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산위상

집합 [math]\displaystyle{ X }[/math]에 대해 [math]\displaystyle{ \mathcal{T}=\mathcal{P}(X) }[/math]로 두면 [math]\displaystyle{ (X,\mathcal{T}) }[/math]위상공간이다. 이때 [math]\displaystyle{ \mathcal{T} }[/math]이산위상(discrete topology)이라고 한다.

성질[편집 | 원본 편집]

[math]\displaystyle{ X }[/math]를 이산위상이 부여된 위상공간, [math]\displaystyle{ Y }[/math]를 위상공간이라고 하자.

  • [math]\displaystyle{ X }[/math]의 모든 부분집합은 열린닫힌집합이다.
  • [math]\displaystyle{ X }[/math]의 임의의 부분집합의 유도집합공집합이다.
  • [math]\displaystyle{ X }[/math]의 임의의 부분집합의 폐포는 자기 자신이다.
  • [math]\displaystyle{ X }[/math]제1가산집합이다.
  • [math]\displaystyle{ X }[/math]제2가산집합일 필요충분조건은 [math]\displaystyle{ X }[/math]가산집합인 것이다.
  • 임의의 함수 [math]\displaystyle{ f:X\to Y }[/math]연속함수이다.
  • 함수 [math]\displaystyle{ f:Y\to X }[/math]가 연속함수일 필요충분조건은 임의의 [math]\displaystyle{ y\in Y }[/math]에 대해 [math]\displaystyle{ y }[/math]근방 [math]\displaystyle{ U }[/math]가 존재해 [math]\displaystyle{ f }[/math][math]\displaystyle{ U }[/math]에서 상수함수인 것이다. 즉 [math]\displaystyle{ f }[/math]국소상수함수인 것이다.

같이 보기[편집 | 원본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