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타

(쌍봉낙타에서 넘어옴)
낙타
07. Camel Profile, near Silverton, NSW, 07.07.2007.jpg
학명
Camelus
Linnaeus, 1758
생물 분류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포유강(Mammalia)
경우제목(Cetartiodactyla)
낙타과(Camelidae)
낙타속(Camelus)
Domestic Dromedary Merzouga.jpg

낙타(Camel)는 소목 낙타과 낙타속에 속하는 가축의 일종이다. 등에 큰 혹을 가지고 있으며, 사막하면 떠오르는 이미지이다. 등에 혹이 있는 갯수로 단봉낙타와 쌍봉낙타 두 가지로 구분한다. 주요 서식지는 구대륙의 사막과 초원지대이며 인간이 오랜 옛날부터 가축화시켜온 동물 중 하나이다. 메르스 대란의 주범

어원 및 언어적 요소[편집 | 원본 편집]

다국어 표기
한국어 한국어: 낙타, 탁타, 약대, 한자: 駱駝, 문화어: 락타
영어 영어: Camel, Dromedary(단봉낙타)
중국어 중국어: 骆驼 luòtuó
일본어 일본어: ラクダ
아랍어 아랍어: جمل

중국 고대 문헌에서 낙타는 橐駝·橐他·馲駝 등 ‘탁타’로 표기했으며, 이 표기는 《산해경》과 《일주서(영어판)》 등 전한보다 이전 시대에 쓴 것으로 여겨지는 문헌에도 등장한다. 흉노어 *dada의 음차라는 가설이 있다.

조선 문헌에도 ‘탁타(𩧐駝)’로 표기하고 있으나 《월인천강지곡》(1447)과 《훈몽자회》(1527) 등에는 고유어 ‘약대’가 확인된다.

학명 ‘Camelus’는 낙타를 뜻하는 라틴어 ‘camēlus’를 그대로 쓴 것이다. 이는 거슬러 올라가면 셈조어(영어판) ‘*gamal-’에서 비롯됐으며, 아랍어 ‘자말(جَمَل)’과 그 기원을 같이 한다.

분류 및 진화[편집 | 원본 편집]

종류[편집 | 원본 편집]

단봉낙타[편집 | 원본 편집]

단봉낙타
Camelus dromedarius in Nuweiba.jpg
학명
Camelus dromedarius
Linnaeus, 1758
생물 분류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포유강(Mammalia)
경우제목(Cetartiodactyla)
낙타과(Camelidae)
낙타속(Camelus)
단봉낙타(C. dromedarius)

단봉낙타(Dromedary)는 포유강 소목 소과에 속하는 낙타의 일종 중 하나이다. 단봉낙타는 다른 종류의 낙타들과 비교했을 때 목이 길다랗고 섬세한 곡선을 그리고, 가슴과 배 부분이 납작하며 혹은 하나뿐이다. 몸 색깔은 보통 탁한 갈색이며, 혹은 약 20cm 정도 높이인데 이 혹은 대부분의 성분이 지방이며 결합 조직으로 얽혀 있다.평균적인 단봉낙타의 크기는 어깨 높이가 1.8-2m, 암컷은 1.7-1.9m 정도이며 몸무게는 수컷이 400-600kg, 암컷이 300-540kg으로 현존하는 3종의 낙타 중 가장 덩치가 크며, 수컷이 암컷에 비하여 더 크고 무겁다.

주로 낮에 활발히 활동하는 주행성 동물이며 20여 마리 안팎으로 무리를 짓는데, 건장한 수컷이 우두머리를 맡는다. 주식은 사막에서 자생하는 건생식물들이며, 체수분의 30%에 해당하는 수분을 잃어도 버틸 수 있도록 사막 환경에 알맞게 적응했다. 짝짓기는 일 년에 한 번만 이루어지며 우기가 찾아올 때 즈음 최고조에 이른다. 한 배에 한 마리씩, 11-13개월의 임신기간을 거쳐 새끼를 낳는다.

단봉낙타는 가축화가 이루어진 낙타로, 거의 2,000년이 가도록 야생 개체가 나타나지 않았다. 처음으로 단봉낙타의 가축화가 이루어진 시기는 4,000년 전이라 추정되며, 그 위치는 소말리아 또는 아라비아 반도라고 한다. 그 전까지는 사하라 사막과 같이 건조한 북아프리카와 중동 등지에서 야생 단봉낙타가 서식했던 것으로 보인다. 가축으로 쓰이는 단봉낙타는 구대륙의 건조 기후 지대에서 사육되는데, 주로 아프리카 대륙에서 이용한다. 그러나 호주에서는 야생화된 단봉낙타 집단이 발생하기도 한다. 단봉낙타에게서 얻는 고기와 낙타젖은 상업적으로 이용될 뿐만 아니라 아라비아 반도의 소수민족들의 주식이 되며, 세계 각지의 사막 대상 및 현지인들에게는 짐이나 사람을 옮기는 운송용 가축으로도 유용하게 쓰인다.

