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바뀜
  • 임의 문서
  • 게시판
    위키방자유게시판이슈 트래커
  • 도구
    특수 문서 목록업로드
  • 도움말
    개요위키 문법TeX 문법이슈 트래커
  • 최근 바뀜
  • 최근 토론
  •  
  •  
  •  
  •  
  •  
  •  
  •  
  •  
  •  
  •  
더 보기
  • 신규 사용자분께서는 리브레 위키:환영합니다 필독해주세요.
  • 가입 후 지속적인 기여는 위키에 큰 도움이 됩니다.
  • 로그인이 잘 되지 않을 경우 여기에서 로그인해주세요.
편집토론기록
새로 고침주시여기를 가리키는 문서정보

정조 (조선)

분류:
  • 조선의 왕
  • 1752년 출생
  • 1800년 사망
숨은 분류:
  • 퍼온 문서
묘호 정종(正宗)→정조(正祖)[1]
어진
이 어진은 이길범 화백이 그린 상상화이다.
이 그림은 선원보감에 있는 정조의 초상화이다. 실제 정조와 가장 가깝다.
생몰년도 음력 서력 1752년 9월 22일~서력 1800년 6월 28일
양력 서력 1752년 10월 28일~서력 1800년 8월 18일
재위기간 왕 음력 서력 1776년 3월 5일~서력 1800년 6월 28일
양력 서력 1776년 4월 22일~서력 1800년 8월 18일
부모 어머니 헌경왕후 홍씨
아버지 사도세자(장조)
배우자 효의왕후 김씨
후임 왕 순조(純祖)
시호 사후시호 정종(正宗) 문성무열성인장효대왕
대한제국
추존이후
정조경천명도홍덕현모문성무열성인장효선황제
(正祖敬天明道洪德顯謨文成武烈聖仁莊孝宣皇帝)
휘 산(祘)
생몰장소 탄생장소 창경궁(昌慶宮) 경춘전(景春殿)
사망장소 창경궁(昌慶宮) 정침(正寢)
자 형운(亨運)
정조대왕 필 국화도, 출처: e뮤지엄

목차

  • 1 소개
  • 2 개요
  • 3 독살설 떡밥
  • 4 어진
  • 5 각주

1 소개[편집]

조선의 제22대 국왕이며, 대한제국 추존황제이다. 성과 휘는 이산(李祘)[2],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형운(亨運)[3], 호는 홍재(弘齋)이다.[4]

본래의 묘호는 정종(正宗)으로, 사후 시호는 정종문성무열성인장효대왕(正宗文成武烈聖仁莊孝大王)이며 존호는 장휘(莊徽), 이후 묘호가 정종에서 정조로 바뀌고 대한제국 때 선황제(宣皇帝)로 추존하고 존호를 더하여 정식 시호는 정조경천명도홍덕현모문성무열성인장효선황제(正祖敬天明道洪德顯謨文成武烈聖仁莊孝宣皇帝)이다. 능은 수원(水原)의 건릉(健陵)이다.

2 개요[편집]

사도세자의 아들이다. 11세 때 아버지 사도세자가 죽은 이후 할아버지인 영조에 의해 요절한 효장세자의 양자로 입적되어 왕통을 계승하였다.[5] 1775년부터 1776년까지 할아버지 영조를 대신하여 대리청정을 하였다. 1776년 영조의 승하로 즉위하여 1800년까지 조선의 제22대 국왕으로 재위하였다. 재위 초기 홍국영에게 막강한 실권을 주는 세도 정치를 하였으나 1780년 홍국영을 실각시킨 뒤로는 친정을 하였다.

즉위 후 정약용, 채제공, 안정복 등을 등용, 권력에서 배제된 소론과 남인계 인사들을 등용하여 정계로 다시 발탁하는 동시에 노론 벽파의 원칙론자인 스승 김종수와, 이미 사망한 유척기의 문하생들을 각별히 중용하였다. 노론이 생부 사도세자의 죽음과 연계되었다 하여 노론, 특히 벽파와의 갈등이 후일 예술작품의 소재가 되기도 하였으나, 오히려 정조는 벽파의 당수인 김종수, 심환지 등을 총애하여 측근으로 두었다.

