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호형 구잠특무정

1945년 1월 10일의 모습

제1호형 구잠특무정(第一号型駆潜特務艇)은 구 일본 해군이 운용한 소형 구잠함이다. 해상보안청해상자위대 또한 경비 및 소해용으로 본 정을 운용하였으며, 조선해안경비대대한민국 해군이 운용한 JMS형 함정 중 하나로 추정된다.

연혁[편집 | 원본 편집]

쇼와 14년(1939년), 유사시 국지용 구잠정의 필요성을 느낀 일본 해군은, 당시 사용되었던 어선의 선체를 참고하여 공칭 1182호(公称1182号), 공칭 1183호(公称1183号)라는 2척의 100t급 목제 잡역선을 발주하였으며, 이들은 각각 요코스카 해군공창이치카와 조선소에서 건조되었다.

또한 이들 함정을 기초로 하여, 제국해군쇼와 16(1941)년의 전시계획인 마루 급 계획(マル急計画)의 일환으로 100척의 제1호형 구잠특무정 (제1호 구잠특무정 ~ 제100호 구잠특무정)을 발주하였으며, 쇼와 18(1943)년도 전시계획인 마루 전 계획(マル戦計画)에 의해 100척 (제151호 구잠특무정 ~ 제250호 구잠특무정)을 추가로 건조하였다. 각 지방의 목제 선박 조선소에서 건조된 함정들은 최종적으로 내지의 각 진수부 예하 해군공창에서 의장 및 무장 장착을 완료한 후 취역하였으며, 이들은 소화 20년(1945년) 1월(혹은 3월)까지 건조 및 배치가 완료되었다.

본 정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총 81척이 격침 및 침몰되었다. 여타 지원정특무지원정들이 종전 후 전후 복원 및 연합국의 배상함으로 사용된 것과 달리, 본 정은 거의 모두가 운수성 및 해상보안청에 인계되어 소형경비정(PS艇) 및 소해함(MS艇)으로 일본 연안의 경비 및 치안유지, 소해 활동에 사용되었으며, 일부는 극비리에 한국전쟁에 참전하기도 하였다. 이후 이들 함정들은 해상자위대에 인계되었으며, 미국제 공여 함정들과 함께 해상자위대의 초기 전력으로 운용되였다.

본 정은 양산을 위하여 고속(중속?) 디젤 기관을 주기로 사용하였으며, 출력 400마력의 디젤 기관 1기로 11kn의 속력을 달성하였다.

기본 무장은 7.7mm 기총 1문이었으며, 이는 곧 13mm ~ 25mm 기총으로 강화되었으나, 대공병기로서의 효과는 약했다.

주무장은 2기의 대잠폭뢰 투하궤조로, 폭뢰투사기는 장비하지 않았다. 폭뢰는 각 궤조당 5발이 장착되었으며, 예비로 2개의 폭뢰고에 총 22발의 폭뢰를 장비하였다.

음파탐지기로는 당초 적하식 1형 청음기(吊下式1型聴音機) 또는 93식 1형 탐신의(九三式1型探信儀)의 탑재가 예정되었으나, 제1호부터 100호형 구잠특무정에는 간편탐신의(簡便探信儀)가, 제151호부터 제 250호까지는 3식 2형 탐신의(三式2型探信儀)가 탑재되었다.

양산된 소형 특무지원정의 특성상 치시마 열도로부터 솔로몬 제도까지 여러 지역에서 활약하였으며, 특히 목제 선체의 특성상 소해 작업에 매우 적합하였다.

조선해안경비대 및 대한민국 해군에서의 운용[편집 | 원본 편집]

본 정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신설된 조선해안경비대해방병단, 대한민국 해군이 운용한 JMS형 함정들 중 하나로 추측된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한반도 남부에 주둔한 미육군 제 24군단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은 조선 주둔 일본 제국 육해군 무장해제 임무의 일환으로 일본 해군 진해경비부 예하의 함정들을 압류하였으며, 이들 중 11척이 미 군정청의 지시에 의해 조선해안경비대에 인도되었다.

