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철도

(중전철에서 넘어옴)

도시철도(都市鐵道)는 도시 또는 광역권 내부 교통을 담당하는 철도이다. 영어 메트로(metro)와 비슷한 말이며, 보통 도시가 개발된 후에 지하로 건설되기에 지하철(地下鐵), 지하철도(地下鐵道)로 불리기도 한다.

법률적 정의[편집 | 원본 편집]

도시철도는 도시교통의 원활한 소통을 위하여 도시교통권역에서 건설ㆍ운영하는 철도ㆍ모노레일ㆍ노면전차ㆍ선형유도전동기ㆍ자기부상열차 등 궤도에 의한 교통시설 및 교통수단이다.

여기서 도시교통권역은 「도시교통정비 촉진법」 제4조에 따라 지정ㆍ고시된 도시교통정비지역과 그 주변의 교통권역[1]을 뜻한다. 지금까지는 도시교통정비지역(단일지역) 안에서 노선이 끊겼으나, 교통권역간 연계가 중요해지는 근래에는 행정구역을 넘어 인접 교통권역을 잇는 형태의 노선도 다수 계획되어 있으며 실제로 완공한 노선들도 있다.

도시철도는 「도시철도법」를 바탕에 두고 있기 때문에, 국가가 소유하는 일반철도와는 별도로 관리된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건설[편집 | 원본 편집]

한국의 도시철도의 재정 부담은 국가 60 : 지자체 40으로, 지방자체단체가 직접 도시철도를 짓지 않는 주요 원인이다. 빈약한 지방 자치제 안에서 40% 부담도 빠듯하기 때문. 지방자체단체에서는 재정부담 때문에 아득바득 우겨서 상위 개념(광역철도·일반철도)으로 확장시켜 국비 비율을 높이거나 민자 사업으로 돌린다.

부천시서울 지하철 7호선을 들이면서 기초자체단체 중 처음으로 시 재정에서 공사비를 충당했다. 경기도의 지원에도 불구하고 공사기간 동안 재정난에 시달려야 했다.

규격[편집 | 원본 편집]

도시철도 건설규칙에 따르면 차량 최대 설계 축중이 13.5톤 이하면 경량전철로 분류한다.

통상 경전철에 반하여 "중전철", 또는 "중량전철"이라는 표현을 사용하나 해당 표현은 엄밀히 말해서 자의적인 표현이다. 어느 정도냐면, 국가기관조차 "重量전철"(대형)과 "中量전철"(중형)이라고[2] 그럴듯 하지만 미묘한 어휘를 쓰기 때문이다. 이게 다 경전철의 애매함 때문이다 경전철과 비교할 일이 없으면 쓸 일이 잘 없는 단어다.

참고로, 대형·중형 전동차의 규격은 최소 크기이므로, 해당 규격보다 큰 차량을 투입해도 시설한계에 저촉되지 않으면 괜찮다. 경전철은 축중이 13.5톤 이하이기만 하면 해당 노선의 시설한계 내에서 자유롭게 만들 수 있다. 아래 표에 예시로 든 것은 K-AGT의 규격이다.

대형 중형 경량[3]
량당 길이(m) 19.5 17.5 9.1
폭(m) 3.12 2.75 2.4
량당 정원(명) 중간차 160 124 54
선두차 148 113 52

대형[편집 | 원본 편집]

서울 1호선 및 국철 개통 당시 처음으로 들여왔던 그 전동차의 규격을 사용하여 수도권 전철에서 쓰이고 있다. 국철에서 쓰던 규격이기 때문에 지방의 한국철도공사 소속 노선에도 쓰인다.

출입문은 한쪽에 4개 달려있고, 좌석 배치는 3-7-7-7-3이다.

량수 정원(명) 편성 길이(m) 사례
4 616 80 서해선, 경강선, 동해선 광역전철, 성수지선
6 936 120 서울 지하철 8, 9호선, 인천국제공항철도, 신분당선, 분당선, 신정지선
8 1256 160 서울 지하철 5~7호선, 경의·중앙선, 경춘선
10 1576 200 서울 지하철 1, 2(순환), 3, 4호선

중형[편집 | 원본 편집]

지방 도시철도에서 볼 수 있다. 수송력에서는 다소 애매한 크기로, 덩치 큰 경전철(에버라인 등)과 비슷한 수송력을 가진다.

부산 도시철도 1호선에 처음 도입되었으며 대형 규격만으로 통일하라는 압박을 견디고 이 규격을 탄생시키기까지 우여곡절이 있었다고 한다. 비록 1호선의 3비차[4]는 지키지 못했지만 시설규격은 이후 지방 도시철도의 표준이 되었다[5].

차량이 작은 관계로 좌석 배치는 3-6-6-6-3이다. 다만, 3비차인 부산 1호선은 4-10-10-4 혹은 4-9-9-4(신형) 배치다.

량수 정원(명) 편성 길이(m) 사례
4 474 72 부산 도시철도 3호선, 대전 도시철도 1호선, 광주 도시철도 1호선
6 722 108 대구 도시철도 1, 2호선, 부산 도시철도 2호선
8 970 144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인천 도시철도 1호선
10 1218 180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의 승강장이 이 규격이지만 실제 운행 사례는 없음.

같이 보기[편집 | 원본 편집]

리브레 시리즈에 관련 문서가 있습니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