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배열 부등식


Rearrangement Inequality

개요[편집 | 원본 편집]

한국의 학교 수학에서는 볼 일이 없는 부등식 중 하나. KMO와 같은 경시대회 수학을 준비한다면 꼭 알아놔야 하는 부등식이며, 딱히 경시대회를 준비하지 않는다 해도 배워놔서 나쁠 건 없다. 몇몇 고등학교 수학의 부등식문제를 날로 먹을 수 있기 때문.

욕심쟁이 알고리즘[편집 | 원본 편집]

수열 [math]\displaystyle{ \left\{a_n\right\}_{k=1}^n,\left\{b_n\right\}_{k=1}^n }[/math]을 양의 실수의 수열이라 가정하자. 또한 수열 [math]\displaystyle{ \left\{x_n\right\}_{k=1}^n }[/math]은 수열 [math]\displaystyle{ \left\{b_n\right\}_{k=1}^n }[/math]순열, 즉 재배열시킨 수열이라고 하자. 그럼 [math]\displaystyle{ n! }[/math]가지의 합 [math]\displaystyle{ S=\sum_{k=1}^na_kx_k=a_1x_1+a_2x_2+\cdots+a_nx_n }[/math] 중 어느 것이 최대이고 어느 것이 최소일까? 한 예시를 통해 생각해 보자. 세 상자에 각각 천원, 만원, 오만원이 들어 있다. 각각의 상자에서 3, 4, 5장의 지폐를 가져갈 수 있을 때, 어느 상자에서 몇 장을 가져가야 이익을 최대, 혹은 최소로 할 수 있을까? 상식적으로 생각하나 아니면 직접 수학적 계산을 통해 확인하나 최대의 이익은 오만원권 5장, 만원권 4장, 천원권 3장이다. 반대로 최소의 이익은 오만원권 3장, 만원권 4장, 천원권 5장이다. 이 알고리즘을 욕심쟁이 알고리즘 (Greedy Algorithm)이라 부른다. 이 예는 단순한 수학적 예시이지만, 수학 이외의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알고리즘을 좀 더 추상화 시켜서 설명하자면, 작은 것은 작은 것끼리, 큰 것은 큰 것끼리 붙여놓을 때 최대, 작은 것을 큰 것이랑, 큰 것을 작은 것이랑 붙여놓을 때 최소가 된다는 것이 핵심.[1]

재배열 부등식[편집 | 원본 편집]

위 욕심쟁이 알고리즘 중에 수학적으로 항상 성립하는 경우. 자세한 내용은 아래와 같다.

[math]\displaystyle{ a_1\leq a_2\leq\cdots\leq a_n }[/math]이고, [math]\displaystyle{ b_1\leq b_2\leq\cdots\leq b_n }[/math]인 임의의 [math]\displaystyle{ 2n }[/math]개의 실수[2]에 대하여 [math]\displaystyle{ x_1,x_2,\cdots,x_n }[/math][math]\displaystyle{ b_1,b_2,\cdots,b_n }[/math]을 적당히 재배열하여 얻은 실수들이라 하면,
[math]\displaystyle{ a_1b_n+a_2b_{n-1}+\cdots+a_nb_1\leq a_1x_1+a_2x_2+\cdots+a_nx_n\leq a_1b_1+a_2b_2+\cdots+a_nb_n }[/math]이 성립한다. 단, 등호는 [math]\displaystyle{ a_i }[/math]가 모두 서로 같거나 [math]\displaystyle{ b_i }[/math]가 모두 서로 같을 때 성립한다.

증명 [math]\displaystyle{ r\lt s }[/math]라 가정하자. 두 합 [math]\displaystyle{ S=a_1b_1+\cdots+a_rb_r+\cdots+a_sb_s+\cdots+a_nb_n,\,S'=a_1b_1+\cdots+a_rb_s+\cdots+a_sb_r+\cdots+a_nb_n }[/math]의 크기를 비교해 보면, [math]\displaystyle{ S-S'=a_rb_r+a_sb_s-a_rb_s-a_sb_r=a_r\left(b_r-b_s\right)-a_s\left(b_r-b_s\right)=\left(a_r-a_s\right)\left(b_r-b_s\right) }[/math]이다. 여기서 [math]\displaystyle{ r\lt s }[/math]이므로, [math]\displaystyle{ a_r\lt a_s,\,b_r\lt b_s }[/math]가 성립하고, 곧 [math]\displaystyle{ S-S'\gt 0 }[/math]이다. 즉, 임의의 두 항을 바꾸면 합은 작아진다. 이를 일반화 시키면 [math]\displaystyle{ a_1x_1+a_2x_2+\cdots+a_nx_n\leq a_1b_1+a_2b_2+\cdots+a_nb_n }[/math], ([math]\displaystyle{ \left\{x_n\right\}_{k=1}^n }[/math]은 수열 [math]\displaystyle{ \left\{b_n\right\}_{k=1}^n }[/math]의 재배열)이 성립한다.
최솟값의 경우에도 같은 방법으로 증명이 가능하다.