조선 해경한국 해군(해방병단)에서 운용한 JMS정은 단일함급이 아니며, 구 일본 해군에서 압류한 함정 전체를 지칭하는 함급이었다. 종전당시 최소 1척의 제1호형 구잠특무정(제100호)이 진해에 잔류한 기록이 있는 이상, 이후 당 정이 조선 해경 및 한국 해군에서 운용되었을 가능성이 크며, 한국 해군이 제공하여 조선일보가 공개한 몽금포 전투 참전 당시의 JMS-302(통영)함의 사진을 보면, 제1호형 구잠특무정과 유사한 함형의 함정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이를 공식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아직까지 확인되지 않고 있다. 한국 해군의 기록은 빈약하며, 일본의 전후 기록에서는 한국과 관련된 기록을 확인할 수 없다. 당시 일본 해군 조선사관인 후쿠이 시즈오(福井 静夫)의 증언[1]에 의하면, 조선해안경비대가 사용한 JMS형 함정은 연합국 배상함의 재분배가 아닌, 미군의 독자적인 지시에 의한 양도임을 증언한 이상, 전후 미국이 공여받은 배상함의 목록 또한 무의미하다. 결국 본 정의 한국 해군 복무 여부는 아직까지 추측의 영역으로 남아 있다.

제원[편집 | 원본 편집]

건조 조선소[편집 | 원본 편집]

의장 공사 및 무장 탑재[편집 | 원본 편집]

제1호, 제 2호, 제4호, 제8호, 제 9호, 제14호, 제19호, 제 22호, 제 23호, 제 26호, 제 27호, 제 27호, 제 29호, 제 30호, 제 32호, 제 35호, 제 43호, 제 44호, 제 49호, 제 57호, 제 58호, 제 60호, 제 64호, 제 68호, 제 77호, 제 81호, 제 82호, 제 84호, 제 86호, 제 88호, 제 91호, 제 92호, 제 94호, 제 95호

제151호, 제155호, 제159호, 제161호, 제163호, 제164호, 제170호, 제171호, 제174호, 제175호, 제176호, 제180호, 제181호, 제182호, 제183호, 제185호, 제186호, 192호, 제193호, 제194호, 제196호, 제197호, 제 202호, 제 203호, 제 206호, 제 208호, 제 209호, 제 211호, 제 212호, 제 213호, 제 217호, 제 219호, 제 220호, 제 225호, 제 226호, 제 227호, 제 229호, 제 231호, 제 232호, 제 236호, 제 237호, 제 240호, 제 241호, 제 244호, 제 245호, 제 246호, 제 247호

제 3호, 제10호, 제18호, 제 25호, 제 28호, 제 46호, 제 47호, 제 61호, 제 71호, 제 80호, 제 85호, 제100호, 제153호 제162호, 제168호, 제172호, 제184호, 제195호, 제 204호, 제 210호, 제 218호, 제 230호, 제 238호, 제 242호

제 6호, 제 7호, 제11호, 제15호, 제16호, 제17호, 제 20호, 제 21호, 제 31호, 제 34호, 제 36호, 제 37호, 제 40호, 제 41호, 제45호, 제 48호, 제 50호, 제 53호, 제 54호, 제 55호, 제 59호, 제 65호, 제 67호, 제 69호, 제 70호, 제 72호, 제 73호, 제 76호, 제 78호, 제 79호, 제 89호, 제 93호, 제 96호, 제 97호, 제 98호

제152호, 제156호, 제157호, 제177호, 제178호, 제187호, 제188호, 제198호, 제199호, 제 214호, 제 215호, 제 221호, 제 222호, 제 233호, 제 234호, 제 248호, 제 249호

제 5호, 제12호, 제13호, 제 24호, 제 33호, 제 38호, 제 39호, 제 42호, 제 51호, 제 52호, 제 56호, 제 62호, 제 63호, 제 66호, 제 74호, 제 75호, 제 83호, 제 87호, 제 90호, 제 99호