재위기간 중 왕권강화를 위한 노력에 치중하였으며, 친위부대인 장용영의 창설과 자신의 저서 홍재전서를 비롯한 문집과 법전의 재간행, 수원 화성 축성 등을 추진하였다. 무예와 함께 유학의 각 경전에도 두루 통달하여 경연장에서 신하들을 강의하기도 했다고 한다. 조선 후기의 중흥군주로 평가된다. 하지만 홍국영을 기용하여 측근 가신에 의해 정사가 좌우되는 폐단을 남기기도 하였으며, 승하 직전에 안동김씨 김조순의 딸을 세자빈으로 삼음으로써 세도 정치의 씨를 뿌렸다. 박지원 등의 진보적 문장에 반대하여 문체반정과 같은 필화 사건을 일으켰고, 서인의 성리학자이자 예학자인 우암 송시열을 존경하여 그를 송자(宋子), 송부자(宋夫子)로 성인의 반열에 올리고 국가의 스승으로 선포하기도 했다. 조선의 마지막 르네상스를 이끌었으며, 이 왕이 죽은 후에 조선은 세도정치를 맞이하게 된다.

3 독살설 떡밥[편집]

학자인 주제에 독살설 따위나 내밀고 다니는 이덕일은 노론이 이 왕을 독살시켰다는 개소리를 아무렇지도 않게 늘어놓는다.하지만 대체 왜 24년이나 건강하게 잘 살게 두다가 독살시켰지는 이덕일은 설명하지 않는다.

4 어진[편집]

1954년 6.25전쟁 이후 부산 용두동 화재로 인해 정조의 어진이 소실되어서 현재는 남아 있지 않다. 다만 정조의 어진을 보고 배낀 선원보략의 간단한 스케치가 남아 있다.


정조선원보감.PNG

이 그림은 선원보감에 있는 정조의 초상화이다. 기록상으로 실제 정조 얼굴을 추정하자면, 표준영정보다는 선원보감의 초상화가 가장 가깝다.


정조.PNG

1927년에 열성어진이라는 책에 있는 정조 초상화이다. 장비와 비슷하게 그렸다.



정조표준영정.jpg

이 어진은 이길범 화백이 그린 상상화이다. 현재 정조의 표준영정으로 지정된 그림이다.


정조어진1.jpg

이 어진은 수성고등학교의 수원 화산능 행차 연시에 사용된 정조의 얼굴을 상상한 어진이다. 표준영정으로 지정된 정조의 어진을 그린 이길범 화백이 그렸는데, 이화백이 표준영정인 정조의 얼굴과는 다르게 그렸다. 그리고 선원보략의 정조 어진과 비슷하다.


정조어진2.jpg

이 어진은 이길범 화백이 정조의 얼굴을 상상한 어진이다.

5 각주

  1. ↑ 서력 1899년 음력 12월 7일 즉 서력 1900년 1월 7일에 정조(正祖)로 고쳤다.
  2. ↑ 祘은 算의 이자이다.(위키낱말사전 - 祘) 그러나 전운옥편에는 省의 이자로 등재되어 있다.(해원출판사, 해원한한실용옥편, 1996년) 순조 때 이성보가 정조의 휘를 범한다는 이유로 이직보로 개명하였다. 조선왕조실록 순조 1권, 즉위년(1800 경신 / 청 가경(嘉慶) 5년) 8월 29일(기묘) 7번째 기사. 이에 대해서는 정조가 아들을 많이 낳고자 자신의 이름의 음을 성으로 바꾸었다는 주장이 있다. 김태식 기자. “"정조, 아들 많이 낳으려 이름 바꿨다"”, 2010년 10월 4일 작성. 2010년 11월 14일 확인.
  3. ↑ 조선왕조실록, 정조실록 총서
  4. ↑ 이이화, 《이이화와 함께 한국사를 횡단하라》, 한길사, 2004년, ISBN 8935655449, 351쪽
  5. ↑ 이우상, 《조선왕릉, 잠들지 못하는 역사 2》, 다할미디어, 2011년, ISBN 8989988667, 128쪽
조선의 역대 국왕
태조 정종 태종 세종 문종 단종 세조
예종 성종 연산군 중종 인종 명종 선조
광해군 인조 효종 현종 숙종 경종 영조
정조 순조 헌종 철종 고종 순종 왕조 멸망
Wikipedia-ico-48px.png
이 문서의 일부는 한국어 위키백과의 조선 정조 문서를 원출처로 합니다.
  • 이 문서는 2018년 9월 28일 (금) 01:3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 모든 텍스트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운영관련 문의 : ops@librewiki.net | 권리침해 문의 : support@librewiki.net
  • 개인정보 정책
  • 리브레 위키 소개
  • 면책 조항
  • 이용약관
  •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 Powered by MediaWiki
  • Designed by Librewiki

로그인

리브레 위키에 가입하세요 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
다른 방법으로 로그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