Wikipedia-ico-48px.png
이 문서의 일부는 한국어 위키백과단봉낙타 문서를 원출처로 합니다.

쌍봉낙타[편집 | 원본 편집]

쌍봉낙타
2011 Trampeltier 1528.JPG
학명
Camelus bactrianus
Linnaeus, 1758
생물 분류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포유강(Mammalia)
경우제목(Cetartiodactyla)
낙타과(Camelidae)
낙타속(Camelus)
쌍봉낙타(C. bactrianus)

야생쌍봉낙타[편집 | 원본 편집]

야생쌍봉낙타
Wild Bactrian camel on road east of Yarkand.jpg
학명
Camelus ferus
Przewalski, 1878
생물 분류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포유강(Mammalia)
경우제목(Cetartiodactyla)
낙타과(Camelidae)
낙타속(Camelus)
야생쌍봉낙타(C. ferus)

생물학적 특징[편집 | 원본 편집]

낙타의 혹[편집 | 원본 편집]

낙타의 혹에 물이 저장되어 있어 사막에서 물 없이도 오래 버틸수 있다는 얘기가 있는데 사실은 틀린 이야기아다. 실제로 혹 속에 있는 것은 지방성분으로, 며칠동안 먹이지 않고 돌아다닌다면 혹의 사이즈가 줄어들어버린다. 물론 낙타의 혹에 저장된 것을 물로 착각할만한 이유 중 하나는 거기에 저장된 지방을 분해하여 필요한 수분을 어느 정도 충당하기 때문에 낙타 자체가 물을 적게 먹어서 그런 착각이 들게 되는 것.

생태[편집 | 원본 편집]

인간과의 관계[편집 | 원본 편집]

용도[편집 | 원본 편집]

  • 화물의 운반 : 사막을 횡단하는 상인인 대상들부터 시작하여 아프리카의 사막지대에서의 소금 운반 등 척박한 지대에서의 별의별 화물을 다 나른다.
  • 고기 : 낙타 고기도 먹을 수 있다고 한다. 몽골쪽은 양고기를 주로 먹고 먹을 것이 떨어지면 낙타고기를 손대지만, 아랍쪽은 최고의 손님에게 낙타고기를 대접한다고 한다. 당연히 고급 고기인 만큼, 값도 비싸서 서민층은 자주 먹기엔 부담스럽다고.물론 덜익힌 고기를 먹으면 메르스에 걸릴 수 있다 일반적인 고기 외에도 지방 덩어리인 혹을 요리해 먹기도 하는데, 중국 요리중 이 혹을 이용해 만드는 요리가 있다.
  • 가죽과 털: 주로 몽골에서 낙타를 화물용 이외에 활용하는 방식이다. 이상하게도 쌍봉낙타는 맛이 없는지라 식용으로 잘 쓰이지 않는 편이며, 대신 털이나 가죽을 이용해 옷이나 기타 생활용품을 만드는데 사용된다.

역사상의 기록[편집 | 원본 편집]

  • 한국사에서 낙타가 처음 등장하는 것은 고려 태조때의 시기로 거란에서 화친의 뜻으로 낙타 40마리를 보내온 것이 최초의 기록이다. 이 당시 고려의 태조는 "거란은 발해를 멸망시킨 야만적인 족속"이라고 하면서 선물로 받은 낙타를 죄다 만부교라는 다리 아래에 묶어놓고 굶겨서 죽여버린다. 메르스를 예방한 왕건 이 외에도 목장에서 낙타를 소규모로 사육했다는 기록이 등장하기도 한다.

문화적 묘사[편집 | 원본 편집]

대중매체[편집 | 원본 편집]

캐릭터[편집 | 원본 편집]

기타[편집 | 원본 편집]

  • 메르스 대란이 발생하자. 한국정부는 낙타와의 밀접접촉 및 낙타고기를 먹는 것을 금할 것을 예방지침이라고 내놓았다. 이 덕분에 거리에서 낙타가 모두 사라졌다 실제 국내에 있는 낙타는 동물원과 일부 체험장에 있는 수십마리가 전부인데, 이들 낙타는 모두 한국에서 태어난 낙타여서 중동이 어느 동네인지 가 본적도 없는 녀석들이라는거... 그리고 그때 낙타고기를 누가 먹었었더라....? 박근ㅎ...

참고 자료[편집 | 원본 편집]

  • 서적 및 참고 문헌
    • Ramet, J. P. (2011). The technology of making cheese from camel milk (Camelus dromedarius). FAO Animal Production and Health Paper. Rome: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ISBN 978-92-5-103154-4. ISSN 0254-6019. OCLC 476039542. Retrieved 6 December 2012.
    • Gilchrist, W. (1851). A Practical Treatise on the Treatment of the Diseases of the Elephant, Camel & Horned Cattle: with instructions for improving their efficiency; also, a description of the medicines used in the treatment of their diseases; and a general outline of their anatomy. Calcutta, India: Military Orphan Press.
Wikipedia-ico-48px.png
이 문서의 일부는 한국어 위키백과낙타 문서를 원출처로 합니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