제158호, 제160호, 제167호, 제169호, 제173호, 제179호, 제189호, 제190호, 제191호, 제 200호, 제 201호, 제 205호, 제 207호, 제 216호, 제 223호, 제 224호, 제 228호, 제 235호, 제 239호, 제 243호, 제 250호

선체 건조[편집 | 원본 편집]

  • 미에현 우지야마다시(三重県宇治山田市)
    이치카와 조선소(市川造船所) : 16척(제1, 4, 9, 22, 34, 45, 55, 69, 79, 96, 164, 176, 186, 297, 213, 220호)
    고리키 조선소(強力造船所) : 12척(제 7, 17, 37, 54, 73, 98, 161, 182, 206, 226, 245, 247호)
    니시이 조선소(西井造船所) : 13척(제 6, 16, 36, 53, 72, 97, 159, 174, 193, 211, 227, 232, 244호)
  • 미야기현 이시노마키시(宮城県石巻市)
    무라카미 조선소(村上造船所) : 8척(제 23, 30, 82, 88, 180, 202, 236, 246호)
    야마니시 조선철공소(山西造船鉄工所) : 17척(제 2, 8, 32, 35, 60, 64, 86, 92, 151, 155, 163, 175, 185, 196, 212, 219, 231호)
  • 시즈오카현 시즈오카시(静岡県静岡市)
    코야나기 조선소(小柳造船所) : 12척(제14, 27, 44, 58, 77, 94, 171, 192, 209, 225, 240, 241호)
  • 시즈오카현 시미즈시(静岡県清水市)
    미호 조선소(三保造船所) : 18척(제19, 26, 43, 57, 68, 84, 95, 170, 183, 194, 208, 217, 229호)
  • 후쿠오카현 모지시(福岡県門司市)
    지넨 조선철공소(自念造船鉄工所) : 12척(제12, 24, 42, 52, 63, 90, 158, 169, 190, 205, 223, 239호)
  • 후쿠오카현 후쿠오카시(福岡県福岡市)
    후쿠오카 조선철공(福岡造船鉄工) : 10척(제13, 39, 56, 75, 154, 173, 191, 207, 224, 243호)
  • 도야마현 신미나토시(富山県新湊市)
    사가 조선철공소(佐賀造船鉄工所) : 18척(제 3, 10, 18, 28, 46, 61, 71, 80, 100, 153, 162, 172, 184, 195, 210, 218, 230, 242호)
  • 가가와현 타카마츠시(香川県高松市)
    시코쿠 조선공업사(四国船渠工業所) : 20척(제11, 20, 31, 41, 50, 59, 65, 70, 78, 89, 152, 156, 165, 177, 187, 198, 214, 221, 233, 248호)
  • 도쿠시마현 도쿠시마시(徳島県徳島市)
    도쿠시마 합동조선(徳島合同造船) 2척(제188, 215호)
  • 야마구치현 시모노세키시(山口県下関市)
    하야시카네 중공업(林兼重工業) : 20척(제 5, 33, 38, 51, 62, 66, 74, 83, 87, 99, 160, 167, 179, 189, 200, 201, 216, 228, 235, 250호)
  • 시마네현 마츠에시(島根県松江市)
    후쿠시마 조선철공소(福島造船鉄工所) : 14척(제15, 21, 40, 48, 67, 76, 93, 157, 166, 178, 199, 222, 234, 244호)
  • 홋카이도 하코다테시(北海道函館市)
    후네야 조선철공소(船矢造船鉄工所) : 7척(제 29, 49, 81, 91, 181, 203, 237호)
  • 돗토리현 요나고시(鳥取県米子市)
    요나고 조선소(米子造船所) : 6척(제 25, 47, 85, 168, 204, 238호)

각주

  1. 후쿠이 시즈오 저 『종전과 제국함정』(終戦と帝国艦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