기술대학교에서 부르는 명칭은 다산관이며, 동편의 창학관과 함께 세트로 묶여서 등록문화재 12호로 지정되어 있다. 2011년까지는 다산관에 시계탑이 부착되어 있었으나 맞지도 않는 시계의 연간 유지비용이 몇억씩 깨져나가는 관계로 아예 철거하게 되었으며, 2012~3년에 다산관과 창학관의 내부 리모델링이 완료가 되어 있다. 이 리모델링이 완료가 되면서 다산관과 창학관에 남아있던 한국전쟁 당시의 총알맞은 자국들이 꽤 많이 사라졌다. 사실 한국전쟁 당시 이 건물은 UN군 사령부로도 사용되었던 역사가 있다.

2015년 현재 다산관은 기계자동차공학과에서, 창학관은 전자IT미디어공학과에서 주로 사용하고 있다.

3 이야깃거리[편집]

좀 오래 된 근현대사의 분위기가 나는지라 영화나 드라마, CF의 촬영지로 종종 애용되기도 하였다. 다음은 그 목록

  • SBS드라마 열애
  • 응답하라 1997
  • 공동경비구역 JSA
  • 살인의 추억
  • 제5공화국

4 각주

  • 이 문서는 2017년 6월 6일 (화) 23:0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 모든 텍스트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리브레위키 협동조합 | 대표이메일 : coop@librewiki.net (수신전용)
  • 개인정보 정책
  • 리브레 위키 소개
  • 면책 조항
  • 이용약관
  •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 Powered by MediaWiki
  • Designed by Librewiki

로그인

리브레 위키에 가입하세요 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
다른 방법으로 로그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