참고로 등호는 [math]\displaystyle{ S-S'=\left(a_r-a_s\right)\left(b_r-b_s\right) }[/math]에서 [math]\displaystyle{ a_r=a_s }[/math]이거나 [math]\displaystyle{ b_r=b_s }[/math]일 때 성립한다. 그런데 [math]\displaystyle{ r,s }[/math]는 고정된 두 쌍이었으므로 일반적인 경우에[math]\displaystyle{ S=S' }[/math]이기 위해서는 임의의 두 쌍이 서로 같아야한다. 이는 곧, 모든 [math]\displaystyle{ a_i }[/math]가 서로 같거나 모든 [math]\displaystyle{ b_i }[/math]가 서로 같을 때임을 의미한다.

체비셰프 합 부등식[편집 | 원본 편집]

러시아의 수학자 파프누티 쳬비셰프가 증명한 부등식 중 하나.[3] 재배열 부등식에서 쉽게 증명할 수 있는 부등식으로, 형태도 비슷하다.

[math]\displaystyle{ a_1\leq a_2\leq\cdots\leq a_n }[/math]이고, [math]\displaystyle{ b_1\leq b_2\leq\cdots\leq b_n }[/math]인 임의의 [math]\displaystyle{ 2n }[/math]개의 실수에 대하여, [math]\displaystyle{ n\left(a_1b_1+a_2b_2+\cdots+a_nb_n\right)\geq\left(a_1+a_2+\cdots+a_n\right)\left(b_1+b_2+\cdots+b_n\right)\geq n\left(a_1b_n+a_2b_{n-1}+\cdots+a_nb_1\right) }[/math]

증명

재배열 부등식에 의해 아래 [math]\displaystyle{ n }[/math]개의 부등식이 성립한다.
[math]\displaystyle{ a_1b_1+a_2b_2+\cdots+a_nb_n\geq a_1b_1+a_2b_2+\cdots+a_nb_n\geq a_1b_n+a_2b_{n-1}+\cdots+a_nb_1 }[/math]
[math]\displaystyle{ a_1b_1+a_2b_2+\cdots+a_nb_n\geq a_1b_2+a_2b_3+\cdots+a_nb_1\geq a_1b_n+a_2b_{n-1}+\cdots+a_nb_1 }[/math]
[math]\displaystyle{ a_1b_1+a_2b_2+\cdots+a_nb_n\geq a_1b_3+a_2b_4+\cdots+a_nb_2\geq a_1b_n+a_2b_{n-1}+\cdots+a_nb_1 }[/math]
[math]\displaystyle{ \vdots }[/math]
[math]\displaystyle{ a_1b_1+a_2b_2+\cdots+a_nb_n\geq a_1b_n+a_2b_{n-1}+\cdots+a_nb_1\geq a_1b_n+a_2b_{n-1}+\cdots+a_nb_1 }[/math]
위 부등식을 전부 더하면 구하고자 하는 부등식이 증명된다.

예시[편집 | 원본 편집]

1. 양의 실수 [math]\displaystyle{ a,b,c }[/math]에 대해, [math]\displaystyle{ \frac{a+b+c}{abc}\leq\frac{1}{a^2}+\frac{1}{b^2}+\frac{1}{c^2} }[/math]이 성립한다. 왜냐하면 이 부등식은 [math]\displaystyle{ \frac{1}{a}\cdot\frac{1}{b}+\frac{1}{b}\cdot\frac{1}{c}+\frac{1}{c}\cdot\frac{1}{a}\leq\frac{1}{a}\cdot\frac{1}{a}+\frac{1}{b}\cdot\frac{1}{b}+\frac{1}{c}\cdot\frac{1}{c} }[/math]과 동치이고, 재배열 부등식에 의해 성립하기 때문.

2. 양의 실수 [math]\displaystyle{ a,b,c }[/math]에 대해, [math]\displaystyle{ \frac{a^2}{b^2}+\frac{b^2}{c^2}+\frac{c^2}{a^2}\geq\frac{b}{a}+\frac{c}{b}+\frac{a}{c} }[/math]가 성립한다. 이 부등식을 적절히 변형하면 [math]\displaystyle{ \frac{a}{b}\cdot\frac{a}{b}+\frac{b}{c}\cdot\frac{b}{c}+\frac{c}{a}\cdot\frac{c}{a}\geq\frac{a}{b}\cdot\frac{b}{c}+\frac{b}{c}\cdot\frac{c}{a}+\frac{c}{a}\cdot\frac{a}{b} }[/math]이고, 재배열 부등식에 의해 성립한다.

3. 실수 [math]\displaystyle{ a,b,c }[/math]에 대해, [math]\displaystyle{ \frac{a+b+c}{3}\geq\sqrt{\frac{a^2+b^2+c^2}{3}} }[/math]이 성립한다. 체비셰프 합 부등식에 의해 [math]\displaystyle{ 3\left(a^2+b^2+c^2\right)\geq\left(a+b+c\right)\left(a+b+c\right) }[/math]이 성립하고, 양변을 9로 나눈 뒤 제곱근을 씌워주면 된다.

관련 항목[편집 | 원본 편집]

각주

  1. 다만 이 알고리즘이 항상 성립하는 것은 아니다. 세상은 그렇게 만만하지 않다.
  2. 양의 실수만으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재배열 부등식은 모든 실수에 대하여 성립한다.
  3. 일반적으로 쳬비셰프 부등식이라 하면 확률통계에서의 그의 부등식을 말한다. 이와 구분하기 위해 체비셰프 부등식이라 따로 부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