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인

(신선에서 넘어옴)

선인(仙人)이란 중국한국, 일본전설에서 찾아볼 수 있는 불로불사를 얻은 인간을 가리킨다. 달리 신선(神仙)이라고도 한다.

용어의 유래[편집 | 원본 편집]

선인의 선(仙)자는 본자가 원래 선(僊)자로, 선인(僊人)이란 쉽게 말해 춤추듯이 가볍게 하늘로 날아오르는 사람이란 뜻이다. 선인을 두고 달리 우인(羽人)이라고도 하는데 이쪽은 날개가 달린 사람이라는 의미다.

실상 선인이란 단어 자체는 《사기》 〈봉선서〉에서 처음 나오지만, 그 이전부터 불로장생을 얻고 불로장생을 나누어주는 신인(神人)이라는 개념은 있었다. 《장자》에는 진인(眞人), 《산해경》에는 불로불사에 관한 일화가 다수 거론된다.

선인의 변천[편집 | 원본 편집]

선인, 신선이란 본디 인간과는 별개의 (神)과 같은 존재로 인간에게 불사약을 가져다 주는 구원자적 존재였으나, 시대가 지나고 도가(道家), 그리고 도가 사상이 종교화된 도교와 결합함으로써 보통 사람이 수행을 쌓아 깨달음을 얻어 될 수 있는 경지로 여겨졌다.

날 때부터 신이 아닌 범용한 인간이 불로장수를 얻을 수 있다는 신선 사상의 시초는 중국 전국시대 말기에 발생했다. 고대 제(齊)나라에는 삼신산에 선인이 살고 있으며 이들에게 기원해 불로장수를 얻을 수 있다는 사상이 있었다. 이 신선 사상이 장도릉, 위백양, 갈홍, 그리고 남북조 시대구겸지를 거쳐 도교로 확립된 것이다.

여담이지만 고전 소설 《봉신연의》에도 나오듯, 당시 민중 사이에서 선인이란 선골(仙骨)이라는 특별한 자질이 없으면 되지 못한다는 인식도 있었다. 실제로 옥황상제 등 신과 인간도 될 수 있는 선인의 구별도 뚜렷하지 못했다. 그러나 도교에 영향을 준 불교에선 누구나 부처가 될 수 있다는 사상이 있듯이, 도교에서도 누구나 수행하면 선인이 될 수 있다며 설파하게 된다.

선인의 수행법[편집 | 원본 편집]

인간이 어떻게 선인이 될 수 있는가? 그 방법의 모색은 도교의 화두라고 할 수 있다. 전국시대의 신선 사상부터 원나라 전진교, 그리고 현대에 이르기까지 도교는 신선이 되는 방법론에 따라 교리가 발달하고 종파가 나뉘었다고 해도 무방하다.

대중문화 속의 선인[편집 | 원본 편집]

각주