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산강하구둑

하천명 영산강
목적 농업용수
유역면적 3,371㎢
형식 BM/CE
관리기관 한국농어촌공사
높이 19.5m
길이 4,350m
체적 2,532,000㎥
계획홍수위 EL 1.38m
상시만수위 EL -1.35m
종저수용량 253,218,000㎥
유효저수용량 180,900,000㎥
저수면적 34.6㎢
연가용수공급량 282,090,000㎥
연가용수공급량 282,090,000㎥

개요[편집 | 원본 편집]

영산강하구둑은 영산강 하구에 위치하고 있는 목포시영암군 사이에 건설되었다. 영산강 하류부 저지대의 농지는 가뭄 및 밀물에 염수피해를 많이 입었던 지역으로, 영산강하구둑을 건설하여 총 저수용량 253백만㎥, 면적 34.6㎢의 담수호가 개발되었으며, 55㎢의 간척지를 얻게 되었다. 담수호에서는 16개의 펌프시설을 이용하여 227㎢의 농경지에 용수를 공급하고 있다.

2번 국도이 이 영산강하구둑의 위를 지나간다.

문제점[편집 | 원본 편집]

유속이 느리고 경사가 완만한 영산강은 상류쪽에 각종 축산 및 생활하수 등이 흘러들면서 자정작용을 할 수 있는 범위를 아득히 넘어서 버렸었다. 문제는 이 하구둑이 건설되면서 그 악화된 수질에 헤드샷을 날려버린 것. 물론 1990년대 이후 각종 하수처리시설 등을 설비하고 이리저리 관리를 하면서 이 1970~80년대의 수질보다는 나아졌지만, 수처리를 하는데 드는 비용이 만만치 않은 것은 어쩔 수 없는 일. 또한, 이 하구둑의 건설로 남해에서 나주시까지 연결되던 영산강의 수로기능이 완전히 끝나게 된다. 물론 이전에 호남선철도가 목포까지 부설되고, 목포항이 개항되면서 빈사상태에 이르기는 했지만, 전통적인 영산강의 수로기능은 그래도 가능했었던 것. 그러나 이 하구둑으로 바다와 영산강이 물리적으로 단절되면서 지나간 옛 이야기가 되고 말았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