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편집 | 원본 편집]
윌슨의 정리(Wilson's theorem)는 존 윌슨이 추측하고 조제프루이 라그랑주가 1770년에 증명한 정수론의 정리이다.[1]
진술[편집 | 원본 편집]
정수 [math]\displaystyle{ n\ge 2 }[/math]에 대해
- [math]\displaystyle{ (n-1)! \equiv -1\pmod n }[/math]
일 필요충분조건은 [math]\displaystyle{ n }[/math]이 소수인 것이다.
작은 값에서 확인하기[편집 | 원본 편집]
[math]\displaystyle{ n }[/math] | [math]\displaystyle{ (n-1)! }[/math] | [math]\displaystyle{ (n-1)! }[/math]을 [math]\displaystyle{ n }[/math]으로 나눈 나머지 | [math]\displaystyle{ n }[/math]은 소수인가? |
---|---|---|---|
2 | 1 | 1 | 예 |
3 | 2 | 2 | 예 |
4 | 6 | 2 | 아니오 |
5 | 24 | 4 | 예 |
6 | 120 | 0 | 아니오 |
7 | 720 | 6 | 예 |
8 | 5040 | 0 | 아니오 |
9 | 40320 | 0 | 아니오 |
10 | 362880 | 0 | 아니오 |
11 | 3628800 | 10 | 예 |
12 | 39916800 | 0 | 아니오 |
13 | 479001600 | 12 | 예 |
14 | 6227020800 | 0 | 아니오 |
15 | 87178291200 | 0 | 아니오 |
증명[편집 | 원본 편집]
- 도움정리 1: [math]\displaystyle{ \gcd\left(a,m\right)=1 }[/math]이면, [math]\displaystyle{ ax\equiv1\pmod m }[/math]을 만족하는 [math]\displaystyle{ x }[/math]가 법 [math]\displaystyle{ m }[/math]에 대해 유일하게 존재한다.
- 증명은 디오판토스 방정식을 사용.
- 도움정리 2: [math]\displaystyle{ p }[/math]가 소수일 때, [math]\displaystyle{ a\equiv\bar{a}\pmod p }[/math][2]일 필요충분 조건은 [math]\displaystyle{ a^2\equiv1\pmod p }[/math]이고, 이는 곧 [math]\displaystyle{ a\equiv\pm1\pmod p }[/math]임과 동치이다.
[math]\displaystyle{ p }[/math]가 소수라 가정하자. [math]\displaystyle{ p=2,\,3 }[/math]일 때는 직접 [math]\displaystyle{ \left(p-1\right)!\equiv-1\pmod p }[/math]임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math]\displaystyle{ p\gt 3 }[/math]이면, [math]\displaystyle{ 1\leq a\leq p-1 }[/math]인 각 [math]\displaystyle{ a }[/math]에 대해, [math]\displaystyle{ \gcd\left(a,p\right)=1 }[/math]이므로 [math]\displaystyle{ a\bar{a}\equiv1\pmod p }[/math]인 [math]\displaystyle{ 1\leq\bar{a}\leq p-1 }[/math]가 각 [math]\displaystyle{ a }[/math]에 대해 유일하게 존재한다. 또한, [math]\displaystyle{ a\equiv\bar{a}\pmod p }[/math]인 경우는 [math]\displaystyle{ a\equiv1,\,p-1\pmod p }[/math]인 경우밖에 없다. 나머지 [math]\displaystyle{ 2\leq a\leq p-2 }[/math]인 [math]\displaystyle{ a }[/math]에 대해서는 각각의 역수와 묶을 수 있다 ([math]\displaystyle{ p\gt 3 }[/math]인 소수이므로 [math]\displaystyle{ p-1 }[/math]은 짝수라 이게 가능하다). 따라서, [math]\displaystyle{ \left(p-1\right)!\equiv1\cdot2\cdot\cdots\cdot\left(p-1\right)\equiv1\cdot\left(p-1\right)\cdot1\cdot\cdots\cdot1\equiv p-1\equiv-1\pmod p }[/math].
역으로, [math]\displaystyle{ n }[/math]이 합성수고 [math]\displaystyle{ \left(n-1\right)!\equiv-1\pmod n }[/math]이 성립한다 가정하자. [math]\displaystyle{ n }[/math]이 합성수이므로, 적당한 [math]\displaystyle{ 1\lt a,\,b\lt n }[/math]에 대해 [math]\displaystyle{ n=ab }[/math]이다. 따라서, [math]\displaystyle{ a\mid\left(n-1\right)! }[/math]이고, [math]\displaystyle{ a\mid n\mid\left(n-1\right)!+1 }[/math]이므로, [math]\displaystyle{ a\mid 1 }[/math]이다. 이는 모순이고, [math]\displaystyle{ n }[/math]은 합성수가 아니다. 주어진 가정에서 [math]\displaystyle{ n }[/math]은 1이 아니므로, 가능한 경우는 [math]\displaystyle{ n }[/math]이 소수일 경우 뿐이다.
따름정리[편집 | 원본 편집]
- [math]\displaystyle{ p }[/math]가 [math]\displaystyle{ 4k+1 }[/math] (단, [math]\displaystyle{ k }[/math]는 양의 정수) 꼴의 소수이면 [math]\displaystyle{ \left(\left(\frac{p-1}{2}\right)!\right)^2\equiv -1\pmod p }[/math]이다.
- [math]\displaystyle{ p }[/math]가 [math]\displaystyle{ 4k+3 }[/math] (단, [math]\displaystyle{ k }[/math]는 0 이상의 정수) 꼴의 소수라면 [math]\displaystyle{ \left(\frac{p-1}{2}\right)!\equiv \pm1\pmod p }[/math]이다.
확장[편집 | 원본 편집]
- [math]\displaystyle{ n }[/math]이 원시근을 가지는 정수라면, [math]\displaystyle{ n }[/math]보다 작고 [math]\displaystyle{ n }[/math]과 서로소인 정수의 곱은 법 [math]\displaystyle{ n }[/math]에 대해 [math]\displaystyle{ -1 }[/math]과 합동이다.
각주
- ↑ 김응태 · 박승안 (2012). 《정수론》. 경문사. 105쪽. ISBN 9788961055956
- ↑ [math]\displaystyle{ \bar{a} }[/math]는 [math]\displaystyle{ a }[/math]의 법 [math]\displaystyle{ m }[/math]에 관한 역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